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elderly's Depression and Social Capital on Successful Aging

노인의 우울 및 사회적 자본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 Jeon, Sang Nam (Dept. of Public Health & Medical Administration, Dongyang University)
  • 전상남 (동양대학교 보건의료행정학과)
  • Received : 2019.11.13
  • Accepted : 2019.11.26
  • Published : 2019.12.31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successful aging on depression and social capital(trust, norm, participation, network) of the elderly. Methods: Samples were obtained from 184 people aged over 65 years old in one county of Kyungsangbukdo. Data were analyzed with t-test,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Results: First, depression, social capital and successful aging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age, economic status and religion. Secondly,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depression affected a negative influence on successful aging in Model 1, which analyzed only depression. However, Model 2, which analyzed depression and social capital at the same time, showed that only social capital affected successful aging. Conclusions: It was suggested to develop health promotion and social participation program are required for successful aging of the elderly.

Keywords

References

  1. 김기홍. (2006). 한국농촌마을 사회자본의 특징에 관한 연구: Trust&Network를 중심으로[박사학위논문]. 서울: 고려대학교 대학원.
  2. 김동배. (2008). 한국 노인의 성공적 노화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6(1), 211-231.
  3. 김주희. (2011). 농촌 여성의 사회적 관계의 변화: 사회적 자본 관점에서의 이해. 한국농촌사회학회, 21(2), 7-48.
  4. 김종기, 전진환. (2009). 국내 MIS 연구에서 구조방정식모형 활용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경영정보학회, 19(4), 47-75.
  5. 김혜연. (2011). 사회적 자본이 지역주민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 민간자원 연계사업 참여 주민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행정학, 13(3), 1-29.
  6. 민성길. (2005). 최신정신의학(제5판). 서울: 일조각.
  7. 반금옥, 김혜자. (2012). 농촌지역 재가노인의 성공적 노화, 우울과 가족기능간의 관계. 한국농촌간호학회지, 7(1), 19-27. https://doi.org/10.22715/jkarhn.2012.7.1.019
  8. 신경림, 김정선. (2003). 노인여성의 스트레스와 우울간의 관계 연구. 노인간호학회지, 5(1), 29-37.
  9. 신근영. (2016). 노인의 자기효능감이 노후준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자본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강릉: 가톨릭관동대학교 대학원.
  10. 신학진. (2011). 노인의 사중고가 우울을 매개로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경로당 이용자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31(3), 653-672.
  11. 안은미. (2011). 사회경제적 특성, 건강상태 및 사회적 지지와 노인 우울간의 관계[석사학위논문]. 서울.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원.
  12. 양순미, 임춘식, 오윤자. (2007). 농촌노인의 우울에 관련변인이 미치는 효과. 노인복지연구, 36, 139-158.
  13. 오영은. (2017). 농촌노인의 고독감과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연구: 사회적 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박사학위논문]. 광주: 전남대학교 대학원.
  14. 유정헌, 성혜영. (2009). 노년기 우울에 대한 가족관계 만족도의 중재효과. 한국노년학, 29(2), 717-728.
  15. 윤현숙, 유희정. (2006). 가족관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8, 5-31.
  16. 이묘숙. (2012).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한 노인의 경제상태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57, 289-314.
  17. 이지선. (2008). 재가노인의 성공적인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석사학위논문]. 대전: 목원대학교 대학원.
  18. 이재풍, 유선덕. (2017). 노인 일자리사업 참여노인의 직무만족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자본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복지경영연구, 4(2), 77-108.
  19. 전상남, 신학진. (2009). 주관적 건강 및 노인차별경험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29(4), 1383-1396.
  20. 정순둘, 성민현. (2012). 연령집단별 사회적 자본과 삶의 만족도 관계비교. 보건사회연구, 32(4), 249-272.
  21. 조선배. (1996). LISREL 구조방정식 모델. 서울: 영지문화사.
  22. 조은혜. (2017). 베이비부머의 사회적 자본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가족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석사학위논문]. 대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23. 조진희. (2008). 중년여성의 성공적인 노화인식과 우울[석사학위논문]. 서울: 한양대학교 임상간호정보대학원,
  24. 최민정. (2015). 중고령 여성의 사회적 자본과 경제적 자본의 관계에 관한 연구. 보건사회연구, 35(2), 2015, 124-163. https://doi.org/10.15709/HSWR.2015.35.2.124
  25. 최일섭, 최성재. (1996).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서울: 나남출판.
  26. 통계청. 2019. 세계와 한국의 인구현황 전망. 대전: 통계청.
  27. 하성규, 박기덕. (2011). 사회적 자본의 영향요인과 주거공동체 활성화: 서울 아파트단지와 여주 농촌 마을 비교 연구. 한국지방자치연구, 12(4), 133-153.
  28.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노인실태조사. 세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9. 한수정, 한진숙, 문영숙. (2009). 노인의 성공적 노화와 영향요인. 성인간호학회지, 21(4), 423-434.
  30. 홍현방. (2002). 성공적인 노화와 노인의 종교성 관계 연구. 한국노년학, 22(3), 245-259.
  31. Baltes PB, Baltes MM. (1991). Psychological perspectives on successful aging: The model of selective optimization with compensation. In P. B. Baltes & M. M. Baltes (Eds.), Successful aging: Perspectives from the behavioral sciences (pp. 1-34).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32. Brisson, DS, Usher CL. (2005). Bonding social capital in low-income neighborhoods. Family Relations, 54(5), 644-653. https://doi.org/10.1111/j.1741-3729.2005.00348.x
  33. Coleman J. (1988).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4, 94-121. https://doi.org/10.1086/229033
  34. Curran PJ, West SG, Finch J.(1996). The robustness of test statistics to non-normality and specification error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sychological Method, 1, 16-29. https://doi.org/10.1037/1082-989X.1.1.16
  35. Evans DA 외 6명, (1993). Level of education and change in cognitive function in a community population of older persons. Annals of Epidemiology, 3 , 71-77. https://doi.org/10.1016/1047-2797(93)90012-S
  36. Hsu HC. (2005). Gender Disparity of Successful Aging in Taiwan. Women & Health, 42(1), 1-21. https://doi.org/10.1300/J013v42n01_01
  37. Portes A. (1998). Social Capital: Its Origins and Applications in Modern Sociology. Annual Review of Sociology, 22, 1-24. https://doi.org/10.1146/annurev.soc.22.1.1
  38. Putnam. R. (1993). The Prosperous Community: Social Capital and Public Life. The American Prospect, 13(Spring).
  39. Rowe, JW, Kahn, RL. (1997). Successful aging. The Gerontologist, 37(4), 433-440. https://doi.org/10.1093/geront/37.4.433
  40. Rowe JW, Kahn RL. (1998) Successful aging. New York: Random House
  41. Vaillant GE, Mukamal K. (2001). Successful Aging.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58(6), 839-847. https://doi.org/10.1176/appi.ajp.158.6.839

Cited by

  1. 해방세대와 베이비붐세대 간 사회적 자본이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 vol.22, pp.2, 2019, https://doi.org/10.5762/kais.2021.22.2.7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