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Warmth Parenting and the Social Competence of Preschoolers : Sequential Mediation Effects of Self-Esteem and Positive Peer Play Interaction

부모의 온정적 양육행동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존중감과 긍정적인 또래놀이 상호작용의 직렬매개 효과

  • Received : 2019.04.15
  • Accepted : 2019.08.02
  • Published : 2019.08.31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positive peer play interaction between warmth parenting and the social competence of preschoolers. Methods: The 7th wave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2014) was used to analyze 1,113 preschoolers. Sequential mediation effects were analyzed using SPSS Process Macro(Hayes, 2013). Results: Warmth parenting indirectly affected preschooler's social competence (cooperation, assertion, self-control) by yielding sequential mediation effects on self-esteem and peer play interaction. Namely, warmth parenting does not directly affect social competence but doe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reschooler self-esteem, which positively affected peer play interaction. This path increases the social competence(cooperation, assertion, self-control) of preschool children. Conclusion/Implications: In order to increase the social competence (cooperation, assertion, self-control) of preschool children, it is important for the preschooler to consider themselves a worthy person and to learn positive interaction techniques through warmth parenting.

Keywords

References

  1. 고현경, 이승연 (2010). 만 4,5세 유아와 부모의 자아존중감 분석. 육아지원연구, 5(1), 27-50. doi:10.16978/ecec.2010.5.1.002
  2. 김선희 (2014). 사회경제적 지위, 어머니의 우울,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유아의 부정적 또래놀이 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유아교육학논집, 18(5), 317-388.
  3. 김성현, 배율미 (2016).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또래유능성 간의 관계: 유아의 자기조절의 중재적 효과분석. 유아교육학논집, 20(2), 471-494.
  4. 김세루, 홍지명, 홍혜경 (2010). 어머니의 양육행동 및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 어린이미디어연구, 9(2), 113-132.
  5. 김수영 (2000). 유아의 또래 수용도, 놀이상호작용 및 놀이형태와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20(3), 47-65.
  6. 김숙현 (2006). 어머니의 초기대상관계가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현미, 도현심 (2004).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25(6), 279-298.
  8. 김현주, 홍상황 (2015). 부모의 양육태도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또래애착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한국초등교육, 26(1), 413-429. doi:10.20972/kjee.26.1.201503.413
  9. 노보람, 은선민, 이강이, 김은영 (2016). 부모의 양육스트레스 및 양육행동과 유아기 자녀의 부정적 또래 상호작용의 구조관계: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중심으로. 인간발달연구, 23(4), 155-179. doi:10.15284/kjhd.2016.23.4.155
  10. 단현국 (2004). 유아의 유치원 적응의 함수풀이 탐색. 한국교원대학교 교과교육 공동연구소 편, 교과교육의 질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자료 개발 및 활용방안 모색(pp. 3-13). 충북: 한국교원대학교 출판부.
  11. 동아일보 (2019. 3). 저출산 재앙의 시작: 한국이 쪼그라든다. http://news.donga.com/3/all/20190329/94792426/1에서 2019년 6월 3일 인출
  12. 문혁준 (2009). 아동의 또래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어머니의 취업유무를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30(2), 57-69.
  13. 박성연 (2006). 아동발달. 서울: 교문사.
  14. 박주희, 이은해 (2001). 아동의 또래 유능성에 관련된 어머니의 양육목표, 양육행동 및 또래관계 관리전략. 아동학회지, 22(4), 1-15.
  15. 베이비뉴스 (2018. 12). 오늘 친구들이 안 놀아줘서 나 혼자 놀았어. http://www.ibaby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70381에서 2019년 6월 5일 인출
  16. 서미옥 (2004). 한국판 취학전 아동용 사회적 기술 척도(K-SSRS: 교사평정용, 부모평정용)의 타당화 연구. 유아교육연구, 24(2), 223-242.
  17. 송지윤, 김미숙 (2017). 아동의 수줍음이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또래관계 질의 매개효과. 한국놀이치료학회지, 20(2), 143-154. doi:10.17641/KAPT.20.2.3
  18. 양유리 (2019). 초등학생의 거부민감성이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 오연경, 황혜신 (2019). 부모의 유머스타일이 유아의 정서 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온정적 양육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40(1), 27-37. doi:10.5723/kjcs.2019.40.1.27
  20. 우수정 (2014). 부모의 바람직하지 않은 양육행동과 아동의 친구관계 및 자기조절학습능력이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23(5), 759-771. https://doi.org/10.5934/kjhe.2014.23.5.759
  21. 윤선영, 정혜숙 (2010).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의 양육행동 탐색. 유아교육학논집, 14(5), 27-54.
  22. 이설아 (2014). 유아의 자아존중감이 유치원 적응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임현주 (2017).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양육효능감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열린부모교육연구, 9(4), 39-56.
  24. 임현주 (2018). 유아의 자아존중감, 또래놀이 상호작용 군집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 다변량분석. 유아교육연구, 38(3), 215-236. doi:10.18023/kjece.2018.38.3.009
  25. 전란영, 김희화 (2016). 부모의 비일관적 양육 및 과잉간섭적 양육이 초기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에 미치는 영향-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시설환경, 14(2), 57-67.
  26. 전주람, 김순옥 (2009). 모의 부정적 양육행동과 아동의 모애착안정성이 아동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7(2), 173-190.
  27. 조복희, 이진숙, 이흥숙, 권희경 (1999). 한국 부모의 자 녀 양육방식에서의 차원과 평가. 대한가정학회지, 37(10), 123-133.
  28. 조준오, 김영언, 나정 (2016). 유아의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자기조절력이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탐색. 아동교육, 25(1), 261-276. doi:10.17643/KJCE.2016.25.1.15
  29. 조준오, 탁정화 (2015). 유아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기능성, 어머니 양육효능감 및 양육스트레스 간의 구조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4), 443-468.
  30. 지성애, 김승희 (2010). 유아의 자아존중감, 또래상호작용, 놀이성 간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5(4), 111-127.
  31. 최윤희, 문혁준 (2018). 부모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8(7), 221-228. doi:10.5392/JKCA.2018.18.07.221
  32. 최인숙 (2014). 유아의 언어능력 및 정서조절능력과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유아의 또래유능성과 또래공격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2(6), 47-58. https://doi.org/10.7466/JKHMA.2014.32.6.47
  33. 최진희 (2009).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및 사회적 유능감.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최혜영, 신혜영 (2008). 아동 또래놀이행동 척도(PIPPS)의 국내 적용을 위한 타당화 연구. 아동학회지, 29(3), 303-318.
  35. 최혜영, 신혜영 (2011). 아동의 문제행동 유형에 따른 또래 놀이행동.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9(4), 175-186.
  36. 최희정 (2011). 유아의 자기존중감과 사회적 유능감과의 관계. 한국유아교육연구, 13(2), 139-167.
  37. 황정희 (2014). 청소년의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또래관계 특성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Altay, F. B., & Gure, A. (2012). Relationship among the parenting styles and the social competence and prosocial behaviors of the children who are attending to state and private preschools. Educational Sciences: Theory and Practice, 12(4), 2712-2718.
  39.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doi:10.1037/0022-3514.51.6.1173
  40. Bollen, K. A. (2014). Structural equations with latent variables. New York: John Wiley & Sons.
  41. Fantuzzo, J., Coolahan, K., Mendez, J., McDermott, P., & Sutton-Smith, B. (1998). Contextually-relevant validation of peer play constructs with African American Head Start children: Penn interactive peer play scale.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3(3), 411-431. doi:10.1016/S0885-2006(99)80048-9
  42. Gresham, F. M., & Elliott, S. N. (1990). Social skills rating system Manual. Circles Pines, MN: American Guidance Service.
  43. Harman, D., & Brim Jr, O. G. (1980). Learning to be parents: Principles, programs, and methods. Beverly Hills, CA: Sage Publication.
  44. Harter, S., & Pike, R. (1984). The pictorial scale of perceived competence and social acceptance for young children. Child Development, 55(6), 1969-1982. doi:10.2307/1129772
  45. Hayes, A. F. (2013).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New York: The Guilford Press.
  46. Hosokawa, R., Katsura, T., & Shizawa, M. (2017). Relations of mother's sense of coherence and childrearing style with child's social skills in preschoolers.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and Mental Health, 11(11), 1-11. doi:10.1186/s13034-017-0147-6
  47. Lengua, L. J., Honorado, E., & Bush, N. R. (2007). Contextual risk and parenting as predictors of effortful control and social competence in preschool children.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28(1), 40-55. doi:10.1016/j.appdev.2006.10.001
  48. Morris, A. S., Silk, J. S., Steinberg, L., Myers, S. S., & Robinson, L. R. (2007). The role of the family context in the development of emotion regulation. Social Development, 16(2), 361-388. doi:10.1111/j.1467-9507.2007.00389.x
  49. Parker, J. G., & Asher, S. R. (1987). Peer relations and later personal adjustment: Are low-accepted children at risk? Psychological Bulletin, 102(3), 357-389. doi:10.1037/0033-2909.102.3.357
  50. Raver, C. C., & Zigler, E. F. (1997). Social competences: An untapped dimension in evaluating Head Start's succes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2(4), 363-385. doi:10.1016/S0885-2006(97)90017-X
  51. Rubin, K. H., Bukowski, W. M., & Parker, J. G. (2007). Peer interactions, relationships, and groups.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Hoboken, NJ: John Wiley & Sons. doi:10.1002/9780470147658.chpsy0310
  52. Webster, L. L., Low, J., Siller, C., & Hackett, R. K. (2013). Understanding the contribution of a father's warmth on his child's social skills. Fathering: A Journal of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About Men as Fathers, 11(1), 90-113. doi:10.3149/fth.1101.90

Cited by

  1. 지지적인 학교환경이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행복감의 직렬매개 효과 vol.16, pp.6, 2019, https://doi.org/10.14698/jkcce.2020.16.06.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