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urvey on the Perceptions of Subject Teachers on the Introduction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Vocational High Schools

직업계고등학교 고교학점제 도입에 관한 교과 담당 교사의 인식조사

  • 우원재 (대전광역시교육청 신탄진고등학교)
  • Received : 2019.07.22
  • Accepted : 2019.09.16
  • Published : 2019.09.30

Abstract

This study is aimed to analyze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different perceptions on implementing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relation to their teaching subjects(the vocational high schooland the specialized subjects). The result indicates that the specialized subject teachers perceive the value of the prerequisites for implementation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more strongly than the common subject teachers. Otherwise, the result reveals that no significant difference exists between the common subject teachers' perceptions and the specialized subject teachers' perceptions of the external environment improvement, the operational modes, the characteristics of vocational high schools and the factors related to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본 연구는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선결조건, 외적환경개선, 운영방식, 직업계고 특성, 성공적 실행 및 정착에 대하여 직업계고 교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다. 설문조사 후 담당교과(보통교과, 전문교과)별 교원들의 인식차이 유무를 알아보기 위하여 t-test 검증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선결 조건인 선택형교육과정도입, 교원들의 참여의지, 학교장의 지도성, 학생들의 고교학점제에 대한 인식제고, 과목이수요건, 학년진급요건, 졸업요건 확정, 고교내신 절대평가, 교사별 학생평가, 수능 영향력 축소, 교원 부전공 연수실시 등은 전문교과 담당교원들이 보통교과 담당교원들보다 통계적 유의수준 하에서 더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외적환경개선, 운영방식, 직업계고 특성, 성공적 실행 및 정착 관련 변인들은 전문교과 및 보통교과 담당교원들 간의 인식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2018a). 2022학년도 대학입학제도 개편방안 및 고교교육 혁신방향. 교육부 보도자료, 8. 17.
  2. 교육부(2018b). 교육과정 다양화로 고교 교육 혁신을 시작한다 -고교학점제 추진 방향 및 연구학교 운영계획 발표-. 교육부 보도자료, 11. 27.
  3. 교육부(2018c). 2019년 교육부 업무보고. 교육부 보도자료, 12. 10.
  4. 교육부(2019). 2019년 고교학점제 도입을 위한 추진동력을 강화하다. 교육부 보도자료, 2. 11.
  5. 강현석(2018). 교육과정 쟁점에 기반한 고교 학점제 가능성 분석. Asia-pacific Journal of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18(8), 625-633.
  6. 구자억, 남궁지영(2011). 학점제 도입 방안 (현안보고 OR 2011-03-5).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7. 김란주, 서경혜(2018). '고교학점제'를 통한 교육과정 혁신의 가능성과 한계. 교육과정연구, 36(1), 113-138.
  8. 김영은 외(2018). 고교학점제에서의 평가: 국내‧외 사례. 2018년 제3차 고교학점제 정책포럼 (연구자료 ORM 2018-67).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9. 김정빈 외(2017). 고교학점제 도입을 위한 교육과정 및 학생평가 재구조화 방안 (서교연 2017-91). 서울: 서울특별시교육청 교육연구정보원.
  10. 김정빈(2017). 고교학점제 도입을 위한 기초 논의. 교육비평, (40), 10-43.
  11. 김진숙 외(2018). 학점제 도입을 위한 고등학교 교육과정 재구조화 방안 연구 (연구보고 RRC 2018-8).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2. 김혜영, 홍후조(2018).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학연구, 56(1), 245-277.
  13. 박균열, 엄준용(2018). 고교학점제 도입의 쟁점과 과제 탐색. 교육학연구, 56(4), 1-29.
  14. 박동열 외(2018). 직업계고 학점제 도입 및 운영 방안 (기본연구 2017-27).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5. 손찬휘(2017). 고교학점제 도입의 쟁점과 방안 탐색. EduNext8. 4차산업혁명시대, 교실혁명을 통한 공교육혁신:1수업2교사제, 고교학점제를 중심으로. 국회대토론회겸 제106차 KEDI교육정책포럼자료집, 47-122.
  16. 송영준(2017). 고교학점제는 고등학교를 어떻게 바꿀까. 교육비평, (40), 99-121.
  17. 송재범(2017). '고교생도 대학생처럼 배울 수 있을까?'. 고교학점제 추진의 의미와 전망. 교육정책토론회자료집, 139-147.
  18. 안상진(2017). '고교학점제 정책은 한번에 제대로 도입해야 한다'. 새 정부 핵심 교육공약 고교학점제, 도입과 시행의 바른 방향을 모색한다. 고교학점제&내신제도개선을 위한 4회 연속 토론회자료집, 23-41.
  19. 안상진(2017). 고교학점제 도입과 고교평가 혁신. 교육비평, (40), 76-98.
  20. 안상진(2018).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고교학점제 시행방안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21. 우옥영(2017). 아이들의 선택권을 보장하는 학점제 도입 방안. 한국보건교육학회지 제3권 제1호, 107-132.
  22. 우옥희, 김대영(2018). 고교학점제 실행을 위한 고등학교 교육과정 개발 연구. 한국교육학회 연차학술대회 자료집, 39-55.
  23. 우원재(2019). 고교학점제 성공적 실행 및 정착에 대한 선결조건, 외적환경 및 운영방법의 영향력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0), 311-330.
  24. 이광우(2018a). 고교학점제 실행에 관한 고등학교 교사의 인식과 요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12), 543-567.
  25. 이광우(2018b). 고교학점제 연착륙을 위한 과제. 교육정책포럼 통권298, 8-12.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6. 이광우(2018c). 고교학점제 도입.추진 방향 및 과제. -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를 중심으로 연착륙을 위한 과제. 2018년 제1차 고교학점제 정책포럼 자료집, 3-53.
  27. 이기정(2017). '고교학점제 토론문'. 새 정부 핵심 교육공약 고교학점제, 도입과 시행의 바른 방향을 모색한다. 고교학점제&내신제도개선을 위한 4회 연속 토론회자료집, 53-57.
  28. 이명애 외(2018). 고교학점제 실행에 따른 교육평가 쟁점 및 평가 방안. 2018년 제3차 고교학점제 정책포럼 (연구자료 ORM 2018-67).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9. 이범(2017). 영국의 고교학점제와 고교교육 - 대입시험의 구조. 교육정책토론회집, 133-138.
  30. 이성대(2017). '학점제, 어떻게 해야 할까?'. 새 정부 핵심 교육공약 고교학점제, 도입과 시행의 바른 방향을 모색한다. 고교학점제&내신제도개선을 위한 4회 연속 토론회자료집, 1-22.
  31. 이현(2018). 고교학점제 도입 추진 정책에 대한 비판적 검토. 교육비평, (41), 77-144.
  32. 임광국(2017). 고교학점제 운영의 해외사례 - 미국, 독일, 프랑스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비평, (40), 166-215.
  33. 정광희 외(2017). 고교 학점제의 단계적 도입을 위한 진로수요 맞춤형 교육과정 운영 방안 탐색. 교육과정연구, 35(4), 201-229.
  34. 조현영, 손민호(2018). 호주의 고교학점제 운영 사례 연구: 남호주 Norwood High School의 교과목 편성 및 운영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36(1), 197-220.
  35. 주주자 외(2017). 고교무학년 학점제 구현 방안 연구 (정책연구 2017-16). 수원: 경기도교육연구원.
  36. 허주 외(2018).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교원 및 시설 관련 쟁점과 과제. 2018년 제1차 고교학점제 정책포럼 (연구자료 ORM 207-18-50).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37. 홍후조(2018). 고교 학점제 도입의 문제와 과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1), 699-7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