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nfluencing Factors on Working Men's Depression: Focusing on Relationship Stress at Work and Family Relationship Stress

직장 남성의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직장 내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가족관계 스트레스를 중심으로

  • Lee, So-Hui (Dept. of consumer & family children, Graduate School, Sunchon National Univ.) ;
  • Kim, Sunghee (Dept. of Social Welfare, Sunchon National Univ.)
  • 이소희 (순천대학교 일반대학원 소비자.가족아동학과) ;
  • 김성희 (순천대학교 사회복지학부)
  • Received : 2019.09.01
  • Accepted : 2019.11.25
  • Published : 2019.11.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elationship stress at work and family relationship stress on working men's depression in order to improve their mental health. Data were collected via questionnaire from 313 white-collar workers living in Seoul, Daejeon and Gwangju.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pression depending on age, spouse, age of child, family size and years of labor.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among depression, relationship stress at work and family relationship stress. The family relationship stress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n depression, followed by relationship stress at work. Family relationship stress had a mediating effect on depression and relationship stress at work. These results showed that employers should manage depression of workers in a family friendly way to reduce the stress in relationship at work and home such as work and family balance policy.

Keywords

References

  1. 강귀영(2010). 직장 내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직무 태도와 가족관계에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강모성(2008). 기혼 중년 남성이 지각하는 직무 및 가족스트레스와 자살구상. 신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강민호(2018). 한국 임금근로자의 직장 내 심리적 요인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곽현주(2018). 일자리 특성이 임금 근로자의 우울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성별, 사업체 규모의 차이를 중심으로.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국민건강보험공단(2018.9.10). 마음의 병 우울증 여성이 45만 명으로 남성보다 2배 이상 많아 https://www.nhis.or.kr/bbs7/boards/B0039/27103.
  6. 권석만(2000). 우울증; 침체와 절망의 늪. 서울 : 학지사.
  7. 김성수(2001). 중년기 남성의 스트레스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목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김양희.김진희.박정윤(2001). 중년기 남성이 경험하는 스트레스 원과 대처 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9(6), 157-172.
  9. 김여진(2017). 우울과 대인관계에서 자기초점적 주의와 자기 지향적 공감의 매개 효과.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김외란(2015). 가족관계와 청소년우울의 관계에서 진로성숙도의 매개효과.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김유경.구혜령(2016). 기혼남성근로자의 일-가정 갈등과 일-가정 향상.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0(2), 99-117.
  12. 김은숙(2012). 우울증, 결혼만족도, 가족건강성 및 신체화증상의 관계. 인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김은정(2015). 중공업 남성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 우울, 음주.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6(7), 4758-4767. https://doi.org/10.5762/KAIS.2015.16.7.4758
  14. 김정숙(2018). 중년남성의 가족스트레스와 직무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융합적 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9(11), 561-567. https://doi.org/10.15207/jkcs.2018.9.11.561
  15. 김종윤(2014). 40대 중년여성의 생활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가족의 건강성에 미치는 요인.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김지현(2017). 우울을 호소하는 기혼여성의 통합적 상담 사례연구. 신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김향수.김송순(2017). 기혼 중년남성의 직업스트레스, 직업안정성, 우울, 가족유대감, 주관적 건강상태,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융합적 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8(3), 101-114. https://doi.org/10.15207/JKCS.2017.8.3.101
  18. 김혜련.신현섭(2006). 정신건강론. 서울 : 학지사.
  19. 김호정.허전(2008). 한글 SPSSWIN14.0 통계분석 및 해설. 서울 : 삼영사.
  20. 류진선(2009). 초등학생이 지각한 가족 관계와 자기 효능감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매일경제신문(2017.5.3). 직장인의 자존감 : 김부장은 어쩌다 꼰대가 됐을까? http://www.mk.co.kr/opinion/contributors/view/2017/05/298729/.
  22. 문정화.박태영(2016). 직장 상사와 관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기혼 남성의 우울증 진행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가족복지학회지, 52, 343-374.
  23. 민문기(2015). 직장 내 괴롭힘과 우울의 관계에서 개인 내외적 변인이 조절효과검증. 신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박규철.이경종.박재범.민경복.이규원(2008). 한 자동차 회사의 남성 사무직 근로자에서 직무 스트레스와 우울, 불안, 및 스트레스 증상과의 관련성. 대한산업의학회지, 20(3), 215-224.
  25. 박민정(2013). 중년 남성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서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박용권(2010). SPSS 사회복지자료분석. 서울 : 신정.
  27. 박재규.이정림(2011). 한국 성인 남녀의 우울증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보건과 사회과학, 29, 99-128.
  28. 박종서(2017). 일.가정 양립 정책 추진 현황과 개선방향.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9. 박주희(2018). 중년기 기혼 남녀의 가족생활 스트레스, 가족 가치관이 결혼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2(4), 17-33.
  30. 박준희(2004). 기혼남녀의 성격특성, 가족관계 스트레스, 여가활동이 중년기 위기감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1. 박지남(2016). 한국 근로자의 우울 관련 요인. 조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2. 백종철(2007).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직무태도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위덕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3. 보건복지부.서울삼성병원(2017). 2016년도 정신질환실태 조사. 보건복지부.
  34. 보건복지부.중앙자살예방센터(2019). 2019년 자살예방백서. 보건복지부.
  35. 서울경제신문(2019.3.4). 삶에 사표 던지는 아버지들: 자기개발.성공서적만 보고 자란 세대... 위기관리는 못 배웠다 https://www.sedaily.com/NewsView/1VGGJM1QHW/GK04.
  36. 서혜선.양경숙.김나영.김희영.김미경(2007). 회귀분석(SPSS를 활용한). 서울 : 한나래.
  37. 안미경(2018). 50대 중년 남성의 우울 경험에 대한 탐구 : 전문직 남성을 중심으로. 질적탐구, 4(3), 165-199.
  38. 양옥경(2001). 가족관계 측정을 위한 척도 개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8, 117-145.
  39. 양유정.신성희(2014). 중년 부부의 자아 존중감과 가족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 효과. J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23(2), 60-69. https://doi.org/10.12934/jkpmhn.2014.23.2.60
  40. 양정연(2019). 대인관계 역량이 조직 몰입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양후연(2018). 자기초점화가 우울 및 행복에 미치는 영향.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2. 유수현.서규동.유명이.이봉재.이종하(2018). 정신건강사회복지론, 서울: 신정.
  43. 유승현.권혁주.김선희.이정아.선우성.김영식.김병수.오한진.김철민.최희정.황희진.옥선화(2016). 배우자의 우울증이 가족 기능과 가족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16(1), 11-19. https://doi.org/10.15384/kjhp.2016.16.1.11
  44. 유정순(2005). 인지적 조화 집단 상담 프로그램이 우울 경향이 있는 기혼여성의 우울, 스트레스, 역기능 태도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5. 이규선.강정숙.권인선.조영채(2011). 소규모 제조업 남성 근로자의 수면의 질, 직무 스트레스 및 피로가 우울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2(5), 2230-2240. https://doi.org/10.5762/KAIS.2011.12.5.2230
  46. 이미숙(2003). 사회적 스트레스와 중년기 남성의 정신건강. 한국사회학, 37(3), 25-26.
  47. 이상현(2015). 호텔 종사원의 감정노동과 우울 증상, 직무스트레스간의 영향관계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8. 이소희(2019). 직장 내 대인관계와 가족관계 스트레스가 남성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순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9. 이은희(2015). 중년 직장 남성의 우울감이 자살 생각에 미치는 영향 : 자아 존중감의 매개변인효과. 용문상담심리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0. 이정인.김계하.오순학(2003). 중년 남성의 우울과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성인간호학회지, 15(3), 422-431.
  51. 이지은(2013). 구성원의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자기 효능감 및 조직 몰입에 미치는 영향 : 특 1급 호텔 구성원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2. 임정빈.지영숙.문숙재.이기영.이연숙(1994). 가정관리학. 서울 : 학지사.
  53. 임지영(2014). 주부의 가족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배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4. 장석진(2007). 애착이론에 근거한 대인 관계 증진 집단 상담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5. 장승환(2013). 조직 구성원의 업무 관련 스트레스와 환경적 스트레스가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6. 전겸구.최상진.양병창(2001). 통합적 한국판 Ces-d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6(1), 59-76.
  57. 정연경(2010). 생활 스트레스와 대인관계 문제가 청소년 우울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8. 정은숙.심문숙(2011). 생산직 여성 근로자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1(12), 822-831. https://doi.org/10.5392/JKCA.2011.11.12.822
  59. 정태환(2015). 카지노 종사원의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대인관계 만족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내국인 카지노 종사원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0. 제연화(2014). 남성 성역할 갈등과 자살성의 관계 : 우울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 및 전문적 도움 추구 태도의 역할. 대구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1. 조영임(2018). 30대 한국 성인 남성의 우울적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2. 진서영.박정윤.김양희(2008). 기혼남녀의 일 가족갈등에 따른 가족 건강성의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2(3), 59-79.
  63. 최광수(2013). 요양보호사 이직의도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4. 최미경.이영희(2010). 중년성인의 우울과 무력감, 사회적 지지 및 사회경제적 상태. 정신간호학회지, 19(2), 196-204.
  65. 통계청(2018.9.19). 2017년 사망원인 통계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3/index.board?bmode=read&aSeq=370711&pageNo=8&rowNum=10&amSeq=&sTarget=&sTxt=.
  66. 통계청(2019.3.20). 2018 혼인.이혼 통계 http://kostat.go.kr.C:\Users\user\AppData\Local\Microsoft\Windows\INetCache\IE\LR3H5SDS\2018년+혼인+이혼+통계.pdf.
  67. 파이낸셜 뉴스(2014.12.10). 자살까지 부르는 '중년 남성 우울증 주의보' 직장 때문에 http://m.fnnews.com/news/201412101426555296.
  68. 한국건강증진개발원(2019.4.17). 직장인의 건강, ʻ건강친화기업 인증제ʼ로 개선 https://www.khealth.or.kr/board/view?linkId=999223&menuId=MENU00907.
  69. 한경혜.이정화.옥선화.Ryff, C. D. & Marks, N. F.(2002). 중년기 남녀의 사회적 역할과 정신 건강. 한국노년학, 22(2), 209-225.
  70. 한상욱(2015). 중년 기혼남성의 생활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회복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경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1. 허용재(2013). 호텔 종사자의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직무소진 및 직무태도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2. 홍진표.이동우.심유진.김영후(2015). 한국 직장인에서 우울증의 인식과 태도조사 및 우울증이 근무에 미치는 영향.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54(2), 188-201. https://doi.org/10.4306/jknpa.2015.54.2.188
  73. 황욱(2010). 제4기 국민건강 영양조사를 바탕으로 살펴본 임금 근로자의 우울증상과 직업관련 요소와의 연관성.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4. Argyris, C.(1957). Personality and organization : The conflict between system and the individual. New York : Harper & Row.
  75. Boss, P., Bryant, C. M. & Mancini, J. A.(2001). Family stress management : A contextual approach. Thousand Oaks, CA : Sage Publications.
  76. Cochran, S. V. & Rabinowitz, F. E.(2000). Men and depression: Clinical and empirical perspectives. San Diego, CA : Academic Press.
  77. Cooper, C. L. & Marshall, J.(1978). Sources of managerial and white collar stress in C. L. Cooper & R. Payne(eds), Stress at work(pp 56-81). Chichester : John Wiley & Sons.
  78. Gaines, J. & Jermier, J. M.(1983). Emotional exhaustion in a high stress Organizatio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26(4), 567-586. https://doi.org/10.2307/255907
  79. Hackman, J. R. & Oldham, G. R.(1980). Work redesign. Reading, MA: Addison-Wesley Publishing Co.
  80. Kilmartin, C.(2005). Depression in men : Communication, diagnosis and therapy. Journal of Men's Health and Gender, 2(1), 95-99. https://doi.org/10.1016/j.jmhg.2004.10.010
  81. Matteson, M. T. & Ivancevich, J. M.(1982). Managing job stress and health : The intelligent person's guide. New York : Free Press.
  82. Radloff, L. S.(1977). The CES-D scale :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3), 385-401. https://doi.org/10.1177/014662167700100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