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Stages and Characteristics of Place-Based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Projects: The Case of Universities Participating in the LINC+ Project

대학-지역 연계형 산학협력 사업의 발전단계와 특성: LINC+사업 참여대학을 중심으로

  • Lee, Jong-Ho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Institute for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Policy,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Jang, Hoo-Eun (Institute for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Policy,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이종호 (경상대학교 지리교육과 /산학협력정책연구소) ;
  • 장후은 (경상대학교 산학협력정책연구소)
  • Received : 2019.03.28
  • Published : 2019.03.31

Abstract

As the role of universities as a civic university contributing to regional development has been emphasized,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projects are increasingly focused on quadruple helix interactions of university, government, business and civic society. Drawing upon focus group interviews, we divided place-based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projects into four different types and stages of development, according to two indicators of network participation and network strength. Although the proportion of projects that were in the early stages of development was overwhelmingly high, some universities developed a close cooperative system with the local community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the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projects and to implement them in an advanced stag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LINC+ project, which has been criticized for its policy effectiveness, will not only contribute to enhancing policy effectiveness through place-based projects but also enhance the role of universities as the main body of regional innovation.

지역발전에 기여하는 시민대학(civic university)으로서 대학의 공공재적 역할이 점차 강조됨에 따라, 대학 산학협력 사업도 대학-기업-정부(지자체)의 3 주체에서 지역사회가 추가된, 이른바 쿼드러플 힐릭스 주체 간 상호 작용을 통한 대학-지역 연계형 산학협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대학육성사업(LINC+)에 참여하고 있는 55개 대학의 54개 사례를 분석 대상으로 하여 지역연계형 산학협력 사업의 발전단계와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지역연계형 산학협력 사업을 네트워크의 참여도와 네트워크 강도의 2가지 핵심 지표에 준거하여 4가지 유형과 발전단계로 구분하고, FGI 방법론을 사용하여 분류하였다. 분석 결과, 아직은 발전단계 초기인 사업들의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았으나, 일부 대학들은 지역사회와 긴밀한 협력 체계를 구축하여 산학협력 사업의 실효성을 높이고 내실화를 추구하면서 고도화된 산학협력 단계로 이행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그간 정책적 실효성에 비판을 받아온 LINC사업이 지역연계형 사업을 통해 정책적 실효성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역혁신의 주체로서 대학의 역할을 제고하는 효과도 거둘 수 있음을 시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 2012, 산학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 기본계획(안).
  2. 교육부, 2017,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 기본계획.
  3. 교육부.한국연구재단, 2018, 2018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육성 사업 산학협력고도화형 우수성과 사례집: 지역사회 및 산업체 공헌.
  4. 김대중, 2018,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육성사업의 정책효과 실증분석: LINC 2단계 사업이 지역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정책분석평가학회보 28(3), pp.27-47.
  5. 김동철.김정원, 2015, "지역 청년 일자리 미스매치 완화 방안: 강원대학교 LINC 사업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HRD연구 17(2), pp.215-239.
  6. 김봉문, 2013, 대학과 기업 간 산학협력 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7. 김세나, 2013, 지자체와 지역대학 간 협력사업 활성화 방안, 대구경북연구원.
  8. 김창호.이승철, 2016, "산학협력지원정책의 성과요인에 관한 연구," GRI 연구논총 18(2), pp.77-102.
  9. 김태운.김태영, 2016, "산학협력선도대학(LINC)사업의 정성적 평가지표에 대한 시론적 고찰: SYSTEM분야 지표를 중심으로," 기술혁신학회지 19(1), pp.105-136.
  10. 김한기, 2015, 산학협력선도대학 사업성과의 영향요인 연구, 한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1. 문광민, 2018, "정부의 대학 산학협력 재정지원은 효과적인가?: Game-교차효율성 측정모형과 유전 매칭(genetic matching)을 적용한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육성사업에 따른 대학의 산학협력 효율성 변화 분석,"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9(1), pp.53-82.
  12. 배상훈.라은종.홍지인, 2016, "경향점수매칭을 통한 산학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 성과분석," 교육행정학연구 34(3), pp.181-206.
  13. 백철우.이기종.노민선, 2016, "지역대학 중심의 산학 협력 파급효과 분석-LINC 사업의 비R&D부문 성과를 중심으로," 한국지방행정학보 13(1), pp.167-185.
  14. 송요셉 외, 2009, "다매체 환경에서 청소년의 미디어 활용방식에 대한 FGI 연구: 성별과 환경적 요인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언론정보연구 46(2), pp.33-65.
  15. 신진영.이종호, 2017, "대학이 지역에 미치는 영향 지표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3(3), pp.437-449.
  16. 안영진, 2005, "대학과 지역 간의 교류 및 협력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경제지리학회지 8(1), pp.73-92.
  17. 안영진, 2015, "대학과 기업 간의 협력: 기술이전을 중심으로 한 전남대학교의 사례 분석,"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8(2), pp.190-205.
  18. 안영진, 2017, "대학의 지역 경제적 파급효과: 지식이전을 중심으로 한 전남대학교의 사례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3(1), pp.227-238.
  19. 여석호, 2016, "LINC사업의 기업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와 효과성에 대한 융.복합 영향요인 연구,"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11), pp.13-26. https://doi.org/10.14400/JDC.2016.14.11.13
  20. 이기종, 2016, 지역대학 중심의 산학협력 논리모델 개발 및 파급효과 분석,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1. 이상미 외, 2016, "산학협력선도대학(LINC) 육성 사업의 효과성 분석," 정책분석평가학회보 26(4), pp.27-49.
  22. 이종호.장후은, 2017a, "영국의 대학기반 산학협력단지 관련 개념과 동향 및 정책적 시사점,"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0(2), pp.2014-227.
  23. 이종호.장후은, 2017b, "대학-지역 연계.협력 활성화를 위한 지방정부의 거버넌스 구축 방안," 지역정책 4(1), pp.32-47.
  24. 이철우.이종호, 2014, "트리플힐릭스 공간 구축을 통한 클러스터의 경로파괴적 진화: 미국 리서치트라이앨글파크 사례,"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7(2), pp.249-263. https://doi.org/10.23841/EGSK.2014.17.2.249
  25. 장은하.강현주, 2018, "산학관 협력을 통한 대학의 지역 인재양성 방안: 전라북도 J대학교 산학관 커플링 사례를 중심으로," HRD연구 20(3), pp.299-329.
  26. 장후은.이종호, 2017, "지역사회 문제해결형 산학협력을 통한 대학의 역할 제고 방안,"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3(3), pp.459-469.
  27. 장후은.이종호, 2018, "지방자치단체의 지역대학 지원사업 추진 실태와 정책과제: 산학협력 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4(1), pp.99-110.
  28. 장후은.이종호.허선영, 2015, "인문사회계열의 산학협력과 지역발전: 일본 사례를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지 50(5), pp.515-526.
  29. 조성의, 2014, "사이언스파크에서 기업가적 대학의 역할에 대한 연구: 북경 중관촌 지역 사례,"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7(1), pp.160-177.
  30. 최영훈.백종윤, 2012, "대학의 인력양성 및 연구개발이 지역발전에 미치는 영향," 한국공공관리학보 26(1), pp.53-73. https://doi.org/10.24210/KAPM.2012.26.1.003
  31. 최창원.금재덕.심동철, 2018, "산학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 성과 분석: 학생 성과를 중심으로," 한국공공관리학보 32(1), pp.75-104.
  32. Arnkil, R. et. al., 2010, Exploring Quadruple Helix: Outlining User Orientated Innovation Models, Work Research Centre, Institute for Social Research, University of Tampere, Finland.
  33. Clark, B. R., 1998, Creating Entrepreneurial Universities. London: Pergamon.
  34. Etzkowitz, H., 2004, "The Evolution of the Entrepreneurial University," International Journal of Technology and Globalization 1(1), pp.64-77. https://doi.org/10.1504/IJTG.2004.004551
  35. Etzkowitz, H. and Leydesdorff, L., 2000, "The Dynamics of Innovation: From National Systems and 'Mode 2' to a Triple Helix of University-Industry-Government Relations," Research Policy 29(2), pp.109-123. https://doi.org/10.1016/S0048-7333(99)00055-4
  36. Etzkowitz, H. and Leyesdorff, L., 2010, "The dynamics of innovation: from national sytems and mode 2 to a triple helix of iniversity-industry-government relations," Research Policy 29, pp.109-23. https://doi.org/10.1016/S0048-7333(99)00055-4
  37. Eurpoean Commssion, 2011, Connecting Universities to Regional Growth, Brussels: EC.
  38. Goddard, J., 2009, Re-inventing the Civic University, London: NESTA.
  39. Goddard, J., 2012, What do we mean by the "civic university"? Why is it important?, EESC Seminar.
  40. Goddard, J., Hazelkorn, E., Kempton, L. and Vallance, P., 2016, The Civic University: the Policy and Leadership Challenges, London: Edward Elgar.
  41. Kolehmainen, J., Irvine, J., Stewart, L., Karacsonyi, Z., Szabo, T., Alarinta, J. and Norberg, A., 2015, "Quadruple Helix, Innovation and the Knowledge-Based Development: Lessons from Remote, Rural and Less-Favoured Regions," Journal of the Knowledge Economy 7(1), pp.23-42. https://doi.org/10.1007/s13132-015-0289-9
  42. Ivanova, I., 2014, "Quadruple helix systems and symmetry: a step towards helix innovation system classification," Journal of the Knowledge Economy 5(2), pp.357-369. https://doi.org/10.1007/s13132-014-0201-z
  43. Martinez, D. and Palazuelos-Martínez, M., 2014, Breaking with the past in smart specialisation: a new model of selection of business stakeholders within the entrepreneurial process of discovery, GEN Working Paper.
  44. Park, H., 2014, "Transition from the Triple Helix to N-Tuple Helices? An interview with Elias G. Carayannis and David F. J. Campbell," Scientometrics 99, pp.203-207. https://doi.org/10.1007/s11192-013-1124-3

Cited by

  1. 대학과 가족회사의 산학협력 실태 및 활성화 방안 vol.23, pp.1, 2020, https://doi.org/10.23841/egsk.2020.23.1.71
  2. 사회맞춤형 LINC+ 육성사업에 따른 조리실습교육환경이 교육만족도,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vol.20, pp.12, 2019, https://doi.org/10.5392/jkca.2020.20.12.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