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Relationship between National Identity, Threat Awareness,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 Moderating Effect of Living in Ethnic Places -

국민정체성과 위협의식, 다문화수용성의 관계에 관한 연구 - 외국인 밀집지역 거주여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 박서연 (인천연구원 도시경영연구실)
  • Received : 2019.03.11
  • Accepted : 2019.03.18
  • Published : 2019.03.31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national identity and threat awareness on th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whether contact theory actually work. For the analysis, this study used '2013 Korea General Social Survey' data and compared two groups divided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y live in ethnic place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empirical analysis shows that national identity does not have a direct effect on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threat awareness has a full mediating effect between national identity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In addition, the negative effect of the threat awareness on multi-cultural acceptability was greater in groups living in ethnic places. The findings suggest that multi-cultural awareness education is necessary to reduce the threat awareness toward foreigners, and that community-level programs are needed to prevent and coordinate conflicts arising from contact between foreigners and Koreans.

본 연구의 목적은 국민정체성과 위협의식이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과 접촉이론이 실제로 작동하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을 위해 '2013년 한국종합사회조사'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외국인 밀집지역 거주 여부에 따른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국민정체성은 다문화수용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위협의식이 국민정체성과 다문화수용성 간 관계에서 사이에서 완전한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문화수용성에 대한 위협의식의 부정적인 효과는 외국인 밀집지역에 거주하는 집단에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외국인에 대한 위협의식을 줄이기 위한 다문화 인식교육이 필요하며, 외국인과 한국인 간 접촉으로 인해 발생하는 갈등을 예방하고 조정하는 지역사회 및 공동체 차원의 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운선, 2014, 고등학생의 다문화교육경험 유형이 다문화 수용성 태도 유형에 미치는 차별적 효과: 대구지역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사회과교육, 53, pp.31-49.
  2. 강현식, 2010, 꼭 알고 싶은 심리학의 모든 것, 서울: 소울메이트.
  3. 김경근.이자형.이기혜, 2015, 한국인 다문화 수용성 영향 요인들 간 구조적 관계 분석: 교육수준의 효과를 중심으로, 교육사회학연구, 25(1), pp.1-28.
  4. 김경근.황여정, 2012, 중학생의 자아탄력성 영향요인 분석: 사회심리학적 접근, 교육사회학연구, 24(1), pp.205-229.
  5. 김경은.윤노아, 2012, 청소년의 국민정체성, 통일, 다문화 수용성에 대한 인식: 다문화시대 사회과 통일교육에의 함의, 사회과교육, 51(1), pp.123-140.
  6. 김계수, 2007, New Amos 7.0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서울: 한나래출판사.
  7. 김미진, 2010, 아동의 다문화 수용성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김미진.김경은, 2018, 국내 다문화 수용성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다문화교육연구, 11(1), pp.1-27.
  9. 김병학.고길곤.김대중, 2013, 외국인 밀집지역 치안 위협요인의 실재 여부에 관한 연구: 서울특별시 구로구의 중국인 범죄의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4(3), pp.343-372.
  10. 김지범.강정한.김석호.김창환.박원호.이윤석.최슬기.김솔이, 2017, 한국종합사회조사 2003-2016,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11. 김태완.이혜진.이연옥.조윤용.노츠타카시, 2016, 한일 대학생의 다문화수용성 비교연구, 디아스포라연구, 10, pp.257-290.
  12. 김행열, 2013, 한국의 다문화정책 변동에 관한 연구, 한국동북아논총, 68, pp.115-136.
  13. 김현숙.최송식.김희재, 2011, 국민정체성과 다문화태도의 관계: 한.중.일 대학생을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 15(2), pp.141-168.
  14. 김혜숙.김도영.신희천.이주연, 2011, 다문화시대 한국인의 심리적 적응: 집단정체성, 문화적응 이데올로기와 접촉이 이주민에 대한 편견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5(2), pp.51-89. https://doi.org/10.21193/kjspp.2011.25.2.004
  15. 김혜순.이시철, 2014, 국가별 관심 편중에 따른 다문화수용성 측정: 대구 달서구 사례의 실증 분석, 지방행정연구, 28(1), pp.89-114.
  16. 남희은.이미란.배은석.김선희.백정원, 2014, 대학생의 개인주의-집단주의 가치성향에 따른 다문화수용성에 관한 연구, 디아스포라연구, 8, pp.227-255.
  17. 노성훈, 2013, 외국인의 증가와 범죄에 대한 두려움: 집단위협이론을 중심으로, 형사정책연구, 24(3), pp.151-184.
  18. 민경숙, 2009, 동화 활용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다문화 이해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교육학연구, 16(2), pp.41-58.
  19. 민무숙.안상수.김이선.김금미.조영기.류정아, 2010, 한국형 다문화수용성 진단도구 개발연구, 사회통합위원회.
  20. 박선웅, 2013, 초.중등학생의 '한국인' 정체성과 다문화 수용성, 사회이론, 43, pp.161-199.
  21. 박세훈.정소양, 2010, 외국인 주거지의 공간분포 특성과 정책함의, 국토연구, 64, pp.59-76.
  22. 박윤환, 2010, 수도권 지역 외국인들의 거주지 분리에 대한 연구, 행정논총, 48(4), pp.429-453.
  23. 박인아, 2013,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의 다문화 수용성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 연구, 한국사회복지교육, 23, pp.201-233.
  24. 박혜숙.원미순, 2010, 대학생들의 다문화수용성과 관련변인 탐색, 교육심리연구, 24(2), pp.303-325.
  25. 배병렬, 2005, LISREL 구조방정식모델, 서울: 청람.
  26. 배병렬, 2014, Amos 21 구조방정식 모델링 원리와 실제, 서울: 청람.
  27. 백승대.안태준, 2013, 국민정체성이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정치학회보, 21(2), pp.1-24.
  28. 송지현.이태영, 2012, 다문화가족지원법의 제정과정 분석, 사회복지정책, 39(3), pp.151-179.
  29. 심우엽, 2010, 초등학생의 다문화 아동에 대한 인식과 태도, 초등교육연구, 23(4), pp.43-63.
  30. 안상수.김이선.마경희.문희영.이명진, 2015, 국민 다문화수용성 조사 연구, 서울: 한국여성정책원구원.
  31. 안상수.민무숙.김이선.이면진.김금미, 2012, 국민 다문화수용성 조사 연구,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32. 안전행정부, 2011, 외국인주민 밀집거주지역 생활환경 개선.
  33. 안전행정부, 2012, 외국인주민 밀집거주지역 생활환경 개선.
  34. 양계민, 2009, 한민족정체성과 자민족중심주의가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연구, 20(4), pp.387-421.
  35. 양계민.이우영, 2016, 북한이탈주민의 다문화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남한주민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북한학연구, 12(1), pp.71-105.
  36. 원숙연, 2008, 다문화주의시대 소수자 정책의 차별적 포섭과 배제: 외국인 대상 정책을 중심으로 한 탐색적 접근, 한국행정학보, 42(3), pp.29-49.
  37. 원숙연, 2011, 외국인 및 외국인정책에 대한 인식의 지형분석: 서울시 25개 구(區)를 대상으로 한 탐색적 시도, 국가정책연구, 25(4), pp.27-55. https://doi.org/10.17327/IPPA.2011.25.4.002
  38. 원숙연, 2011, 외국인정책에 대한 인식의 영향요인: 서울 시민을 대상으로, 한국정책학회보, 20(4), pp.561-589.
  39. 윤상우.김상돈, 2010, 사회적 가치관이 한국의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36(1), pp.91-117.
  40. 윤인진.송영호, 2011, 한국인의 국민정체성에 대한 인식과 다문화 수용성, 통일문제연구, 55, pp.143-192.
  41. 이수철, 2014, 다문화사회와 지역사회의 정책적 대응, 지역사회학, 15(4), pp.127-152.
  42. 이자형.김경근, 2012, 한국인의 다문화수용성 결정요인 분석, 교육사회학연구, 22(3), pp.1-24.
  43. 이자형.김경근, 2013, 중학생의 다문화수용성 영향요인, 교육사회학연구, 23(1), pp.53-77.
  44. 이자형.박현준.김경근, 2014, 한국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 영향요인, 한국교육, 41(3), pp.5-34.
  45. 이정아.이윤정, 2016,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공감능력과 다문화 수용성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지, 16(6), pp.73-91.
  46. 이희창, 2016, 국가 정체성 유형별 다문화 인식에 미치는 영향 비교: 한.미.일 3국을 중심으로, 국가정책연구, 30(1), pp.1-29.
  47. 임도경.김창숙, 2011, 대학생들의 다문화 인식 및 선행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적 거리감, 외국인 이미지, 한국인 인정조건을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학 연구, 19(1), pp.5-34.
  48. 임동진.박진경, 2012, 다문화주의와 다문화정책에 대한 정책참여자들의 태도와 성향 분석: 공무원, 민간사업자, 전문가집단을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 16(2), pp.29-62.
  49. 정명희.박외병, 2014, 대학생의 다문화교육경험이 사회적 거리감과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충북지역 대학생을 중심으로, 다문화교육연구, 7(2), pp.81-105.
  50. 정지은.하성규.전명진, 2011, 외국인 거주자의 주거입지 선택 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수도권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46(6), pp.117-129.
  51. 정하나, 2016, 다문화 사회의 위협인식에 대한 영향요인: 한국인과 거주 외국인의 인식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정책, 23, pp.83-112.
  52. 정현.박서연.전희정, 2017, 외국인의 차별경험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구조적.문화적.환경적 관점을 중심으로, 행정논총, 55(4), pp.307-336.
  53. 정회옥.박명아, 2018, 지방자치단체 외국인 관련 자치법규의 비교 분석: 외국인 지원 조례를 중심으로, 현대정치연구, 11(1), pp.5-43.
  54. 최경일, 2016, 도시와 농촌 초등학생의 또래관계가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차이: 학교적응과 지역사회 인식의 매개효과, GRI 연구논총, 18, pp.103-126.
  55. 최은진.김의준, 2011, 출신국적에 따른 서울시 외국인 이주자의 거주지 분리, 도시행정학보, 24(4), pp.85-107.
  56. 하성규.마강래.안아림, 2011, 서울시 외국인 주거지의 공간적 분리패턴에 관한 연구, 서울도시연구, 12(3), pp.91-105.
  57. 한윤선.김부경.전수아, 2014,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가정환경 요인과 다문화 밀집지역의 조절효과, 청소년학연구, 21, pp.97-125.
  58. 황정미, 2010, 한국인의 다문화 수용성 분석: 새로운 성원권의 정치학 관점에서, 아세아연구, 53(4), pp.152-184.
  59. 황정미, 2016, 사회적 위협 인식과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사회적 거리, 아태연구, 23(2), pp.311-346.
  60. 황정미.김이선.이명진.최현.이동주, 2007, 한국사회의 다민족.다문화 지향성에 대한 조사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61. Allport, G., 1954, The Nature of Prejudice, Cambridge. MA: Addison-Wesley.
  62. Blalock, H., 1967, Towards a Theory of Minority Group Relations, New York: Capricorn Books.
  63. Bobo, L., 1983, Whites' opposition to busing: Symbolic racism or realistic group conflic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5(6), pp.1196-1210. https://doi.org/10.1037/0022-3514.45.6.1196
  64. Brubaker, R., 1992, Citizenship and Nationhood in France and Germany, Cambridge, Mass: Harvard University Press.
  65. David, B., 2005, Us and Them, New York: Little, Brown, and Company.
  66. Hair, J. F., Black, W. C., Babin, B. J., Anderson, R. E., & Tatham, R. L., 2006, Multivariate data analysis(6th ed.), New Jersey: Prentice Hall.
  67. Pettigrew, T, 2003, People under threat: Americans, Arabs, and Israelis, Peace and Conflict: Journal of Peace Psychology, 9(1), pp.69-90. https://doi.org/10.1207/S15327949PAC0901_03
  68. Quillian, L., 1995, Prejudice as a response to perceived group threat,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0(4), pp.586-611. https://doi.org/10.2307/2096296
  69. Scheepers, P., Gijsberts, M., & Coenders, M., 2002, Ethnic exclusionism in European countries: Public opposition to civil rights for legal migrants as a response to perceived ethnic threat, European sociological review, 18(1), pp.17-34. https://doi.org/10.1093/esr/18.1.17
  70. Smith, A. D., 1991, National identity, University of Nevada press.
  71. Tajfel, H. and Turner, J. C., 1986, The social identity theory of intergroup behavior, In S. Worchel & W. G. Austin (Eds.), Psychology of Intergroup Relations, Chicago: Nelson-Hall, pp.7-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