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 Ego-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ague Teachers' Social Support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동료 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교사-유아 상호작용 관계에서 교사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 문명화 (강원대학교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
  • 김남희 (강원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20.08.17
  • Accepted : 2020.12.04
  • Published : 2020.12.31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s ego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support of colleague teachers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on 181 teachers working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located in Gyeonggi and Chungbuk region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verified with the Mplus 6.0 program. Results: First, the social support of colleague teachers directly affects teacher's ego-resilience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teachers ego-resilienc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eacher-child interaction. Second, the teachers ego-resilience was found to be partial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support of fellow teachers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With bootstrapping,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s ego-resilience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the social support of colleague teachers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Conclusion/Implications: Social support of fellow teachers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positive expression of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the quality of relationships with children can be further enhanced by promoting teachers ego-resilience that mediates the two variables.

Keywords

References

  1. 권정아 (2019). 유아교사의 자아탄력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교사효능감을 매개효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수연, 조혜진 (2015). 어린이집 교사의 정서노동과 교사 -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정서지능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2(2), 191-213.
  3. 김수영 (2016). 구조방정식 모형의 기본과 확장. 서울: 학지사.
  4. 김영숙, 윤분하, 이금희, 조한익 (2016). 중등교사의 성격, 교사갈등, 자아탄력성 및 심리적 소진의 구조적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1(2), 373-394. https://doi.org/10.17315/KJHP.2016.21.2.005
  5. 김윤지 (2017). 유아교사 탄력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원장, 동료교사, 학부모)의 조절효과.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정주, 박형신 (2010). 보육교사가 인식한 사회적 지지가 전문성 인식과 조직헌신도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4(4), 145-164.
  7. 김주환 (2011). 회복탄력성: 시련을 행운으로 바꾸는 유쾌한 비밀. 경기: 위즈덤하우스.
  8. 김종훈 (2016). 유아교육기관 교실의 질, 교사의 교수효능감, 교수상호작용이 유아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김혜경 (2020). 특성화고 학생이 지각하는 교사의 사회적지지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자아정체감과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라은미 (2018). 교사-영유아 상호작용과 관련변인 간의 관계연구: 심리적 안녕감, 자아탄력성, 직무만족도를 중심으로. 배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문경옥 (2018). 영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교사-부모파트너십이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박서연, 정영숙 (2010). 어머니의 학업성취압력과 아동의 학업스트레스 및 내재화 문제와의 관계에서 아동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3(1), 17-32. https://doi.org/10.21193/kjspp.2010.24.3.002
  13. 박은혜 (2002). 유아교사의 지식. 서울: 창지사.
  14. 박은혜, 전샛별 (2010). 유치원 교사의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탐색. 한국교원교육연구, 27(1), 253-275.
  15. 박찬옥, 구수연, 이옥임 (2010). 영아-교사 상호작용의 이론과 실제. 경기: 정민사.
  16. 박초희 (2017). 초등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직무만족이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심순애 (2007).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유경숙 (2020). 어린이집교사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교사-유아 상호작용 및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29(2), 161-175. doi:10.17643/KJCE.2020.29.2.08
  19. 유성경, 심혜원 (2002). 적응 유연한 청소년들의 심리적 보호요소 탐색. 교육심리연구, 16(4), 189-206.
  20. 이경선 (2000). 보육의 질에 영향을 주는 관련변인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이미자 (2010). 초등학교 아동의 학업스트레스, 자아탄력성, 사회적 지지와 학교적응과의 관계 및 조절효과 탐색.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이병선 (2015). 교사의 회복탄력성이 교사-유아 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이영희 (2017).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 및 사회적지지가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이은숙 (2016).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직무스트레스, 보육효능감, 보육헌신 및 행복감 간의 구조적 관계.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이은해, 이기숙 (1995). 유아교육프로그램 평가척도의 타당화를 위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15(1), 157-179.
  26. 이윤경 (1999). 소년소녀가장세대 청소년의 정서적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이정숙 (2003). 교사 경력과 유아연령에 따른 교사-유아의 상호작용.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이정희, 조성연 (2009).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소진과의 관계에 대한 자아탄력성의 중재효과.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0(4), 559-570.
  29. 이지현, 김수영 (2016). 문항묶음=원리의 이해와 적용.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5(2), 327-353. doi:10.22257/kjp.2016.06.35.2.327
  30. 임영희 (2020). 영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자아탄력성이 교사-영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임해은 (2015).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부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전겸구 (1999). 사회적 지원 척도 개발 연구. 사회과학연구, 6(3), 285-304.
  33. 정민지 (2020). 유아교사에 대한 원장과 부모의 사회적 지지가 교사의 아동권리 인식과 권리존중 실행에 미치는 영향.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정계숙, 최은아 (2019). 보육교사의 대인 관련 직무스트레스와 동료교사의 사회적지지가 유아교육공동체 인식에 미치는 영향. 생태유아교육연구, 18(3), 23-48.
  35. 조성연, 이정희 (2010).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자아탄력성과 원장.동료의 사회적지지.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8(4), 29-42.
  36. 조성자, 문수백, 민하영 (2008).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지각된 자아효능감과 사회적 지지가 조직 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6(2), 25-32.
  37. 최미애 (1999). 유치원 교사-유아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제 변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최해주, 문수백 (2013).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원장의 변혁적 지도성, 그리고 부모-교사 협력 관계와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 구조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0(3), 69-88.
  39. 최혜윤 (2016). 교사효능감과 원장 및 동료교사의 사회적지지가 유치원 교사의 교수몰입에 미치는 영향. 육아지원연구, 11(3), 73-93. doi:10.16978/ecec.2016.11.3.004
  40. 한애희, 안혜정 (2017). 영아교사의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가 소진에 주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8(1), 460-466. https://doi.org/10.5762/KAIS.2017.18.1.460
  41. 홍세희 (2000).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116-177.
  42. 홍지명 (2015). 유아의 자아탄력성과 유아교육기관 적응 간의 관계 연구. 인문사회21, 6(4), 911-928.
  43. Arnup, J., & Bowles, T. (2016). Should I stay or should I go? Resilience as a protective factor for teachers' intention to leave the teaching profession. Australian Journal of Education, 60(3), 229-244. doi:10.1177/0004944116667620
  44. Block, J. H., & Block, J. (1980). The role of ego-control and ego-resiliency in the organization of behavior. In W. A. Collins (Ed.), Minnesota symposium on child psychology Vol.13 (pp. 39-101). Hillsdale, NJ: Erlbaum.
  45. Block, J., & Kremen, A. M. (1996). IQ and ego resilienc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 346-361.
  46. Cabanyes, T. J. (2010). Resilience: An approach to the concept. Revista de Psiquiatria Y Salud Mental, 3(4), 145-151. doi:10.1016/j.rpsm.2010.09.003
  47. Cobb, S. (1976).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lif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38, 300-314. https://doi.org/10.1097/00006842-197609000-00003
  48. Cohen, S., & Hoberman, H. M. (1983).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 as buffers of life change stres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13(2), 99-125. doi:10.1111/j.1559-1816.1983tb02325.x
  49. Curran, P. J., West, S. G., & Finch, J. F. (1996). The robustness of test statistics to nonnormality and specification error in confirmatory factory analysis. Psychological Methods, 1(1), 16-29. https://doi.org/10.1037/1082-989X.1.1.16
  50. Goble, P., & Pianta, R. C. (2017). Teacher-child interactions in free choice and teacher-directed activity settings: Prediction to school readiness.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28(8), 1035-1051. doi:10.1080/10409289.2017.1322449
  51. Gu, Q., & Day, C. (2007). Teachers resilience: A necessary condition for effectivenes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3(8), 1302-1316. doi:10.1016/j.tate.2006.06.006
  52. Hestenes, L. L., Kontos, S., & Bryan, Y. (1993). Children's emotional expression in child care centers varying in quality.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8(3), 295-307. doi:10.1016/S0885-2006(05)80069-9
  53. House, J. H. (1987). Social support and social structure. Sociological Forum, 2(1), 135-146. https://doi.org/10.1007/BF01107897
  54. Hu, L., & Bentler, P. M. (1999).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6(1), 1-55. doi:10.1080/10705519909540118
  55. Kline, R. B. (2011).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New York: The Guilford Press.
  56. Masten, A. S., Best, K. M., & Garmezy, N. (1990). Resilience and development: Contributions from the study of children who overcome adversity.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2(4), 425-444. doi:10.1017/S0954579400005812
  57. National Institute of Child Health and Human Development(NICHD) Early Child Care Research Network. (2000). Characteristics and quality of child care for toddlers and preschoolers. Applied Developmental Science, 4(3), 116-135. https://doi.org/10.1207/S1532480XADS0403_2
  58. Olsson, C. A., Bond, L., Burns, J. M., Vella-Brodrick, D. A., & Sawyer, S. M. (2003). Adolescent resilience: A concept analysis. Journal of Adolescence, 26(1), 1-11. doi:10.1016/S0140-1971(02)00118-5
  59. Thomason, A. C., & La Paro, K. M. (2013). Teachers' commitment to the field and teacher-child interactions in center-based child care for toddlers and three-year-olds.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41(3), 227-234. doi:10.1007/s10643-012-0539-4
  60. Wilks, S. E. (2008). Resilience amid academic stress: The moderating impact of social support among social work students. Advances in Social Work, 9(2), 106-125. doi:10.18060/51
  61. Yuh, J., & Choi, S. (2017). Sources of social support, job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among childcare teachers. The Social Science Journal, 54(4), 450-457. doi:10.1016/j.soscij.2017.08.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