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fluential Factors on Teaching Evaluation Scores in Engineering Subjects: Participating in CTL Program and Making of CQI

공학 교과목의 강의평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CTL 프로그램 참여와 CQI 작성을 중심으로

  • Kim, Youngki (Department of Convergence Security, Myongji University) ;
  • Hur, Youngju (Department of General Education, Namseoul University)
  • 김영기 (명지대학교 산업대학원 융합보안학과) ;
  • 허영주 (남서울대학교 교양대학)
  • Received : 2019.03.28
  • Accepted : 2019.05.15
  • Published : 2019.05.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at hours for participating in CTL program and whether or not make of CQI have a effect on the student evaluation about teaching of engineering professor. This inquiry have done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at student evaluation grade of teaching on 2018-1st semester of 240 engineering subjects of N University in Chungcheongnam-do as dependent variable, and background factors and work factors as independent variable. Research results is follows. First, employment type haven't a effect on teaching evaluation scores. And subject type, student' concentration of class, teaching evaluation pre-scores have a positive effect on teaching evaluation rating, but student number have a negative effect. Second, hours for participating in CTL program haven't a effect on teaching evaluation scores, but to make of CQI report have a positive effect on teaching evaluation scores. And I suggested to make CQI for improve teaching evaluation scores and manage the quality of education.

Keywords

References

  1. 강상희(2018). 역량 기반 교양 교과목 운영 및 개선 방안 고찰. 한국교양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310-319.
  2. 강정찬.이은화(2017). 대학교육의 질 개선을 위한 교과목 CQI 시스템 개발 및 적용.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2), 313-342.
  3. 구원회(2017). 대학 수업컨설팅의 교수방법 개선 효과에 관한 연구. 인문사회과학연구 18(1), 459-484.
  4. 김선희(2017). 강의평가 결과 분석을 통한 교육의 질 제고 장안 탐색: A대학교 강의평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30(1), 147-174.
  5. 김영락 외(2015). NCS 기반 교육과정의 지속적교육품질개선 (CQI)에 관한 연구: K대학 세무회계정보과를 중심으로. 세무회계연구, 46, 107-131.
  6. 김정식(2007). 교과목 및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의 전략적 접근. 공학교육연구, 10(2), 1-14.
  7. 김진화.홍영은.박종국(2011). 대학경영환경이 강의평가에 미치는 영향: Y대학교 강의평가를 중심으로. 경영사학, 58, 201-224.
  8. 김현철(2006). 분산분석과 범주형 자료 분석에 의한 강의평가 결과 결정요인의 탐색. 한국교육, 33(3), 121-144.
  9. 김희동.지인영(2009). 공학교육인증제도의 학습성과와 교양교육, 교양교육연구, 3(1), 89-103.
  10. 나삼식.안훈모(2017). 설문지를 토안 양생기공학 강의평가 분석. 대한의료기공학회지, 17(1), 1-23. https://doi.org/10.22942/mg.2017.17.1.001
  11. 남민우.조은순(2014). 대학 강의평가에서 수강인원에 따른 차이 검증 및 가중치 적용 방안 연구. 학습과학연구, 8(2), 153-168.
  12. 대학교육개발협의회(2011). 대학교육개발백서.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13. 류춘호.이정호(2003). 대학의 강의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경영학연구, 32(3), 789-807.
  14. 민혜리.윤희정(2012). 대학수업 개선에 있어서 수업컨설팅의 기능: 대학 교수의 인식을 중심으로. 열린교육연구 20(1), 251-276.
  15. 박완성(2010). 교양 학과목 교수방법과 강의평가에 대한 연구. 교양교육연구, 4(2), 29-44.
  16. 박춘명(2012). 21C 대학교육 패러다임에 적합한 교수법에 관한 연구.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4(1), 51-56.
  17. 방극철(2015). 대학에서 교양 일본어(제2외국어) 교육 개선을 위한 실천적 제안, 일본어교육, 74, 15-26.
  18. 배미은.이은택.김희은(2016). 대학 수업컨설턴트의 역량모델 개발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33(2), 53-75.
  19. 배수현(2017). NCS 기반 교육과정의 CQI에 관한 연구. 이벤트컨벤션연구, 13(1), 87-103.
  20. 배호순(1992). 교육효과 평가를 위한 준거체제 탐색 연구, 교육학연구, 30(4), 157-172.
  21. 백순근.신효정(2012). 위계선형모형을 활용한 대학생의 강의평가 분석: S대학교 교양강의를 중심으로. 교육평가연구, 21(2), 1-24.
  22. 백순연.엄우용(2015). 대학교원이 지각하는 교수 개발 지원 서비스에 대한 수용 및 활용 정도. 학습과학연구, 9(3), 145-276.
  23. 서윤경.윤희정, 김주영(2013). 교수-학습 지원을 위한 특강 및 워크숍 평가도구 개발. 교육학연구, 51(2), 225-254.
  24. 손충기.김영태(2007). 수업평가 관련 변인에 따른 수업평가 결과 차이 탐색 연구. 교육평가연구 29(2), 1-24.
  25. 송미섭.지은림(1994). 강의평가 설문지에 관한 문항분석. 교육평가연구, 7(2), 263-283.
  26. 송상호.권경빈(2006). 대학 교수-학습센터의 필요성과 역할에 대한 고찰: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공학연구, 22(3), 167-185.
  27. 송상호.이지현.박태정(2016). 한국 대학교육 혁신에 있어 교육공학의 공헌 및 미래방향. 교육공학연구, 32(4), 677-705.
  28. 송영선(2018). 대학의 강의평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역량개발학습연구, 13(2), 141-163.
  29. 송은지(2012). 대학교 수업개선을 위한 방법론에 관한 연구.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4(1), 46-50.
  30. 신소영.권진희(2016). 강의평가결과의 신뢰성 제고 방안 연구: 강의평가제도의 운영을 중심으로. 순천향인문과학논총, 35(4), 115-145.
  31. 심미자(2012). 좋은 수업을 위한 수업컨설팅의 새로운 방향 탐색. 한국교원교육연구, 29(2), 371-396.
  32. 심춘보.박동국(2013). 공학교육인증을 위한 프로그램 레벨의 CQI 구현 방안. 공학교육연구, 16(4), 21-29. https://doi.org/10.18108/JEER.2013.16.4.21
  33. 양길석(2014). 대학 강의평가 영향 요인에 대한 메타 연구. 교육방법연구, 26(2), 293-322. https://doi.org/10.17927/TKJEMS.2014.26.2.293
  34. 오동일(2013). 통제 불가능한 요인이 교수 강의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사례 연구. 고객만족경영연구, 15(3), 103-121.
  35. 오숙영(2015). 강의평가점수 영향력 요인에 대한 사후조정 연구. 교육평가연구, 28(4), 1225-1254.
  36. 원효헌.설현수(2000). 학셍에 의한 교사 교수활동 평가도구의 양호도 분석. 교육평가연구, 13(2), 55-76.
  37. 육진경(2017). 교수자의 강의개선 노력과 교육효과성 관련 변인간의 관계분석. 사회적질연구, 1(2), 35-53.
  38. 윤유진(2018). 강의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교양교과목을 중심으로. 교양교육연구, 12(5), 185-210.
  39. 이대식 외(2007). 대학의 강의평가를 통한 수업개선 방안 연구: 경인교육대학교를 사례로. 한국교원교육연구, 24(2), 81-117.
  40. 이성흠(2001). 교수설계 이론에 근거한 대학 강의평가 도구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교육공학연구, 17(1), 81-108.
  41. 이욱길(2012). 사이버 대학 강의평가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교수자 관련 특성 탐색.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8(3), 273-291.
  42. 이재경(2015). "수업컨설팅 분석 준거에 의한 대학 수업 사례 분석 결과 및 개선 방안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2), 663-689.
  43. 이재성(2014). 대학의 고용-교육 데이터를 활용한 졸업생 진로, 교수 연구실적, 그리고 강읲여가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44. 이지연.이영주(2017). 교수 및 강좌 특성에 따른 대학 강의평가 성취수준의 차이 분석: 직급, 이수 구분, 강좌 규모를 중심으로. 교육문제연구, 39(4), 189-212.
  45. 이지연.이영주(2018). 의사결정나무분석에 의한 공과대학 강의평가 예측요인 탐색. 공학교육연구, 21(4), 45-51.
  46. 이학식.임지훈(2017). SPSS 24 매뉴얼. 집현재.
  47. 이현영(2012). 공과대학 교수역량 진단도구 개발과 교수역량, 교수효능감, 직무만족도, 강의평가 간의 관계규명.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48. 이희원.민혜리(2013). 수업 개선을 위한 강의평가 결과 활용 방안 탐색: S대학의 강의평가 결과 피드백 시스템의 개발 및 적용. 열린교육연구, 21(3), 257-283.
  49. 전주현.김남일.한중근(2013). 공학교육인증프로그램 운영 효과 증진를 위한 CQI 시스템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한국정보과학회, 668-670.
  50. 정영길(2013). 지방거점대학 육성 및 특성화 방안 연구: 지방대학 육성방안을 중심으로. 교육부.
  51. 조용개(2009). 교수자의 수업 개선을 위한 수업포트폴리오 개발 모형 및 평가준거안. 한국교원교육연구, 26(2), 47-73.
  52. 조장식.김창완.최승배(2009). 강의평가에 대한 균등화방법의 비교.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0(1), 65-75.
  53. 조장식(2013). 위계적 선형모형을 이용한 강의평가 결정요인 분석.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4(6), 1285-1296.
  54. 채수은.손영민(2015). 형성적 기능 중심의 대학 강의평가 공개를 위한 연구. 한국교육학연구 21(1), 325-358.
  55. 채수진.정연훈.정윤석(2015). 학생에 의한 강의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Korean Journal of Medical Education, 27(1), 19-25. https://doi.org/10.3946/kjme.2015.27.1.19
  56. 최보금.김재웅(2013). 위계적 선형모형을 활용한 대학생 강의 평가 관련 요인 탐색: 무성의 응답의 영향을 중심으로. 열린교육연구, 21(1), 77-100.
  57. 하오선.정민호(2013). 강의평가 결과공개가 강의개선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D대학 강의평가 사례를 중심으로. 열린교육연구, 21(4), 299-319.
  58. 한신일(2001). 학생에 의한 강의평가 관련요인 분석: 교수, 학생, 수업관련 요인을 중심으로. 교육행정학연구, 19(4), 247-266.
  59. 한지영.강소연.전주현(2016). 컴퓨터.정보(공)학 분야 공학교육인증제 운영성과에 대한 교수들의 인식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공학교육연구, 19(5), 35-47.
  60. 허돈(2009). 공학교육인증의 학습성과 평가체계의 사례연구. 공학교육연구, 12(1), 57-63. https://doi.org/10.18108/JEER.2009.12.1.57
  61. 홍성연(2010). 대학 강의 개선을 위한 수업컨설팅 사례 분석. 아시아교육연구, 11(3), 97-127.
  62. 황인수(2008). e-러닝에서 학습자의 사전동기와 수강관련 요인이 강의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 Management, 15(2), 33-49.
  63. ABET(2012). Criteria for accrediting engineering programs. Baltimore: ABET.
  64. Abrami, P. C., Leventhal, L., & Perry, R. P.(1982). Educational seduction.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52(3), 446-464. https://doi.org/10.3102/00346543052003446
  65. Braskamp I. A., Brandenbrug, & Ory, J. C.(1994). Evaluating teaching effectiveness. Newbruy Pakr, CA: Sage.
  66. Brockx, B., Spooren, P., & Mortelmans, D.(2011). Taking the grading leniency story to the edge. The influence of student, teacher, and course characteristics on student evaluations of teaching in higher education. Educational Assessment, Evaluation and Accountability 23(4), 289-306. https://doi.org/10.1007/s11092-011-9126-2
  67. Cashin, W. E.(2003). Evaluating college and university teaching: Reflections of a practitioner. In J. C. Smart(Ed.). Higher education: Handbook of theory and research (pp. 531-594). NY: Agathon Press.
  68. Centra, J. A.(1993). Reflective faculty evaluation, Jossey-Bass: San Francisco.
  69. Chickering W., Zelda F., & Gamson(2009), Seven Principles for Good Practice in Undergraduate Education, University of Hawaii.
  70. Cohen, P. A.(1980). Effectiveness of student rating feedback for improving college instruction: A meta-analysis of findings. Research in Higher Education 13, 321-341. https://doi.org/10.1007/BF00976252
  71. Cohen, P. A.(1981). Student ratings of instruction and sstudent achievement: A meta-analysis of multisection validity studie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51(3), 281-309. https://doi.org/10.3102/00346543051003281
  72. Cohen. P. A.(1991). Effectiveness of student ratings feedback and consultation for improving instruction in dental schools. Journal of Dental Education 55(2), 145-150. https://doi.org/10.1002/j.0022-0337.1991.55.2.tb02497.x
  73. Danielson, S., & Rogers, B.(2007). Amethodology for direct assessment of student attainment of program outcomes. Proceedings of 2007 ASEE Annual Conference and Exposition. Honolulu. HI.
  74. Diamond, R. M.(1998). Designing & assessing courses & curricula: A practical guide (3rd ed.). San Francisco, CA: Jossey-Bass.
  75. Dunkin, M. J.(1986). Research on teaching in higher education. In M. C. Wittrock(ed.), Handbook of research in teaching(3rd ed.), New York, Macmillan, 754-777.
  76. Erickson, G. R., & Erickson, B. L.(1979). Improving college teaching: An evaluation of a teaching consultation procedure. Journal of Higher Education 50(5), 670-683. https://doi.org/10.2307/1981231
  77. Fink, L. D.(2010). Five Principles of Good Course Design, University of Oklahoma Instructional Development Program.
  78. Marsh, H. W.(1984). Student' evaluation of university teaching: Dimenstionality, reliability, validity, potential biases, and utility.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6, 707-754. https://doi.org/10.1037/0022-0663.76.5.707
  79. McKeachie, M. J.(1990). Teaching tips: Strategies, research and theory for college and university teachers.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80. Piccinin, S.(1999). How instructional consultation affects teaching. New Directions for Teaching and Learning 79(3), 71-83. https://doi.org/10.1002/tl.7908
  81. Shryock, K. J., & Reed, H. L.(2009). ABET Accreditation: Best Practices for Assessment. Proceedings of the 2008 ASEE Gulf-Southwest Annual Conference. The University of New Mexico, Albuquerque.
  82. Ting, K.(2000). A multilevel perspective on student ratings of instruction: lessons from the Chinese experience. Research in Higher Education, 41(5), 637-661. https://doi.org/10.1023/A:1007075516271
  83. Tuckman, B. W.(1985). Evaluating instructional programs (2nd ed.). Boston, MA: Allyn and Bacon.
  84. Wagner, E. H., Coleman, K., Reid, R. J., Phillips, K., Abrams, M. K. & Sugarman, J. R.(2012). The changes involved in patient-centered medical home transformation. Primary Care: Clinics in Office Practice 39(2), 241-259. https://doi.org/10.1016/j.pop.2012.03.002
  85. Wilson, R. C.(1986). Improving faculty teaching: Effective use of student evaluations and consultants. Journal of Higher Education 57(2), 196-211. https://doi.org/10.2307/1981481

Cited by

  1. 팀워크와 동료학습이 전문대학 물리학 수업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vol.23, pp.6, 2019, https://doi.org/10.18108/jeer.2020.23.6.68
  2. 팀워크와 동료학습이 전문대학 물리학 수업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vol.23, pp.6, 2019, https://doi.org/10.18108/jeer.2020.23.6.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