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nfluence of the Brand Asset of Complex Cultural Space on Satisfaction Levels and Community Development -This Research is Conducted on F1963 as a Subject

복합문화공간의 브랜드 자산이 만족도와 지역발전에 미치는 영향 -F1963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19.07.30
  • Accepted : 2019.09.23
  • Published : 2019.10.28

Abstract

Recently, as cultural projects are being carried out in various ways, the interest in the space where culture and arts can be provided is also increasing. Therefore, this study selected and analyzed F1963 in Busa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brand asset factors of brand image, brand awareness, brand asset awareness, and loyalty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community development of brand asset in complex cultural space and to examine whether customer satisfaction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asset in complex cultural space and community developmen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rand asset of complex cultural spac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users. Also, brand asset of complex cultural space has a positive effect on community development. The satisfaction that users get from the complex cultural space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 influence of brand asset of the complex cultural space itself on the community development.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omplex cultural space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region, and it is necessary for local communities and local governments to brand complex cultural space through diversity of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최근 지역적으로 문화 사업을 다양하게 진행하고 있는 시점에서 문화예술을 제공받을 수 있는 공간 또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부산에 소재하는 F1963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복합문화공간의 브랜드 자산은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인식, 브랜드 품질에 대한 자각, 충성도 4가지 브랜드 자산 요인이 고객의 만족도와 지역 발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복합문화공간의 브랜드 자산과 지역발전의 관계에서 고객만족이 매개 효과를 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분석결과 복합문화공간의 브랜드 자산은 이용객들의 만족도에 정(+)의 영향이 있었다. 또한 복합문화공간의 브랜드 자산은 지역 발전에도 긍정적인 영향이 있다고 나타났다. 이용객들이 복합문화공간에서 얻은 만족감은 복합문화공간 자체가 가지는 브랜드 자산이 지역 발전에 영향을 미치는데 매개 효과를 한다고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한 시사점은 복합문화공간이 지역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시사하면서 지역사회 및 지자체에서는 문화예술 활동의 다양성을 통해 복합문화공간의 브랜드화를 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박인영, 복합문화예술공간의 브랜드자산이 지역발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2. 심재춘, "복합문화시설의 입지결정요소 조사 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21권, 제10호, pp.105-112, 2005.
  3. 이새롬, 복합문화공간 활성화 전략 방안 연구,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4. 변정아, 복합문화공간의 인지도 향상을 위한 브랜드 전략 개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5. 김제중, "복합문화공간의 통합브랜드 도입방안 연구-아시아문화전당을 중심으로," 조형미디어학, 제17권, 제2호, pp.30-49, 2014.
  6. 강미나, 기업 복합문화공간 활성화를 위한 경험 디자인적용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7. 지경애, 지속가능한 복합문화공간을 위한 디자인경영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8. 이경진, 매개 공간의 기능 강화를 위한 복합 문화공간 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3.
  9. 서구원, 민형철, "기업 복합문화공간의 공간선호도와 기업이미지에 관한 연구," 서울 도시연구, 제9권, 제4호, pp.71-85, 2008.
  10. 문유석, 복합문화공간의 예술교육프로그램 만족도가 기관의 신뢰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11. 조윤정, 복합문화공간의 공간구성 및 공공 공간 프로 그램 연구, 추계예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12. B. Yoo and N. Donthu, "Developing and validating a multidimensional consumer-based brand equity scale,"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Vol.52, No.1, pp.1-14, 2001. https://doi.org/10.1016/S0148-2963(99)00098-3
  13. 백승희, 패스트푸드 기업의 브랜드 자산 구조 및 가치평가 : 한국 vs 필리핀 다국적 및 자생브랜드 비교 분석,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14. D. A. Aaker, "Measuring brand equity across products and markets," California management review, Vol.38, No.3, pp.102-120, 1996. https://doi.org/10.2307/41165845
  15. K. L. Keller, "Conceptualizing, measuring, and managing customer-based brand equity," Journal of marketing, Vol.57, No.1, pp.1-22, 1993. https://doi.org/10.1177/002224299305700401
  16. 김유리, 공연장 브랜드파워가 티켓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예술의 전당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17. J. R. Lotz and E. R. Morss, "A theory of tax level determinants for developing countries," Economic Development and cultural change, Vol.18, No.3, pp.328-341, 1970. https://doi.org/10.1086/450436
  18. 한승업, 김흥렬, 윤설민, 장윤정, "여가활동 유형에 따른 여가만족과 생활만족의 관계 연구: 문화적 여가활동 을 중심으로," 관광연구, 제22권, 제3호, pp.323-339, 2007.
  19. 권경환, 지역문화예술회관 이용객의 만족도 향상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20. H. Richardson, Regional Economics - Location Theory, Urban Structure and Regional Changes, Chicago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1979.
  21. J. Glasson, An introduction to regional planning: concepts, theory and practice, Hutchinson, 1978.
  22. A. Markusen, Profit Cycles, Oligopoly, and Regional Development, Cambridge, Mass : MIT Press, 1995.
  23. 김용웅, 차미숙, 강현수, 지역발전론, 한울, 2003.
  24. 문승일, 윤동환, "브랜드 확장을 통한 지역축제 활성화 전략 : 청도 소싸움축제 사례를 중심으로," 관광연구논총, 제19권, 제1호, pp.3-14, 2007.
  25. 이보순, 박기홍, "로컬푸드의 브랜드자산이 소비자 만족과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완주 로컬푸드를 중심으로," 외식경영연구, 제17권, pp.367-393, 2014.
  26. 김영규, 이시후, "호텔레스토랑의 브랜드자산이 고객만족과 신뢰 및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경영경제, 제42권, 제2호, pp.57-75, 2009.
  27. 김창수, 전대희, "지역축제의 서비스 품질과 만족도 평가 비교분석 : 2005-2006년 무주반딧불축제를 중심 으로," 관광연구, 제22권, 제2호, pp.265-284, 2007.
  28. 이흥재, 춘천인형극제의 지역경제, 사회문화적 효과, 서울 : 한국문화정책개발원, 1995.
  29. 최연희, 이희수, "패밀리레스토랑 브랜드 이미지, 서비스 품질의 지각된 가치, 고객만족, 행동의도간의 영향 관계 연구," 관광연구, 제28권, 제3호, pp.169-187, 2013.
  30. 한진수, 현경석, "패밀리레스토랑의 고객가치, 고객만족, 행동의도간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 서울 지역대학생을 중심으로," 호텔경영학연구, 제18권, 제1호, pp.135-150, 2009.
  31. 김준식, 지역발전이 지역정보화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32. 정은정, 지역축제 브랜드가치가 지역이미지와 지역발전성관에 미치는 영향 연구,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