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ildbirth and Socioeconomic Status Changes in Korean Women: Using Propensity Score Matching and Difference-in-Differences Method

출산과 여성의 사회경제적 상태 변화: 성향점수매칭과 이중차이를 활용한 분석

  • 정윤선 (가톨릭대학교 의료경영연구소) ;
  • 유창훈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
  • 권영대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인문사회의학과/의료경영연구소)
  • Received : 2019.08.14
  • Accepted : 2019.09.09
  • Published : 2019.10.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impact of childbirth on socioeconomic status changes of women. Data were collected from Korean Health Panel (2008-2015). A difference-in-differences model with propensity score matching was applied to assess the impact of childbirth on socioeconomic status changes. As a result, variables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nteraction terms indicating the impact of birth were the savings, economic activity, and occupational status. The impact of birth were significant in decreasing the amount of savings and negatively affecting women's economic activities, but in increasing the probability of full-time and regular employees in occupational status. Childbirth appears to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home economics and socioeconomic status of women. The belief that home economies can be stabilized even after childbirth should be established, and a long-term and sustained support plan should be set up to realize this belief.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료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출산 여부에 따른 여성의 사회경제적 상태 변화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성향점수 매칭방법을 이용해 출산 여성과 유사한 특성을 갖는 비교집단을 구성하고, 이중차이분석과 이중차이를 활용한 회귀분석을 통해 출산이 여성의 사회경제적 상태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출산은 저축액의 감소, 여성의 경제활동 중단, 종사상 지위 변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출산이 가정경제와 여성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여성의 경제활동이 출산에 의해 중단되지 않고 직종과 지위에 관계없이 출산 이후에도 안정적으로 가정 경제를 꾸려나갈 수 있다는 믿음과 이를 실현하기 위한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지원 방안이 마련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http://kostat.go.kr/assist/synap/preview/skin/doc.html?fn=synapview373361_2&rs=/assist/synap/preview, 2019.7.29.
  2. http://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883873.html, 2019.7.29.
  3. 대한민국정부, 2016-2020 제3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 2016.
  4. 김종훈, 이지혜, 박종서, 이상림, 이소영, 변수정, 김은정,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 보완 연구,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8.
  5. 이소영, 김은정, 박종서, 변수정, 오미애, 이상림, 이지혜, 2018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복지 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8.
  6. 신윤정, 이명진, 박신아, 배우자 간 사회.경제적 격차 변화와 저출산 대응 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7. 김우영, "결혼과 출산을 중심으로 한 여성 취업확률의 동태적 분석," 노동정책연구, 제3권, 제1호, pp.67-101, 2003.
  8. 민현주, "자녀출산과 양육시기동안의 여성취업 유형화," 한국사회학, 제46권, 제2호, pp.61-87, 2012.
  9. 김유경, "생애단계별 여성의 취업행태와 정책과제," 보건복지포럼, 제199호, pp.39-56, 2013.
  10. 김선숙, 백학영, "가구의 경제적 수준이 출산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정책, 제21권, 제3호, pp.129-157, 2014.
  11. 김현식, "가구소득 및 거주형태와 자녀출산," 보건.복지 Issue & Focus, 제143호, pp.1-8, 2012.
  12. 송유미, 이선자, "Q방법을 활용한 취업모의 둘째 자녀출산기피 요인의 유형화: 대구.경북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2호, pp.714-728,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2.714
  13. 송헌재, 신우리, "자녀출산 및 사교육비의 가구소득과의 관계분석," 노동경제논집, 제40권, 제4호, pp.33-59, 2017.
  14. 신윤정, "보육.교육비 부담이 출산 의향에 미치는 영향 분석," 보건사회연구, 제28권, 제2호, pp.103-134, 2008.
  15. S. Leppalahti, O. Heikinheimo, I. Kalliala1, P. Santalahti, and M. Gissler, "Is underage abortion associated with adverse outcomes in early adulthood? A longitudinal birth cohort study up to 25 years of age," Human Reproduction, Vol.31, No.9, pp.2142-2149, 2016. https://doi.org/10.1093/humrep/dew178
  16. D. M. Fergusson, J. M. Boden, and L. J. Horwood, "Abortion among Young Women and Subsequent Life Outcomes," Perspectives on Sexual and Reproductive Health, Vol.39, No.1, pp.6-12, 2007. https://doi.org/10.1363/3900607
  17. 서남규, 강태욱, 허순임, 이혜재, 김동수, 임병묵, 장숙랑, 홍기명, 정세환, 오영호, 2016년 한국의료패널 심층분석 보고서, 국민건강보험공단,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
  18. 이승렬, 근로자 가구의 소득․소비․저축 변화와 결정요인, 한국노동연구원, 2011.
  19. 장은진, 안정훈, 정선영, 황진섭, 이자연, 심정임, 측정된 교란요인을 고려한 성과분석 방법, 한국보건의료연구원, 2013.
  20. J. A. Smith and P. E. Todd, "Does matching overcome LaLonde's critique of nonexperimental estimators?," Journal of Econometrics, Vol.125, No.1, pp.305-353, 2005. https://doi.org/10.1016/j.jeconom.2004.04.011
  21. 이현옥, "4대 중증질환 보장성 정책이 환자의 의료이용과 재난적 의료비에 미친 영향," 한국사회복지학, 제70권, 제1호, pp.89-116, 2018. https://doi.org/10.20970/KASW.2018.70.1.004
  22. 김주영, "여성의 경력단절과 노동시장 재진입," 월간노동리뷰, 2010년 8월호, pp.36-50, 2010.
  23. 김은지, 김수정, 민현주, 정수연, 저출산.고령화가 가족형태 및 개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0.
  24. 이문숙, "프랑스의 저출산 문제 해소 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1호, pp.558-567,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1.5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