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Rehabilitation by Virtual Reality Program: Systematic Review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사용한 재활치료의 효과성 연구: 체계적 고찰

  • Park, Da-Sol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
  • Shin, Ga-In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
  • Woo, Ye-Shin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The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
  • Park, Hae Yean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Health Science, Yonsei University)
  • 박다솔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
  • 신가인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
  • 우예신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
  • 박혜연 (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 Received : 2018.07.31
  • Accepted : 2018.09.27
  • Published : 2018.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basic data about the virtual reality rehabilitation therapy to the occupational therapist in the domestic clinical field by systematically analyzing the types and effects of the rehabilitation therapy using the virtual reality program. Research articles were retrieved from January 2007 to December 2017 using the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Google Scholar, and Pubmed database. The main search terms were 'Virtual Reality AND Rehabilitation' and 'Virtual reality AND Effect'. Finally, 10 foreign studies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of this study. Selected studies were organized using PICO (Patient, Intervention, Comparison, Outcome) forma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4 types, stroke, brain tumor, Parkinson 's disease, and kidney disease. The tools used for arbitration were three IREX (30 %), two X-box Kinect (20 %), two Nintendo Wii (20 %), one [Existing tool + VR] (10 %), one [Mobile application + VR] (10 %). As a result of the intervention, improvement of function was observed in all 10 studies from overseas, and physical function was 24 times (66 %), mental function 6 times (17 %), cognitive function 5 times (14 %), Activity of daily living 1 time (10 %). this study could be used as a basic resource to enhance the professionalism and quality of rehabilitation services and expand the scope by organizing virtual reality-based rehabilitation and its effects.

본 연구는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사용한 재활치료의 효과성에 대해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국내 임상현장에서 재활치료에 종사하는 의료인, 의료기사 및 연구자들에게 다양한 가상현실 기반의 재활치료와 효과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가상현실 기반의 재활치료가 임상에서 적절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으로 학술연구정보서비스(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Google Scholar, Pubmed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2007년 1월부터 2017년 12월까지의 논문을 검색하였다. 주요 검색어는 'Virtual Reality AND Rehabilitation', 'Virtual reality AND Effect'를 사용하였다. 최종적으로 10편의 해외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을 본 연구의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논문은 PICO (Patient, Intervention, Comparison, Outcome) 형식을 사용하여 정리하였다. 연구 결과 10개의 논문에서 참여한 대상자를 유형별로 분석한 결과, 대상자는 총 4가지로 분류되었으며 그 종류는 뇌졸중, 뇌종양, 파킨슨병, 신장질환이었다. 중재에 사용한 가상현실 기반 도구들은 IREX 3건(30%), X-box Kinect 2건(20%), Nintendo Wii 2건(20%), [Existing tool + VR]이 1건(10%), [Mobile application + VR]이 1건(10%)이었다. 중재 결과 10개의 논문 모두 기능향상이 나타났으며 신체기능이 24회(66%), 정신기능 6회(17%), 인지기능 5회(14%), 일상생활활동이 1회(3%)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가상현실 기반 재활치료와 그 효과를 정리하여 재활치료서비스의 전문성과 질을 향상시키고, 영역을 확대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