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Free Choice Activity Management System based on Smart Education

스마트교육 기반 자유선택활동 운영시스템 설계 및 구현

  • 김경민 (부산대학교 소프트웨어교육센터) ;
  • 박현숙 (부산대학교 교양교육원)
  • Received : 2019.02.12
  • Accepted : 2019.03.27
  • Published : 2019.05.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Smart Education Environment for children's personalized learning based on the data are accumulated by Smart Device which is one of element on Smart Education. In this study, we propose the operational improvement plan for the free choice activity in the 5-year-old kindergarten and also implement the Free Choice Activity(FCA) management system for children to select and to evaluate the play plans for themselves. Children participating in this study have fun the whole time for the process of self-planning, the playing activities and the self-assessment of playing. As a result, it is confirmed that children participate actively in decision-making of interesting areas through the smart device than the traditional education environment before. A single teacher using FCA management system with smart device in this study can get useful information without difficulty of individual child's interests, learning and the statistics of children in the classroom.

본 연구는 스마트교육의 한 요소인 스마트 기기를 활용하여 축적된 데이터를 기초로 유아의 개별 맞춤학습을 위한 스마트교육환경을 구축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유치원 만5세 학급에서 자유선택활동 운영을 위한 개선 방안을 제안하고, 유아 스스로 놀이 계획을 세우고 평가하는 자유선택활동 운영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본 연구 참여한 유아들은 놀이계획, 놀이수행 및 수행평가등 전체 활동시간을 스스로가 적극적이며 즐겁게 참여하였다. 그 결과 유아는 스마트기기를 통한 자신의 흥미영역에 대한 활동선택에 기존교육환경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자유선택활동 운영시스템을 이용한 교사는 분석된 자료를 활용하여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개별유아의 흥미분야와 학습수준 및 교실의 각 영역별 이용형태를 혼자서 쉽게 파악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조재춘.임희석 (2012). 교수-학습 활동과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한 스마트교육 개념모델.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5(4), 41-49. https://doi.org/10.32431/KACE.2012.15.4.004
  2. 김재생 (2018). 스마트교육 활성화를 위한 추진전략안. 한국콘텐츠학회지, 16(1), 14-19.
  3. 교육과학기술부 (2011a). 인재대국으로 가는 길-스마트 교육 추진 전략. 2011.6.29일자 대통령 보고자료.
  4. 천세영.김진숙.계보경.정순원.정광훈 (2012). 스마트교육혁명. 파주: 21세기북스.
  5.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침서, Retrieved From: http://moe.go.kr/boardCnts/view.do?boardID=315&boardSeq=49149&lev=0&searchType=null&statusYN=W&page=1&s=moe&m=030104&opType=N
  6. 윤향미 (2012). 소집단 멘토링에 참여한 유아 교사의 자유선택활동 운영 변화 양상. 박사학위 논문, 성신여자대학교.
  7. 교육과학기술부 (2009), 유치원 지도서 1. 총론. 대한교과서.
  8. 황윤세.강현석.이현경 (2004). 유아교육과정에서 교육적 적합성을 고려한 '자유놀이시간'의 교수 . 학습모형 탐색. 유아교육학논집, 8(3), 137-170.
  9. 박미경.엄정애 (2010). 자유선택활동시간에 유아들이 경험하는 놀잇감의 의미. 유아교육연구, 30(5), 325-349.
  10. 신은수.권미경.정현빈 (2010). 유아의 사회적 기술, 또래놀이 상호작용과 사회적 놀이 행동 간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7(4), 183-209.
  11. 나은숙.한수정(2011). 유아가 자유선택활동에 몰입하는 맥락에 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5(1), 61-78.
  12. Casey, M. B. & Lippman, M. (1991). Learning to plan through play. Young Children, 3, 52-58.
  13. Seefeldt, C. (2001). Social studies for the preschool/primary child. NJ:Merrill Prentice-Hall.
  14. 최서은 (2015). 만5세 학급에서의 자유선택활동 놀이 계획-실행-평가의 개선 방안에 관한 실행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15. Vygotsky, L.S. (1981). The Genesis of Higher Mental Functions. in The Concept of Activity in Soviet Psychology, Armonk: M. E. Sharpe
  16. Petersen, E. A. (1997). Free-choice time is a must. Children and Families, 16(3), 10-12.
  17. 최정 (2017). 만5세 파랑반 자유선택활동 운영 개선에 관한 실행연구. 석사학위 논문, 건국대학교.
  18. 윤향미.장영희 (2013). 자유선택활동 운영에서의 유아교사가 겪는 갈등과 어려움 탐구. 유아교육연구, 33(4), 267-289.
  19. 이기숙 (2001). 유아교육과정. 서울:교문사.
  20. 이영자.이기숙.이정욱 (1999). 유아교수.학습방법. 서울: 창지사.
  21. 교육과학기술부 (2011b). 스마트교육 추진 전략 실행계획안.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22. 김은주 (2014). 스마트교육분야의 빅테이터 활용 전략에 관한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23. 최제영.정의석.유재택.박충식.김지선 (2012). 스마트교육 환경에서의 빅데이터 동향.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4. 김재희 (2012). 스마트 교육을 위한 협력학습지원 시스템 설계.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25. 김현진.허희옥.김은영 (2013).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의 사례: 스마트교육 교원연수를 중심으로. 교원교육, 29(3), 279-299.
  26. 정일석 (2013). 유비쿼터스시대 스마트교육의 교회교육현장에서의 활용에 관한연구. 석사학위논문, 장로회신학대학교.
  27. 임병노.임정훈.성은모 (2013). 스마트교육 핵심 속성 및 스마트 교육 콘텐츠 유형 탐색. 교육공학연구, 29(3), 459-489.
  28. 김현영 (2014). 스마트러닝을 활용한 문화예술교육 방법론 연구: 통합문화예술교육 수업 사례 중심으로. 석사학위 논문, 전북대학교.
  29. 이윤환 (2016). 제대로 알고 쓰는 R 통계분석. 서울: 한빛아카데미.
  30. 황요한 (2018). R 그래픽스를 활용한 액티브러닝 적용 대학 토익 수업 통계 분석. 언어연구, 34(2), 287-302. https://doi.org/10.18627/JSLG.34.2.201808.287
  31. 조규락.김선연 (2018). 협력적 상호작용 집단의 사회연결망 중앙성이 집단 시너지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교육공학연구, 34(3), 383-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