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lationship between Military Life Adaptation and College Life Adaptation among College Students: Mediating Effects of Grit and Self-leadership

대학생들의 병영생활적응과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 투지 및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

  • 주지향 (삼육대학교 대학원 상담심리학과) ;
  • 정구철 (삼육대학교 상담심리학과)
  • Received : 2019.05.30
  • Accepted : 2019.07.11
  • Published : 2019.08.28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and self-leadership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ilitary life adaptation and college life adaptation among male college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33 male college students who returned to college after military duty and the average age was 25(SD=1.7).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were seen between military life adaptation, grit, self-leadership, and college life adaptation. Second, military life adapta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grit, self-leadership, and college life adaptation. Third, grit ha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ilitary life adaptation and college life adaptation. Fourth, self-leadership ha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ilitary life adaptation and college life adaptation. This study showed that military life adaptation improved the grit and self-leadership of college students and that this personal growth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ollege life adaptation after returning from military duty. Based on these results, the relationship between military life and college life was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병영생활적응 경험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투지와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군 제대 후 복학한 남자 대학생 233명이었고, 평균 연령은 25세(SD=1.7)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병영생활적응과 투지, 셀프리더십 그리고 대학생활적응은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병영생활적응은 투지와 셀프리더십 및 대학생활적응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병영생활적응과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투지는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었다. 넷째, 병영생활적응과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은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병영생활적응이 대학생들의 투지와 셀프리더십을 향상시키고, 이러한 개인의 성장이 복학 후 대학생활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병영생활과 대학생활에 대한 관계에 대해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방부, 국방백서, 2004.
  2. 병무청, 2016년 병무통계연보, 사이버홍보관 e-book 코너, http://www .mma.go.kr/board/ boardList.do?mc=usr0000273&gesipan_id=170, 2017.
  3. 김선영, "군 복무 후 복학한 남학생의 대학생활 태도에 관한 연구," 교육문화 연구, 제22권, 제2호, pp.127-156, 2016.
  4. 류진아, "군 생활 적응적인 병사의 특성 분석," 교육치료연구, 제8권, 제3호, pp.533-548, 2016.
  5. 최옥채, 박미은, 서미경, 전석균,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서울:양서원, 2002.
  6. 최바올, 대학생의 적응유연성 신념이 대학생활의 적응과 스트레스 조절에 미치는 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7. 윤진, 김도환, "군 복무 경험이 청년 초기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pp.185-197, 1995.
  8. 오현철, 사회적 지지가 자기효능감,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공군 병사의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9. 구승신, 신세대 병사의 군 생활적응에 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10. 김현주, "사병의 군 조직 적응 촉진방안: 군교육제도를 중심으로," 안보학술론집, 제6권, 제2호, pp.35-47, 1995.
  11. 나정순, 이은경, 황선영, 정지윤, 남은혜, 권은혜, "병사들의 군 생활적응에 관한 심층면접 연구," 군진간호연구, 제26권, 제1호, pp.147-158, 2008.
  12. 전은경, 하양숙, "자아 탄력성, 사회적 지지, 군 생활만족도가 제대 군인의 군 경험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군진간호연구, 제32권, 제1호, pp.53-65, 2014.
  13. 임유신, 이민수, 하순복, "부하의 리더십 개발을 위한 셀프리더십의 선행요인과 결과요인에 관한 실증 연구," 한국인력개발학회, 제12권, 제3호, pp.141-167, 2010.
  14. 김민정, 대학생의 셀프리더십 개발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변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15. 이은정, 대학생의 셀프리더십 및 사회적 지지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대학생활적응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16. 이종찬, 홍아정,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고용가능성의 매개효과," 진로교육연구, 제26권, 제1호, pp.69-92, 2013.
  17. 신용국, 김명소, 한영석, "셀프리더십 척도 타당화 연구: 우리나라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제6권, 제3호, pp.31-34, 2009.
  18. C. C. Manz and H. P. Sims, New superleadership: Leading others to the lead themselves, San Francisco, CA: Berrett-Koehler, 2001.
  19. 이동석,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심리적 안녕감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20. 김경화, "대학생 셀프리더십과 취업전략 간의 관계 및 영향 분석," 청소년학연구, 제20권, 제10호, pp.369-390, 2013.
  21. 서미경, 박근우, 이규화, "군 복무를 통한 병사의 성장과 탄력성, 대인관계의 변화: 계급 간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지, 제41권, 제4호, pp.5-34, 2013.
  22. 김유경, 대학생의 자기불일치, 자기통제 및 사회적 지지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23. A. L. Duckworth, C. Peterson, M. D. Matthews, and D. R. Kelly, "Grit: Perseverance and passion for long-term goal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92, No.6, pp.1087-1101, 2007. https://doi.org/10.1037/0022-3514.92.6.1087
  24. 황은희,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그릿(grit)의 매개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25. 김수정, 고등학생이 지각하는 부모 애착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의 관계에서 그릿(grit)의 매개효과,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26. 이유진, 그릿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직무 긍정정서와 직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심리적 집합주의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27. 이재열, 대학 입학유형에 따른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도, 그릿, 마인드 셋에 관한 차이 분석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28. N. Shechtman, A. H. DeBarger, C. Dornsife, S. Rosier, and L. Yarnall, "Promoting grit, tenacity, and perseverance: critical factors for success in the 21st century," Washington DC: U.S. Department of Education, office of Educational Technology, pp.1-107, 2013.
  29. 유영란, 유지원, 박현경, "고등학생의 그릿(grit)과 객관적 추론, 자기조절학습 효능감 간의 관계 규명," 청소년학연구, 제22권, 제10호, pp.367-385, 2015.
  30. 이정림, 권대훈, "통제소재, 마인드셋, 그릿, 학업성취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청소년학연구, 제23권, 제11호, pp.245-264, 2016.
  31. 황매향, 하혜숙, 김명섭, "초등학생의 그릿(grit)과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자기조절학습의 매개효과,"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제16권, 제3호, pp.301-319, 2017.
  32. 류영주, 양수진, "내재적.친사회적 동기와 삶 만족도의 관계에서 그릿(grit)과 친사회적 행동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제30권, 제4호, pp.93-115, 2017.
  33. 강명희, 윤성혜, 김도희, 류다현, "자연과학계열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그릿(grit),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결과기대, 전공흥미 간의 관계분석," 직업교육연구, 제35권, 제4호, pp.109-129, 2016.
  34. 이혜원, 탁정화, 이미란, "예비유아교사의 그릿 군집유형에 따른 성격 5요인과 자기효능감의 차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37권, 제3호, pp.249-268, 2017.
  35. S. N. Slick and C. S. Lee, "The relative levels of grit and their relationship with potential dropping-out and university adjustment of foreign students in Korea,"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2, No.8, pp.61-66, 2014. https://doi.org/10.14400/JDC.2014.12.8.61
  36. 김세원, 신창식, "군 병사의 군 생활스트레스와 군 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대인관계능력의 조절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7호, pp.216-227,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7.216
  37. 고기숙, 정미경, "현역 병사들의 자아존중감, 대인관계불안, 우울과 군 생활적응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12호, pp.294-306,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12.294
  38. 홍점동, 양난미, "군생활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 소외감, 욕구좌절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제14권, 제2호, pp.1423-1441, 2013.
  39. R. C. Stauffer, Science and Civilization, Preface, 1949.
  40. 장정기, 군입대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건강성과 학교생활 경험이 군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41. A. L. Duckworth, Intelligence is not enough: Non-IQ predictors of achievement, Doctoral dissertation, Pennsylvania: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2006.
  42. 이수란, 투지와 신중하게 계획된 연습, 자존감의 수반성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43. R. S. D. Intino, M. G. Goldsby, J. D. Houghton, and C. P. Neck, "Self-leadership: A process for entrepreneurial success," Journal of Ladership & Oganizational studies, Vol.13, No.4, pp.105-120, 2007. https://doi.org/10.1177/10717919070130040101
  44. 박충화,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자기효능감,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45. 문은식,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행동에 관련되는 사회.심리적 변인들의 구조적 분석,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2.
  46. 최임숙, 대인 관계 갈등 관리 및 학교 적응 행동에 대한 성역할의 정체성의 영향,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47. K. J. Preacher and A. F. Hayes, "Asymptotic and resampling strategies for assessing and comparing indirect effects in multiple mediator models," Behavior Research Methods, Vol.40, pp.879-891, 2008. https://doi.org/10.3758/BRM.40.3.879
  48. 김정은, "병사의 그릿과 가족탄력성, 군생활 적응의 구조적 관계와 진로확신의 잠재평균분석," 한국군사회복지학, 제10권, 제2호, pp.5-27, 2017.
  49. 안상수, "군 가산점제 부활 논쟁과 남성의 의식. 페미니즘 연구," 페미니즘 연구, 제7권, 제2호, pp.321-349, 2007.
  50. 장종식, 송병남, 차태현, "전방군인들의 고통체험: Parse의 인간 되어감 연구 방법 적용," 대한작업치료학회지, 제22권, 제1호, pp.79-95, 2014. https://doi.org/10.14519/jksot.2014.22.1.07
  51. 신승환, 윤찬수, "신입 공군사관생도의 체력, 성적, 투지 (grit)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과학회지, 제28권, 제1호, pp.873-888, 2019.
  52. A. Salles, G. L. Cohen, and C. M. Mueller,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resident well-being," The American Journal of Surgery, Vol.207, No.2, pp.251-254, 2014. https://doi.org/10.1016/j.amjsurg.2013.09.006
  53. 신승환, 안효연, "여생도의 체력, 종합성적과 그릿(Grit) 간 관계 연구," 한국여성체육학회지, 제32권, 제1호, pp.53-67, 2018.
  54. 김미정, IQ, 재능, 환경을 뛰어넘는 열정적인 끈기의 힘 그릿, 서울: 비즈니스북스, 2016.
  55. 조현재, "대학생의 셀프리더십, 대학생활적응,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구조적 관계 연구," 진로교육연구, 제30권, 제2호, pp.63-80, 2017.
  56. 최인선, 대학생활적응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셀프리더십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호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6.
  57. 심윤기, 군 상담학의 이해와 적용, 서울: 창지사, 2016.
  58. 정연경, 손승연, 정원호, "군 조직에서 상사의 근접관찰이 구성원의 과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가치일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국방연구, 제59권, 제2호, pp.105-127,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