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mparative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for Mathematics in Korea and Japan: Focus on 2015 Revised Curriculum

한국과 일본의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비교 연구: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강효민 (대구범일초등학교) ;
  • 류성림 (대구교육대학교 수학교육과)
  • Received : 2019.04.15
  • Accepted : 2019.05.22
  • Published : 2019.05.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next curriculum revision, as well as to foster improvements to the quality of the Korean elementary school math classes by analyzing and comparing the Korean 2015 revised curriculum with the current Japanese curriculum of math.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as follows. 1. What are the directions for revising Korean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he Japanese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2.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elements of learning content offered in the respective Korean and Japanese curriculums for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although Korea and Japan share common core statistical education objectives, they approach their goals with different methods. Korea focuses on academic competency, while Japan focuses on fostering the "power to live". For the learning process, Korea emphasized process-focused evaluation, while Japan emphasized fostering mathematical thought and thinking through mathematical activities. For class improvement, Korea focused on reducing the learning burden through appropriating the amount of learning by shifting or removing some elements of the learning content. Japan, on the other hand, refocused their attention on improving active learning within the classroom, and also increased the hours of math class within their curriculum. Secondly,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content composition of the curriculums of Korea and Japan. By comparing the elements of learning content, I got the conclusions for the next curriculum revision in Korea.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2015 개정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과 일본의 소학교 산수 학습지도요령의 개정 방향이 무엇이며 학습내용요소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차기 교육과정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개정 방향을 비교하여 교육과정의 목표, 교수·학습방법, 평가방법의 측면에서 한국과 일본의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 대해 분석하였다. 학습내용요소를 각 영역별로 비교하여 한국과 일본의 교육과정에서 나타나는 내용요소의 차이점과 특징을 분석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효민 (2019). 한국과 일본의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비교 연구: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대구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 곽진미 (2018). 자료 처리 능력 함양을 위한 교수.학습 자료 개발 및 적용-대푯값 단원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 교육과학기술부 (2009).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과학기술부 제2009-41호.[별책1].
  4. 교육부 (1992). 국민 학교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1992-16호.
  5. 교육부 (2015).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8].
  6. 교육부 (2016).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해설 -초등학교-.
  7. 교육부 (2017). 교사용 지도서 수학1-1. 서울: 천재교육.
  8. 김소아 (2017). 교육과정과 학생 중심 수업혁신의 요건, 교육정책 네트워크 정보센터. 현안문제진단. http://edpolicy.kedi.re.kr/frt/boardView.do?strCurMenuId=66&nTbBoardArticleSeq=260448
  9. 문교부 (1954).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사범학교 교육과정 시간 배당 기준령 별표4, 고등학교 교육과정 시간 배당 기준표. 문교부령 제35호.
  10. 문교부 (1963). 국민 학교 교육과정. 문교부령 제119호.
  11. 박경미 (2015).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시안개발연구II. 연구보고서BD15120005. 한국과학창의재단.
  12. 박경미, 김남희, 나귀수, 방정숙, 이경화, 임재훈, 정영옥, 정희진, 황혜정 (2005).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국제 비교 연구. 교원교육, 21(1), 32-49.
  13. 박교식 (2017).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서 제시하고 있는 각뿔의 외연에 대한 고찰.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20(1), 43-56. https://doi.org/10.30807/KSMS.2017.20.1.003
  14. 방정숙, 이지영, 이상미, 박영은, 김수경, 최인영, 선우진 (2015). 한국, 중국, 일본, 미국 초등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수학적 과정 요소에 대한 분석. 대한수학교육학회 학교수학, 17(2), 289-308.
  15. 이동환 (2013). 초등학교 수학교과서 '각뿔' 지도 방식에 대한 분석과 개선 방안. 대한수학교육학회 학교수학, 15(1), 1-14.
  16. 이원희, 박영무, 허숙, 박천환, 한승희, 장성모, 조주연, 황윤한, 박승배, 김영천, 조재식, 장인실 (2010). 교육과정. 서울: 교육과학사.
  17. 이종학 (2011). 예비 교사의 통계적 추론 능력에 대한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4(3), 299-327
  18. 임현수, 강홍재 (2010). 한.일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비교 연구-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4(2), 337-353.
  19. 조윤동, 윤용식 (2014). 핵심 역량 육성의 관점에서 비교한 한국과 일본의 수학과 교육과정. 대한수학교육학회지 수학교육학연구, 24(1), 45-65.
  20. 조형미 (2017). 한국 수석교사의 수학수업과 싱가포르 리드교사의 수학수업에서 나타난 사회수학적 규범에 대한 사례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최승현, 구자옥, 김주훈, 박상욱, 오은순, 김재우 (2013). PISA와 TIMSS 결과에 기반한 우리나라 학생의 정의적 특성 함양 방안(RRE 2013-8).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2. 하태성 (2001). 한.일간의 초등학교 수학과 새교육과정 비교연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5, 37-53.
  23. 国立教育政策研究所 (2017). TIMSS2015算数.数学教育/理科教育の国際比較-国際数学.理科教育動向調査の2015調査報告書-. 明石書店.
  24. 清水美憲 (2010). 授業を科学するー数学の授業への新しいアプローチ. 学文社.
  25. 文部科学省 (2017a). 小学校学習指導要領 (平成29年告示).
  26. 文部科学省 (2017b). 小学校学習指導要領 (平成29年告示) 解説算数編.
  27. 文部科学省 (2017c). 小.中学校新学習指導要領Q&A.
  28. 文部科学省 (2018). 別表1 小学校の標準授業時数について. http://www.mext.go.jp/b_menu/shingi/chukyo/chukyo3/004/siryo/attach/1404808.htm
  29. 中央教育審議会 (2016). 今後の学習指導要領改訂スケージュール.
  30. Doll, R. C. (1996). Curriculum improvement: Decision making and process(9th ed.). Boston: Allyn and Bacon.
  31. Frederick, K. S. L., & Yeping. L. (2010). Sharing and understanding mathematics education policies and practises in East Asia: An introduction. In Frederick, K. S. L. & Yeping, L.(Eds.). Reforms and issues in school mathematics in East Asia: Sharing and understanding mathematics education policies and practises (p.1-8). Rotterdam: Sense Publishers.
  32. Garfield, J., & Chance, B. (2000). Assessment in Statistics Education: Issues and Challenges. Mathematics Thinking and Learning, 2(1), 99-125. https://doi.org/10.1207/S15327833MTL0202_5
  33. Parkay, F. W., & Stanford, B. H. (1995). Becoming a teacher(3rd ed). Boston: Allyn and Bacon.
  34. Stigler, J. W., & Hiebert, J. (1999). The teaching gap. New York: NY, Free Press.
  35. Wild, C. J., & Pfannkuch. M. (1999). Statistical thinking in empirical inquiry. International Statistical Review, 67(3), 223-265. https://doi.org/10.1111/j.1751-5823.1999.tb00442.x
  36. Wiles, J., & Bondi, J. (2002). Curriculum development: A guide to practice(6th ed.). Upper Saddle River, NJ: Merrill Prentice H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