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xploring the Experience of Engineering College Professors in Teaching Online Course Due to COVID-19

코로나19로 인한 공과대학 교수자의 온라인 수업 경험 탐색

  • Jung, Jaewon (Digital Education Research Center,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
  • Hur, Jungeun (Digital Education Research Center,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
  • Park, Hyowon (Global Education Cooperation Laboratory,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 정재원 (한국교육개발원 디지털교육연구센터) ;
  • 허정은 (한국교육개발원 디지털교육연구센터) ;
  • 박효원 (한국교육개발원 글로벌교육협력연구실)
  • Received : 2020.10.15
  • Accepted : 2020.11.05
  • Published : 2020.11.30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engineering college professors teaching classes online due to COVID-19. Instructional strategies were proposed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qualitatively analyzed interviews of four engineering college professors who switched from teaching classes offline to teaching them online in the first semester of 2020.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fessors had difficulties in creating video content, interacting with students, and conducting online assessments.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the professors had difficulties in switching to online teaching. This study was significant in that it produced empirical data about online teaching based on the experiences of engineering college professors teaching classes online.

Keywords

References

  1. 강민석.김명랑(2014). 온라인 수업에서의 교수자 역할 측정도구 개발.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0(4), 521-545.
  2. 교육부(2020.03.01.). 처음으로 초·중·고·특 신학기 온라인 개학 실시. 보도자료.
  3. 권성연(2011). 온라인 수업에서 교수실재감, 학습접근, 만족도 및 학습효과 인식 간의 관계 분석. 교육공학연구, 27(3), 535-560.
  4. 권성연(2012). 온라인 수업의 조별 상호작용에서 나타난 사회적 실재감의 양상: 메시지 분석을 중심으로.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8(2), 147-175.
  5. 김미영.최완식(2006). 공과대학 수업에서 혼합학습(Blended Learning) 설계 및 운영 사례 연구-C 대학교 강좌 운영을 중심으로. 한국공학교육학회지, 9(3), 37-48.
  6. 김미은 외(2020). 코로나 19(COVID-19)로 인한 온라인 강의대체가 간호학생의 학습동기, 교수와 학생의 상호작용 및 온라인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7), 519-541.
  7. 김수진(2019). 블렌디드 러닝 수업에 대한 간호학생의 만족도 조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10(7), 411-419. https://doi.org/10.15207/jkcs.2019.10.7.411
  8. 김승환.천성민(2020). 코로나19에 따른 대학 교양체육 실기수업의 온라인 수업 운영과 강사의 어려움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한국사회체육학회지, 81, 9-26.
  9. 김영천(2006). 질적 연구방법론 I. 서울: 문음사.
  10. 민혜리.홍성연(2009). 공과대학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요구와 만족도에 근거한 공과대학 수업 개선 방안 탐색. 한국공학교육학회, 12(4), 38-45.
  11. 방인자(2020). 대학 교수자의 온라인 수업 운영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8, 203-232.
  12. 연은경 외(2014). 프로젝트 기반 이공계 온라인 교육설계 방안 수립: 창의공학설계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정책과제 14-07.
  13. 이동국.김현진(2015). 교사의 테크놀로지 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1(1), 91-110.
  14. 이영석(2020). 비대면 강의환경에서의 온라인 학습패턴과 학습 효과의 상관관계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1(8), 557-562. https://doi.org/10.5762/KAIS.2020.21.8.557
  15. 이쌍철.김정아(2018). 학생의 온라인수업 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36, 115-138.
  16. 이헌수(2019). 블렌디드 이러닝이 공학수학 교수·학습에 미치는 효과.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22(4), 395-413.
  17. 최원호.전영국(2020). 비대면 온라인수업 사례 고찰: 동영상 녹화 및 실시간 화상 수업 중심으로. 현장수업연구, 1(2), 1-28. https://doi.org/10.22768/JFLS.2020.1.2.1
  18. 최형미.이동국(2020). COVID-19에 따른 중등 교사의 원격수업에 대한 경험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6). 1047-1071.
  19. 황석(2010). 멀티미디어 콘텐츠 기반의 공과대학 이러닝 교수법 연구: K대학 사례. 한국공학교육학회, 13(6), 14-23.
  20. Fillion, G., Limayem, M. & Bouchard, L.(1999). Videoconferencing in distance education: A study of student perceptions in the lecture context. Innovations in education and training international, 36(4), 302-319. https://doi.org/10.1080/1355800990360406
  21. Chen, T. et al.(2020). Analysis of User Satisfaction with Online Education Platforms in China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 Healthcare, 8(3), 200-226. https://doi.org/10.3390/healthcare8030200
  22. Khan, B. H. (Ed.).(2005). Managing e-learning: Design, delivery,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IGI Global.
  23. Motamedi, V.(2001). A critical look at the use of videoconferencing in United States distance education. Education, 122(2).
  24. Putri, R. E.(2020).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nline Class on Fundamental Biophysics Class During COVID 19 Quarantine. SEMESTA: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aching, 3(1), 65-70.
  25. Rourke, L. et al.(2001). Methodological issues in the content analysis of computer conference transcripts. International Journal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Education, 12(1), 8-22.
  26. Short, J., Williams, E. & Christie, B.(1976). The social psychology of telecommunications. John Wiley & Sons.
  27. Strauss, A. & Corbin, J.(1990).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Newbury Park: Sage.
  28. Thomas, A. et al.(2020). Survey Among Medical Students During COVID-19 Lockdown: The Online Class Dilemma.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cal students, 8(2), 102-106.

Cited by

  1. 온라인 비교과 설계 교육과정에서 기초 설계 교육과정으로의 적용 가능성 탐색 : 온라인 IoT 비교과 교육과정 사례를 중심으로 vol.24, pp.4, 2020, https://doi.org/10.18108/jeer.2021.24.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