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Meta-Synthesis of Research about Physical Computing Education in Korea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초·중등학교 피지컬 컴퓨팅 교육 연구의 메타 종합 분석

  • Received : 2019.07.27
  • Accepted : 2019.09.18
  • Published : 2019.09.30

Abstract

A physical computing education is helpful for enhancing learners' computational thinking, creativity, and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so on. Recently, it is being actively promoted according to the software education policy and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 Korea. This study describes a meta-synthesis of research on physical learning education that investigates the extent to which there is evidence of benefits and challenges for physical computing education. 37 articles were identified, and 20 articles met the inclusion criteria. The synthesis resulted in the list of purpose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physical computing tools, and benefits of physical computing education.

최근 소프트웨어 교육 강화 정책 및 2015 개정 교육과정을 통해 피지컬 컴퓨팅 교육이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피지컬 컴퓨팅 교육은 컴퓨팅 사고력, 창의성, 협력적 문제해결력 향상 등을 위해 유의미한 학습 활동임에도 불구하고 매우 복잡하고 융합적 학습 활동이라는 측면에서 실제 학교 현장의 수업 적용 시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이를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들의 추진되어 왔으며, 본 연구에서는 그 간 추진되어 온 초 중등학교 피지컬 컴퓨팅 교육 연구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학교 현장에서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향후 연구 추진 방향에 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초 중등학교에서의 피지컬 컴퓨팅 교육의 추진 현황, 방법, 효과성 등에 관한 양적, 질적 연구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메타 종합 분석 연구를 사용하였으며, 연구 결과, 피지컬 컴퓨팅 교육의 목적, 교수 학습 방법, 도구들의 활용 현황을 파악하고 이에 따른 교육 효과들을 확인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문외식 (2017). 스크래치와 센서보드를 활용한 융합적 프로그래밍 학습이 초등학생들에게 미치는 효과.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1(1), 23-31. https://doi.org/10.14352/jkaie.2017.21.1.23
  2. 최형신.박주연.소효정 (2016). 릴리패드 활용 E-Textile 동아리 수업 사례 연구 : 미술과 테크놀로지의 융합을 중심으로.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0(4), 409-420. https://doi.org/10.14352/jkaie.2016.20.4.409
  3. 교육부 (2015). 실과(기술.가정)/정보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10].
  4. 심재권 (2018). 중학교 교과서 피지컬 컴퓨팅 소단원 분석을 통한 시사점 도출. 창의정보문화연구, 4(3), 251-259.
  5. Kafai, Y., Lee, E., Searle, K., Fields, D., Kaplan, E., & Lui, D. (2014). A Crafts-Oriented Approach to Computing in High School: Introducing Computational Concepts, Practices, and Perspectives with Electronic Textiles. ACM Transactions on Computing Education, 14 (1), 1-20.
  6. 이시훈.한정혜 (2017). 해커톤 기반 초등 SW교육이 창의성과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성 분석.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18(5), 995-1000.
  7. 박상욱.이은경.전성균.정채관 (2018). 컴퓨터.정보 소양 함양 방안 탐색. 연구보고 RRE 2018-9. 충북: 한국교육과정평가원.
  8. 유병건.김자미.이원규 (2016).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컴퓨팅 시스템 단원의 집필에 대한 시사점.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9(2), 31-40. https://doi.org/10.32431/KACE.2016.19.2.004
  9. 이영재.전형기.김영식 (2017).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소프트웨어 교육을 위한 피지컬 컴퓨팅 교구 선택 기준 개발 및 적용.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1(4), 437-450. https://doi.org/10.14352/jkaie.2017.21.4.437
  10. 전형기.김영식 (2018). 2015 개정 초등 교육과정의 SW교육을 위한 피지컬 컴퓨팅 기반 교구 평가 준거 개발.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21(5), 37-48. https://doi.org/10.32431/kace.2018.21.5.004
  11. 엄기순.장윤재.김자미.이원규 (2016). 중등 정보교육의 피지컬 컴퓨팅 교육을 위한 보드 개발.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9(2), 41-50. https://doi.org/10.32431/KACE.2016.19.2.005
  12. 성영훈 (2018). 초등 예비교사를 위한 센서보드 활용 DBL SW교육과정 개발과 적용. 창의정보문화연구, 4(2), 113-123.
  13. 최형신.김미송 (2017). 디자인 사고와 컴퓨팅 사고를 결합한 새로운 교사 교육 코스 설계.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1(3), 343-350. https://doi.org/10.14352/jkaie.2017.21.3.343
  14. Suri, H. (2013). Towards Methodologically Inclusive Research Syntheses: Expanding Possibilities. Routledge.
  15. Saini, M. and Shlonsky, A. (2012). Systematic Synthesis of Qualitative Research. OUP USA.
  16. Sandelowski, M., Barroso, J., and Voils, C. I., (2007). Using qualitative metasummary to synthesiz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descriptive findings. Research in Nursing & Health 30(1), 99-111. https://doi.org/10.1002/nur.20176
  17. Denner, J., Campe, S., and Werner, L. (2019). Does Computer Game Design and Programming Benefit Children? A Meta-Synthesis of Research. ACM Transactions on Computing Education, 19 (3), 1-19. https://doi.org/10.1145/3277565
  18. Cooper, H. (2017). Research synthesis and meta-analysis: A step-by-step approach. Sage Publications, Log Angeles.
  19. Suri H., and Clarke, D. (2009). Advancements in research synthesis methods: From a methodologically inclusive perspective.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79 (1), 395-430. https://doi.org/10.3102/0034654308326349

Cited by

  1. 초등SW융합교육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vol.20, pp.10, 2019, https://doi.org/10.5392/jkca.2020.20.10.2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