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nfluence and Implications of Flower Vessels (花器) Supervised Process of Production During the Joseon Dynasty in the Early 15th Century

15세기 초반 경상도 상주목 일대 화기(花器)의 감조(監造) 배경과 견양(見樣)으로서의 의미

  • Received : 2019.03.13
  • Accepted : 2019.08.07
  • Published : 2019.09.30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fluence and implications of the supervised process of production of flower vessels (花器) in 1411. The type, the production method, and the purpose of flower vessels (花器) were determined based on the workshops appearing in King Sejong-Sillok, Chiriji ("世宗實錄" "地理志") and Gyeongsang-do Chiriji ("慶尙道地理志"), considering articles excavated from Sangju kiln sites. In addition, the implications and the starting point of production of flower vessels (花器) in the Joseon Dynasty were identified. During the Joseon Dynasty, an effort was made to reorganize the government offices, to align ritual systems in the early 15th century. Preparation for rituals, preparation of supplemental utensils used in ancestral rites (祭器), the construction of architecture related to the Royal Family, and the production of weaponry (武器) were supervised. In 1411, flower vessels (花器) had a preferred supervised process of production as well, which means being recognized as a subject of maintenance for the Joseon Dynasty's aims. Flower vessels (花器) had been produced using grayish-blue powdered celadon (粉靑沙器) as flower pots (花盆), and as celadon flower pot-support (花臺), at Sangju kiln sites in particular, since 1411. Interestingly, products had been manufactured in royal kilns as well as in a few other kilns similar to the supervised process of production of flower vessels (花器) in the middle of the 15th century. It means that this effected the Gyeon-yang (見樣) supervised process of flower vessel (花器) production in 1411. At that time, the Joseon Dynasty used Gyeon-yang (見樣) for imperial gifts for the Ming Dynasty and on separate manufactured articles to ensure the standards of production. Gyeon-yang (見樣) affected the production of ceramic utensils used in ancestral rites (祭器), and government officials in Saongwon (司饔院) supervised the production of ceramics for the Royal Family year after year. In sum, it was flower vessels (花器) using Gyeon-yang (見樣) that provided precise production rules to supervise the process of production in 1411.

본 논문은 1411년 감조된 화기의 실체에 주목하여 화기가 감조된 배경과 견양으로서의 의미에 대한 규명을 시도한 글이다. 이를 위해 상림원에 진공된 화기의 용도와 성격 규명을 필두로 "세종실록" "지리지"와 "경상도지리지", 상주 일대 자기 가마터의 실물자료에 주목하여 화기의 종류와 제작 양상을 유추하였다. 또한 조선시대 화기의 제작 시점을 추정하고, 화기의 제작에 관여한 조선 왕실의 상황과 의중을 밝히며 이후 화기 제작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았다. 15세기 초반 조선 왕실은 관제를 개편하고 예제를 정비하려는 노력을 기울였다. 왕실과 관련한 건축물이나 구조물 축조, 의례 절차 및 준비에 별도 감독관을 두어 관여하였고, 제기와 무기 제작 시 별도의 감조를 명하였다. 1411년 화기가 감조의 대상으로 선택되었다는 사실은 이러한 노력의 일환이자, 왕조가 지향하는 이념에 적합한 대상으로 화기가 받아들여졌음을 의미한다. 그 결과 화기의 제작은 자기소가 군집하였던 상주목에서 1411년의 감조를 기점으로 본격화되어 상림원에 진공될 화기로 분청사기상감화분 및 청자화분받침이 제작되었다. 15세기 중반 가마를 비롯해 관요에서는 상주목 일대에서 제작된 화기와 매우 흡사한 예가 제작되었다. 즉 1411년 감조된 화기가 이후 견양으로서 지대한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당시 조선 왕실은 명 황실로부터 전해 받은 기물을 그대로 견양으로 삼거나, 별도 제작한 그림이나 실물을 검토하여 견양을 정하였고, 이를 전국 각지에 보내어 제작의 범으로 삼도록 하였다. 일찍이 견양은 자기 제기 제작에 영향을 미쳤고, 매년 사옹원 관원이 어용 자기를 감조하였을 뿐만 아니라 '견양'이 자기의 명문으로 별도 표기되기도 하였다. 당시 이러한 여건 하에서 1411년 내수에 의해 감조된 화기 또한 정밀한 제작 규범을 제시한 화기의 견양으로 평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慶尙道地理志
  2. 承政院日記
  3. 新增東國輿地勝覽
  4. 佔畢齋集
  5. 朝鮮王朝實錄
  6. 강경숙, 1996, 분청사기연구(粉靑沙器硏究), 일지사, pp.24-25
  7. 강경숙, 2000, 한국 도자사의 연구, 시공사, p.152, 316
  8. 경기도자박물관, 2017, 광주백자 발굴로 다시 쓰는 분원 이야기, 경기도자박물관, p.21
  9. 경기도자박물관, 2019, 광주조선백자요지(사적 제314호) 4차 발굴조사보고서, 경기도자 박물관, pp.202-204
  10. 고려청자박물관, 2016, 강진 사당리 고려청자, 고려청자박물관, pp.170-172
  11. 국립경주박물관 외, 2014, 경상북도 1314-1896, 국립경주박물관.상주박물관, pp.66-71
  12. 국립공주박물관, 2009, 계룡산 분청사기, 국립공주박물관, p.36, 40
  13. 국립광주박물관, 1988, 전남지방 도요지 도자보고 (II), 국립광주박물관, p.26, 47
  14. 국립중앙박물관, 1995, 廣州郡 道馬里 白磁窯址 發掘調査 報告書 - 道馬里 1號 窯址, 국립중앙박물관, pp.103-104
  15. 김해영, 2003, 조선초기 제사의례 연구, 집문당, p.76
  16. 민족문화유산연구원, 2016, 영암 상월리 요장 발굴조사 보고서, 민족문화유산연구원, p.145
  17. 부안청자박물관, 2006, 부안 유천리 고려도자, 부안청자박물관, p.13, 15
  18. 상주박물관, 2015, 상주 상판리 자기가마1 유적, 상주박물관, p.183, pp.261-275
  19. 상주박물관, 2017, 상주 상판리 자기가마6 유적 (I), 상주박물관, p.101, 108, 110, 138, 366
  20. 상주박물관, 2018a, 상주 상판리 자기가마6 유적 (II), 상주박물관, p.13, 22, 48, 120, 123, 267, pp.63-64, 295-296, 302-303
  21. 상주박물관, 2018b, 상주시 공성면 우하리 유적 약보고서, 상주박물관, pp.1-19
  22. 영남문화재연구원, 2009, 칠곡 학하리 분청사기요지 I, 영남문화재연구원, pp.120-121
  23.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2007, 廣州 樊川里 9號 朝鮮白磁窯址,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p.308, 315
  24.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1993, 광주 우산리 9호 조선백자요지 발굴조사보고,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p.31, 36
  25. 전남문화재연구원, 2005, 곡성 구성리 도요지, 전남문화재연구원, pp.98-99
  26. 전북문화재연구원, 2008, 완주 화심리 유적, 전북문화재연구원, p.403, 405
  27. 중원문화재연구원, 2011, 동대문운동장 유적 보고서 2권 유물도판, 중원문화재연구원, p.254
  28. 강경숙, 1993, 초기 분청사기 가마터 분포에 대한 일고찰 태동고전연구 10, 태동고전연구소, pp.8-13
  29. 강경숙, 2017, 조선 전기 도자문화와 상주 2017 제7회 상주박물관 학술대회 - 상주 상판리 유적의 도자사적 의의, 상주박물관, p.22
  30. 강문식, 2008, 태종-세종대 許稠의 禮制 정비와 禮 인식 진단학보 105, 진단학회, pp.117-121
  31. 구혜인, 2019, 조선시대 왕실 제기(祭器)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44-57
  32. 김봉준, 2010, 銘文資料를 통해 본 廣州 牛山里 窯址群의 性格 미술사학연구 266, 한국미술사학회, p.140
  33. 김성호, 2015, 고려말.조선초 북한산 요지 출토 청자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53-62
  34. 김윤정, 2008, 高麗末.朝鮮初 王室用 磁器의 제작 체계 연구 미술사학연구 260, 한국미술사학회, pp.51-52, p.56
  35. 김윤정, 2013, 高麗末.朝鮮初 司饔의 성격과 역할 한국학연구 45,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pp.171-172, p.174
  36. 김윤정, 2015, 15세기 조선과 명의 御用磁器 제작체제의 유사점과 차이점 고문화 85, 한국대학박물관협회, p.111
  37. 김윤주, 2011, 조선 태조-태종대 정치와 정치세력,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153-154
  38. 김종태, 2006, 문헌자료를 중심으로 한 상주백자 연구 디자인학연구 67호 Vol.19 No.5, 한국디자인학회, p.23
  39. 김한나, 2018, 조선전기 장원서(掌苑署)의 설치와 기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5-7
  40. 박경자, 2005, 분청사기명문연구 강좌미술사 25, 한국불교미술사학회, pp.286-287
  41. 박경자, 2017, 상주 상판리 자기가마와 世宗實錄 地理志 上品 磁器所 상주 상판리 유적의 도자사적 의의, 상주박물관, pp.71-73
  42. 박성미, 2017, 朝鮮時代 陶瓷花盆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4-22
  43. 박정민, 2014, 조선 전기 명문백자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133-134
  44. 방병선, 2014, 궁중 음식에 사용된 그릇 조선 왕실의 식탁, 한식재단, p.209
  45. 서정호, 2010, 상주(尙州) 우하리 출토 분청사기에 대한 양식적(樣式的).물성적(物性的) 고찰 선사와 고대 32, 한국고대학회, pp.302-333
  46. 성현주, 2017, 상판리 가마 출토 銘文磁器와 15세기 尙州牧의 磁器貢納 상주 상판리 유적의 도자사적 의의, 상주박물관, pp.51-52, 56-59
  47. 신순철, 2011, 14-15세기 경상도지역 자기소 출토 분청사기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24-37
  48. 신순철, 2015, 상주지역 분청사기 가마터 - 상주 상판리 자기요지1 발굴조사를 중심으로 제10회 경기도자학술세미나 발표논문집 최근 발굴조사된 가마터 조사성과, 경기도자박물관, pp.8-17
  49. 심지연, 2017, 상주 상판리 자기가마 출토 특수자기(제기 등) 제작시기와 배경 상주 상판리 유적의 도자사적 의의, 상주박물관, pp.91-93, 100-102
  50. 오영인, 2017a, 음각운문청자의 제작현황으로 본 조선시대 관요의 설치와 지방 가마 문화재 50권 4호, 국립문화재연구소, pp.53-54
  51. 오영인, 2017b, 조선 관요 청자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64, pp.74-75
  52. 오영인, 2018, 조선 전기(15-16세기)의 중국 용천요 청자에 대한 애호와 모방 미술사와 시각문화 21,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p.18
  53. 이상기, 1984, 조선전기의 청화백자,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5
  54. 이수나, 2017, 공예의 형식 설계, 견양(見樣) 도예연구 26, 이화여자대학교 도예연구소, pp.175-178
  55. 장동철, 2008, 尙州 大杓里窯址 陶磁片 硏究 미술사학연구 257, 한국미술사학회, pp.5-29
  56. 전승창, 1996, 15世紀 陶磁所 考察 (I) - 慶尙北道 尙州地域의 변화과정을 중심으로 호암미술관 연구논문집 1호, 호암미술관, pp.92-93
  57. 전승창, 2007, 15-16世紀 朝鮮時代 京畿道 廣州 官窯硏究,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58-69
  58. 조선미, 2012, 조선전기 경상도 관영수공업에 따른 옹기 도기소의 현황에 관한 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