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racteristics of Images in Image-based SNS and User Satisfaction - Focusing on Instagram and Pinterest -

이미지 기반 SNS에 나타난 이미지의 속성과 사용자 만족 인스타그램과 핀터레스트를 중심으로

  • 윤지선 (이화여자대학교 융합콘텐츠학과) ;
  • 류한영 (이화여자대학교 융합콘텐츠학과)
  • Received : 2018.09.03
  • Accepted : 2019.01.17
  • Published : 2019.02.28

Abstract

SNS has been advanced from first to third generation by changing its service format in various ways. Nowadays, image-based SNS such as instagram and pinterest where users communicate via images has become popular as third generation service. Due to the fact that users communicate especially through images, image-based SNS utilizes images in different ways compared to other SNS. This study derived various characteristics of images in image-based SNS, and observed how users perceive each of them differently. Also,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and user satisfaction on image-based SNS is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include 6 items; 'implicity', 'recordability', 'expressing identity', 'indirect experience', 'temporary amusement', and 'stimulating desire.' As a result of comparing user perception regarding those 6 characteristics, recordability and indirect experience were highly recognized than other characteristics. Also, according to users' age, motivation of using image-based SNS, and number of followers they have, users perceived each characteristic in different level. Finally,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and user satisfaction was analyzed, and the result showed that indirect experience had positive influence to user satisfaction. Regarding indirect experience, it was highly perceived by users and also had positive influence to their satisfaction, which means it is the most typical characteristic of image-based SNS.

SNS는 서비스의 형태를 다양하게 변화시키면서 1세대부터 3세대까지 발전을 거듭해왔다. 최근에는 인스타그램이나 핀터레스트와 같이 이미지를 중심으로 소통하는 이미지 기반 SNS가 3세대 서비스로 떠오르면서 많은 사용자들에게 인기를 얻고 있는 상황이다. 이처럼 이미지 기반 SNS는 이미지를 중심으로 소통한다는 특징 때문에 이미지의 활용 방식에 있어서도 다른 서비스들과는 차별 점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특징에 주목하여 이미지 기반 SNS에 나타나는 이미지의 다양한 속성을 살펴보고 사용자들의 인식 차이를 알아보았다. 또한 이를 활용하여 각 속성들이 서비스의 만족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확인하였다. 살펴본 이미지의 속성은 '자기지시성', '기록성', '정체성 표현', '간접 경험', '일회적 유희성', '욕망 생산' 과 같이 6가지였다. 사용자들의 6가지 속성에 대한 인식 차이를 비교한 결과 기록성과 간접 경험을 비교적 높게 반영되어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각 속성에 대한 인식은 사용자의 연령, 이미지 기반 SNS의 사용 동기, 보유한 팔로워 수와 같은 사용자의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미지의 속성이 사용자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간접 경험이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접 경험은 실제 이미지 기반 SNS의 이미지에 반영되어 있다고 인식하는 정도가 높고 만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속성으로 밝혀져, 이미지 기반 SNS를 설명하는 대표적인 속성으로 이해해볼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동표. SNS 피로감 커졌나 전체 SNS 이용률 감소세로.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5&oid=277&aid=0004197458 2018.03.22.
  2. 김경윤. 실사용자 5억명 인스타그램 창업자 "의사소통 기원은 그림문자".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7/04/020 0000000AKR201607041 64900009.HTML 2018.03.15.
  3. 송영조. 빅데이터 시대! SNS의 진화와 공공정책. IT & Future Strategy. 13. 한국정보화진흥원. pp. 1-27. 2012.
  4. 심홍진, 황유선. 마이크로블로깅(micro-blogging) 이용동기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24(2). 한국방송학회. pp. 192-234. 2010.
  5. 신현희, 김경란. SNS의 형태적 진화에 따른 이용동기 및 사용행태 차이- 대학생의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 이용을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15(6). 한국디지털정책학회. pp. 155-164. 2017. https://doi.org/10.14400/JDC.2017.15.6.155
  6. 강태임, 나건. 디지털 멀티미디어에서 그래픽영역의 시각적 표현 사례 분석.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6(4). 한국디자인문화학회. pp. 1-10. 2010.
  7. 조민지. 이미지의 시대 기록전시와 사진기록. 기록학연구. (39). 한국기록학회. pp. 73-100. 2014. https://doi.org/10.20923/KJAS.2014.39.073
  8. Lister, M. Introductory essay. In Lister, M. (Ed.) The photographic image in digital culture. Oxon: Routledge. pp. 1-26. 1995.
  9. 강인규. 핀터레스트, 이미지 기반 SNS의 반격. 최원아(편). 함께 쓰는 SNS 이야기. 서울: 라온북. pp. 128-151. 2013.
  10. 김정남. 대학 아카이브즈의 사진자료 관리에 관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3(2). 한국기록관리학회. pp. 98-113. 2003. https://doi.org/10.14404/jksarm.2003.3.2.098
  11. Barthes, R. (송숙자 역). 바르트와 손탁: 사진론. 서울:현대미학사. 1994.
  12. Slater, D. Domestic photography and digital culture. In Lister, M. (Ed.) The photographic image in digital culture. Oxon: Routledge. pp. 129-146. 1995.
  13. Robins, K. Will image move us still?. In Lister, M. (Ed.) The photographic image in digital culture. Oxon: Routledge. pp. 29-50. 1995.
  14. 이용환. 디지털 유저를 위한 디지털 이미지론. 서울: 눈빛. 2013.
  15. 이동후. 카메라폰을 통한 여성의 문화적 의미 만들기. 미디어, 젠더 & 문화. (1).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pp. 7-38. 2004.
  16. 이승윤. 인스타그래머의 자기노출과 정보특성이 소비자 반응에 미치는 영향: 쇼핑몰 운영자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의류학과. 대한민국: 서울. 2017.
  17. Bhattacherjee, A. Understanding information systems continuance: an expectation-confirmation model. MIS quarterly. 25(3).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Center. pp. 351-370. 2001. https://doi.org/10.2307/3250921
  18. 이경률, 공주희. 사진 이미지 리터러시 교육의 필요성과 가능성: 유아교육 현장에서 사진의 교육적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진학회지. 23. 한국사진학회. pp. 6-15. 2010.
  19. 김태균. SNS, 검색엔진, 디지털 라디오...유튜브 넌 누구냐. 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8/03/07/0200000000AKR20180307157100033.HTML 2018.1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