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the Teaching of Statistical Graphs according to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초등수학 교육과정에 따른 통계 그래프 지도의 분석

  • Received : 2019.04.15
  • Accepted : 2019.05.22
  • Published : 2019.05.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eaching of statistical graphs according to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To do this, we set up three research questions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change in achievement standards related to the teaching of statistical graphs in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Second, what is the change in the teaching of the drawing of statistical graphs in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Third, what is the change in the teaching of understanding of statistical graphs in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For the first research question, we analyzed the achievement standards related to the teaching of the statistic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from the first curriculum. For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we analyzed how to provide students with the opportunity to draw graphs(number of drawings) and whether to present the basic frame of the graphs(frame provided). For the third research question, we analyzed questions in the textbooks based on the graph understanding; 'reading data', 'finding the relation between data', 'interpreting data', 'understanding the situ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achievement standard in the curriculum has changed in the direction of fostering statistical thinking, and it has been changed to emphasize the interpretation of the graph so as to make the graph drawing easy. However, 'interpreting data' and 'understanding the situation' were still lacking.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초등수학 교육과정에 따른 통계영역의 그래프 지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세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수학 교육과정에서 그래프 지도와 관련된 성취기준의 변화는 어떠한가? 둘째, 초등수학 교육과정에서 그래프 그리기 지도의 변화는 어떠한가? 셋째, 초등수학 교육과정에서 그래프 이해 지도의 변화는 어떠한가? 첫 번째 연구문제를 위해 1차 교육과정부터 현행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통계영역의 지도와 관련된 성취기준을 분석하였다. 두 번째 연구문제를 위해 그래프 그리기를 지도할 때 학생들에게 그래프 그리는 기회를 얼마나 제공하는지(그리기 횟수)와 그래프의 기본틀을 제시하는지 여부(틀 제공)를 조사하였다. 세 번째 연구문제를 위해 교과서의 질문을 그래프 이해의 지도와 관련된 '자료 읽기', '자료 사이의 관계 찾기', '자료 해석하기', '상황 이해하기'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육과정에서 성취기준은 통계적 사고를 함양시키는 방향으로 변화하였으며, 그래프 그리기 지도를 쉽게 할 수 있도록 하고 그래프의 해석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었다. 그러나 '자료해석하기'와 '상황이해하기'는 여전히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은성, 강현영, 신보미, 김은하, 정승호, 홍창섭, 지영명, 이자미, 하병수, 탁병주 (2018). 실용통계 교육을 위한 교사용 가이드북. 한국과학창의재단.
  2. 남승인, 신준식, 류성림, 권성룡, 김남균 (2004). 초등 교사 교육을 위한 수학프로그램 적용 및 확산 연구.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3. 박도순, 홍후조 (1999).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서울:문음사.
  4. 방정숙 (2008). 통계 학습과 관련된 제 7차 초등학교 수학과 교과용 도서 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1(4), 655-676
  5. 배종수 (1999). 초등수학교육지도법-제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서울: 경문사.
  6. 배혜진, 이동환 (2016). 통계적 문제해결 과정 관점에 따른 초등 수학교과서 통계지도 방식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0(1), 55-69.
  7. 송정화 (2001). 교과서 분석을 통한 그래프 지도 방안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8. 송정화, 권오남 (2002). 6차와 7차 교과서 분석을 통한 그래프 지도 방안, 학교수학, 4(2), 161-191.
  9. 우정호 (2017). 학교 수학의 교육적 기초(하).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10. 유현주 (2013). 2007 개정 초등수학교육과정에 따른 통계영역 교과서 분석-그래프 지도를 중심으로. 초등교육연구, 24(1), 81-97.
  11. 이자미, 고은성 (2019). 초등학교 4,5,6학년 학생들의 그래프 이해 능력 조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3(1), 169-192.
  12. 임지애 (2003). 초등학교 수학교과서에 나타난 그래프 지도 방법에 대한 분석.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조인영, 강완 (2018).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진술 방식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2(1), 69-92.
  14. 황현미 (2007).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그래프 이해 능력 실태 조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5. 허경철, 곽병선, 백순근, 김신영, 채선희, 구자억, 최돈형, 이인제, 김왕근, 박경미 (1996). 국가 공통 절대평가 기준 일반모형 개발 연구. 연구보고서 RM96-04. 한국교육개발원.
  16. Bakker, A. & Gravemeijer, K. P. E. (2004). Learning to reason about distribution. In D. Ben-Zvi & J. Garfield(Eds.), The challenge of developing statistical literacy, reasoning, and thinking (pp.147-168). Dordrecht, The Netherlands: Kluwer Academic Publishers.
  17. Baroody, A. J,. & Coslick, R. T. (1998). Fostering children's mathematical power.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 권성룡 외 11인 (역) (2005). 수학의 힘을 길러주자. 왜? 어떻게? 서울: 경문사.
  18. Curcio, F. R. (1987). Comprehension of mathematical relationships expressed in graph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18(5), 382-393. https://doi.org/10.2307/749086
  19. Friel, S. N., Curcio, F. R., & Bright, G. W. (2001). Making sense of graphs: Critical factors influencing comprehension and instructional implication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2(2), 124-158. https://doi.org/10.2307/749671
  20. Reys, R. E., Suydam, M. N., Limdquist, M. M., & Smith, N. L. (1998). Helping children learn mathematics (5th ed). Boston: Allyn & Bacon. 강문봉 외 19인 공역 (1999). 초등 수학 학습 지도의 이해. 서울: 양서원.
  21. Wainer, H. (1992). Understanding graphs and tables. Educational Researcher, 21(1), 14-23. https://doi.org/10.3102/0013189X021001014
  22. Wild,C., & Pfannkuch, M.(1999). Statistical thinking in empirical enquiry. International Statistical Review, 67(3), 223-265. https://doi.org/10.1111/j.1751-5823.1999.tb00442.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