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Business Start-up and Closing Business according to the Type of Industry

업종별 창업 및 폐업의 지리적 특성 분석

  • Lee, Keumsook (Department of Geography, Sungshin Women's University) ;
  • Park, Sohyun (Environmental Planning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 이금숙 (성신여자대학교 지리학과) ;
  • 박소현 (서울대학교 환경계획연구소)
  • Received : 2019.06.25
  • Published : 2019.06.30

Abstract

In this study, we examine business start-up and closing business in a geographical context. In particular, we analyze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business start-up and closing business according to the type of industry. For the purpose, we use the last 10 years data that have been related with current economic situation since the financial crisis. In first, we identify the spatial distribution patterns of business start-up and closing business, We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individual businesses and corporations. Finally, we construct general linear regression models and spatial regression models for them, and derive meaningful socioeconomic variables that explain their location distribu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provide basic data for regional planning of national and local governments that activate local economies as well as job creation.

본 연구에서는 창업과 폐업을 지리적 맥락에서 검토한다. 특히 업종에 따라 창업과 폐업의 지리적 특성을 밝히고 이들에 작용하는 지리적 요소 및 그 영향을 파악한다. 이를 위하여 창업에 대한 자료 수합이 이루어지는 지역단위인 전국의 시 군 구를 대상으로 지금과 같은 경제상황의 단초가 마련된 금융위기 이후 10년의 자료를 활용한다. 먼저 창업과 폐업의 지리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개인 및 법인의 공간적 분포 양상을 검토하고, 이들의 지리적 분포를 설명하는 일반선형회귀모형과 공간회귀모형을 구축한다. 분석결과, 창업 입지분포를 결정하는 요인과 폐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개인과 법인 간, 개인의 창업과 폐업 간에 다소 상이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창업을 독려하여 일자리을 창출하고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키고자하는 국가 및 지방정부의 지역계획에 기초적 자료가 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우영.박동규, 2012, "자영업 비중에 대한 시계열 분석: 실업률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중소기업학회, 중소기업연구 34(3), pp.21-41.
  2. 김원규.김진웅, 2014, "창업이 고용창출 및 성장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21(2), pp.211-227.
  3. 남윤미, 2017, 국내 자영업의 폐업률 결정요인 분석, BOK경제연구 제2017-5.
  4. 류근관.김명원.정재원, 2015, "정부 행정 통계를 이용한 자영업 창업 및 생존률 분석," 서울대 빅데이터연구원, 빅데이터연구원 분석 보고서 제1권.
  5. 박소현.이금숙, 2016, "서울대도시권 지식서비스산업의 입지적 특성과 관련 업종별 고용기회 예측,"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9(4), PP.694-711. https://doi.org/10.23841/egsk.2016.19.4.694
  6. 박소현.이금숙, 2017, "수도권 1기 신도시 지역산업의 성장과 고용효과의 변화 분석: 고양시와 성남시를 대상으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0(1), pp.34-48. https://doi.org/10.23841/egsk.2017.20.1.34
  7. 박소현.이금숙, 2018, "저출산-고령사회 지역 인구구조 변화를 고려한 인구연령층별 관련 의료시설 분포 예측," 대한지리학회지 53(3), pp.371-385.
  8. 안은경.이희연, 2015, "지역노동시장권별 창업에 의한 일자리 창출 격차 및 일자리 질 비교,"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8(2), pp.168-189.
  9. 안주엽.성지미, 2003, "자영업 지속기간의 결정요인," 노동경제논집 26(2), pp.1-30.
  10. 이금숙, 1998, "의료서비스시설 입지문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2), pp.71-84.
  11. 이윤숙.문성욱, 2016, "창업의 수, 생존율 및 고용 성장에 관한 고찰," Korea Business Review 20(2), pp. 121-141. https://doi.org/10.17287/kbr.2016.20.2.121
  12. 이정현.이희연, 2017, "지식기반산업 창업기업의 고용창출 효과,"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0(2), pp.137-157. https://doi.org/10.23841/egsk.2017.20.2.137
  13. 전현배.조장희.강지수, 2016, "진입퇴출과 생산성 성장: 창업 억제 대상 자영업을 중심으로," 한국은행, 2016 마이크로데이터 기반 한국경제 연구 컨퍼런스 논문집.
  14. 정혜진, 2016, "창업활동이 지역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 분석: 16개 광역시.도를 중심으로(2007-2014)," GRI연구논총 18(1), pp.35-62.
  15. 최중석.성상현, 2015, "예비 창업자의 인구학적 특성과 창업성향 발달도 및 창업업종 선정에 관한 연구, 벤처창업연구 10(5), pp.1-13.
  16. 국세청, 2018, 사업자현황 https://stats.nts.go.kr/time/time.asp#(국세청), 국세청 사업자현황 연령별: 산업분류는 대분류(농.임.어업 등) 지역단위 시군구, 30세이상, 40세 이상(개인, 법인).
  17. 국세청, 사업자 현황(신규사업, 폐업, 100대 생활밀접업종), 14개업태(대분류) 성별, 연령별, 존속연수별시군구 통계.
  18. 대통령직속 일자리 위원회, 일자리 상황판 일자리 상세지표 2019, https://dashboard.jobs.go.kr/index/detail?pg_id=PDCT010302&data2=DCT010302&ct_type=run
  19. 중소벤처기업부, 2018, 2018 창업지원사업.
  20. 통계청, 2018, 2017년 기준 기업생멸행정통계 결과.
  21. Baptisa, R. and Preto, M., 2011, "New firm formation and employment growth: regional and business vynamics," Small Business Economics 36(4), pp.419-442. https://doi.org/10.1007/s11187-009-9254-y
  22. Deli, F., 2011, "Opportunity and necessity entrepreurship: local unemployment and the small firm effect," Journal of Management Policy and Practice 12(4), pp. 38-57.
  23. Frey, C. B. and Osborne, M. A., 2017, "The Future of Employment: How Susceptible are Jobs to Computerization?," Technological Forecasting and Social Change 114(C), pp.254-280. https://doi.org/10.1016/j.techfore.2016.08.019
  24. Fritsch, M., 1997, "New firms and regional employment change," Small Business Economics 9(5), pp.437-448. https://doi.org/10.1023/A:1007942918390
  25. Fritsch, M. and Mueller, P., 2004, "Effects of new business formation on regional development over time," Regional Studies 38(8), pp.961-975. https://doi.org/10.1080/0034340042000280965
  26. Kane, T., 2010, "The importance of startups in job creation and job destruction," in Kauffman Foundation research series: Firm Formation and Economic Growth, pp.1-8.
  27. Mueller, P., van Stel, A. and Srorey, D., 2008, "The effects of new firm formation on regional development over time: the case of Great Britain," Small Business Economics 30, pp.59-71. https://doi.org/10.1007/s11187-007-9056-z
  28. van Stel, A. and Storey, D., 2004, "The link between firm births and job creation: is there Upas tree effect?," Regional Studies 38(8), pp.893-909. https://doi.org/10.1080/0034340042000280929
  29. van Stel, A. and Suddle, K., 2008, "The impact of new firm formation on regional development in the Netherlands," Small Business Economics 30(1), pp.31-47. https://doi.org/10.1007/s11187-007-9054-1

Cited by

  1. 지역별 가젤형 기업의 고용창출 특성 분석 vol.22, pp.3, 2019, https://doi.org/10.23841/egsk.2019.22.3.304
  2. 온라인 정보검색과 음식점 입지에 나타나는 변화: 서울시를 사례로 vol.23, pp.1, 2019, https://doi.org/10.23841/egsk.2020.23.1.56
  3. 강원도 청년창업 지원사업이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vol.15, pp.4, 2019, https://doi.org/10.16972/apjbve.15.4.202008.135
  4. 미니 산업단지의 입지적합성 평가 연구: 수도권을 중심으로 vol.23, pp.3, 2020, https://doi.org/10.23841/egsk.2020.23.3.334
  5. 커피전문점 생존 및 폐업 분포의 군집 유형별 생멸 특성 vol.23, pp.4, 2019, https://doi.org/10.23841/egsk.2020.23.4.408
  6. 광주광역시 음식점 개폐업과 교통접근성의 상관관계 분석 vol.23, pp.4, 2019, https://doi.org/10.23841/egsk.2020.23.4.425
  7. The Effect of Density by Type of Commercial Facilities on Closure of Restaurant : Targeting Major and Side-Street Trade Areas, Seoul vol.56, pp.1, 2019, https://doi.org/10.17208/jkpa.2021.02.56.1.108
  8. 코로나 19와 서울 소상공인 상권의 상관관계 분석 vol.25, pp.3, 2019, https://doi.org/10.6109/jkiice.2021.25.3.384
  9. 수도권 제조업 창업 활동의 공간적 분포 변화 - 공간 마르코프 체인의 응용 - vol.37, pp.2, 2021, https://doi.org/10.22669/krsa.2021.37.2.0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