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지역사회 통합돌봄의 실현을 위한 물리적 인프라 및 지표개발 연구

A Study on Physical Infrastructure and Indicator Development for the Realization of Community Care

  • 김현주 (서울연구원 도시경영연구실) ;
  • 이승지 (대학원 헬스케어환경디자인전공, 인천가톨릭대학교)
  • 투고 : 2020.10.16
  • 심사 : 2020.11.30
  • 발행 : 2020.12.15

초록

Purpose: The first thing to be done in promoting community care is local diagnosi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derive the physical infrastructure to be diagnosed, and to develop diagnostic items and diagnostic indicators applicable to this. Methods:: First, the physical infrastructure related to the community care is derived. And the diagnosis items are derived using the checklist of 'community support and health services' in the WHO Guide for Global age-friendly cities. Next, by analyzing previous studies, we develop diagnostic indicators for each diagnostic item and explore their applicability. Results: As a result of deriving the physical infrastructure for each area of housing, health service, and nursing care for community care, 22 facilities were derived for 9 types. Diagnosis items for the facilities are 1)regional equity, 2)proximity between facilities, 3)transportation access, 4)regional use, 5)barrier-free design, 6)diversity of facilities, and a total of 14 diagnostic indicators was derived. We reviewed and suggested the applicability of diagnostic items and indicators by each physical infrastructure. Implications: For the realization of community care, local diagnosis should not be limited to sim- ply grasp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facilities and the total amount. Instead it should strengthen capabilities by conducting diagnosis to understand the performance of facilitie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주희, 윤순덕, 2007, "노인복지시설 유형별 지역적 편차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18(3), 369-378
  2. 건축도시공간연구소, 2018, "고령사회대비를 위한 건축도시환경의 고령친화도 진단 연구"
  3.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2011, "경기도 고령친화도시 조성 연구"
  4. 관계부처 합동, 2018, "지역사회 통합돌봄 기본계획"
  5. 김경호, 2004, "노인복지시설의 지리적 분포현황 분석 : 노인복지 생활 시설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24(4), 19-38
  6. 김용진, 안건혁, 2011, "근린의 물리적 환경이 노인의 건강 및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 도시설계, 12(6), 89-99
  7. 마세인, 김흥순, 2011, "GIS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노인복지시설의 접근성 연구", 국토연구, 61-75
  8. 박종용, 2018, "고령친화도시 조성을 위한 물리적 안전요소 평가에 대한 연구 - 서울시 5개 생활권역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34(3), 117-128
  9. 보건복지부, 2020, "지역사회 통합돌봄 자체 추진 가이드북"
  10. 보건사회연구원, 2016, "초고령사회 대응 지역친화적 노인주거모델 개발 연구"
  11. 부산복지개발원, 2011, "부산시 고령친화도 평가 연구"
  12. 서동민, 이용재, 정일만, 2006, "노인수발보험제도의 도입에 따른 노인의료복지시설의 지역분포와 이용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33, 127-154
  13. 서울연구원, 2008, "서울시 고령친화도 평가연구"
  14. 손정렬, 오수경, 2007, "GIS 공간분석기법을 이용한 서울시 노인주간보호시설의 접근성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3(5), 576-594
  15. 이광현, 김세용, 2017a, "물리적 환경의 고령친화 디자인 가이드라인 개발",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2(12), 85-92
  16. 이광현, 김세용, 2017b, "고령친화도시 지표개발에 관한 연구 -고령자 입장에서 바라본 측정 가능한 물리적 환경 지표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18(2), 51-62
  17. 이광현, 2019, "7개 특광역시의 고령친화도와 고령친화정책 비교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 102, 83-98
  18. 임병호, 지남석, 이시영, 2016, "고령자 이용시설의 인접성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51(1), 29-43 https://doi.org/10.17208/jkpa.2016.02.51.1.29
  19.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7, 공간정보를 활용한 주민생활서비스 접근성 연구
  20. 전병윤, 전원식, 이만형, 2019, 고령인구 밀집지역의 도시기반시설별 서비스 형평성 분석 : 청주시를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지, 20(1), 33-44
  21.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8, "초고령지역의 보건복지 모형설계를 위한 세부지침 개발- 고령친화적 지역사회 설계를 위한 지침 개발"
  22.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7, "Global age-friendly cities: A Gui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