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Taxonomic Review and Nomenclature of the Opuntia ficus-indica (L). Mill. in Jeju Island

제주도 민속식물인 선인장(Opuntia ficus-indica (L.) Mill.)의 분류학적 검토 후 명명

  • Yang, Young-Soo (Faculty of Science Education, Jeju National University) ;
  • Choi, Byoung-Ki (Warm temperature and subtropical forest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
  • Oh, Hong-Shik (Faculty of Science Education, Jeju National University)
  • 양영수 (제주대학교 과학교육학부) ;
  • 최병기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
  • 오홍식 (제주대학교 과학교육학부)
  • Received : 2020.11.02
  • Accepted : 2020.12.04
  • Published : 2020.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species and correct misidentification of cacti (Opuntia) in Jeju area through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comparison.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Opuntia ficus-indica and O. ficus-indica var. saboten, which has been reported to grow naturally in Jeju Island, is Opuntia stricta. In the morphological comparison of species, it was confirmed that O. stricta showed clear differences in plant size, cladode shape, color of flowers and fruits, and characteristics of areole compared to the existing reported specie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scientific name of Jeju cactus was corrected as Opuntia stricta, and the Korean name 'Hae-an-sun-in-jang' was newly named. Furthermore, it was suggested that various research literatures and national biodiversity management organizations need to confirm and correct the misidentification of species.

본 연구는 제주지역에 분포하는 선인장에 대하여 형태학적 특성 비교를 통하여 종을 분류하고 오동정을 바로잡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결과 제주도에 자생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온 Opuntia ficus-indica 또는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은 Opuntia stricta인 것으로 밝혀졌다. 종의 형태학적 비교에서 O. stricta는 기존 보고 종에 비해 식물크기, 엽상경의 형태, 꽃과 열매의 색, 자좌의 특징 등에서 분명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분류군의 학명을 Opuntia stricta로 정정하고, 국명으로 '해안선인장'을 명명할 것을 제안한다. 나아가 다양한 연구문헌 및 국가 생물다양성 운영기관에서도 종의 오동정를 확인하고 이를 수정하는 작업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Anderson, E. F.(2001). The Cactus Family, Timber Press, Portland, OR (USA). 484-525.
  2. Nyffeler, R. and Eggli, U.(2010). A farewell to dated ideas and concepts; Molecular Phylogenetics and a revised suprageneric classification of the family Cactaceae. Schumannia. 6(-): 109-149.
  3. 최재웅, 김동엽, 조록환, 김미희, 안옥선(2012). 당과 오름을 중심으로 한 제주도 해안․중산간마을의 공간 특성 사례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0(2): 101-109.
  4. 이철호, 장계현, 류태복, 최병기(2018). 제주 월령리 선인장군락지(천연기념물 제429호)의 관속식물상, 분포실태,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6(1): 55-66. https://doi.org/10.14700/KITLA.2018.36.1.055
  5. 제주특별자치도(2020). Land use statistical information. (https://www.jeju.go.kr/)
  6. 문화채청(2020). 한국의 천연기념물(https://www.nhc.go.kr/)
  7. 송국만, 김양지, 서연옥, 최형순, 최병기(2019). 제주도 노거수 자연유산의 100년 전과 현재 분석.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7(2): 20-29. https://doi.org/10.14700/KITLA.2019.37.2.020
  8. Centre for Agriculture and Bioscience International(2020). "Opuntia ficus-indica (prickly pear)" (http://www.cabi.org/).
  9. Russel, F.(1987). "The Prickly-pears (Opuntia spp., Cactaceae): A Source of Human and Animal Food in Semiarid Regions". Economic Botany. 41(3): 443-445.
  10. 국가통계포털(2020). "Land use of Jeju" (http://kosis.kr)
  11. 정윤숙, 이상훈, 송진, 황경아, 노건민, 장다은, 황인국(2016). 보검선인장의 Phytochemical 함량 분석 및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영양학회지. 29(5): 767-776. https://doi.org/10.9799/ksfan.2016.29.5.767
  12. 권재홍, 김태영, 김재국, 김재용(2017). 서귀포제국백년초의 뷰티산업화. 한국공업화학회 춘계학술논문초록. pp.264-264.
  13. 고석찬, 김제국, 김문홍(2018). Opuntia속(선인장과)한국의 미기록식물: 왕선인장. 한국식물자원학회지. 31(1): 32-36.
  14. Makino, T.(1931).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Makino, Journal of Japanese Botany. 7(4): 6.
  15. The Plant List(2020). "Species search for Opuntia spp." (http://www.theplantlist.org/).
  16. Tropicos(2020). "Species search for Opuntia spp."(http://www.tropicos.org/)
  17. 박만규(1949). 우리나라식물명고.(조선출판사. 문교부)
  18. 이영노, 주상우(1956). 대한식물도감. 대동당.
  19. 이창복(1980).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20. 이영노(1996). 한국식물도감. 교학사.
  21. Nakai. T.(1914). Report of Plant Research in Jejudo and Wando, Governor-General of Joseon.
  22. 정태현(1958). 한국식물도감. 시지사 출판사.
  23. 이우철(1996). 한국기준식물도감. 서울: 아카데미출판사.
  24. 김태정(2008). 한국의 야생화와 자원식물 3. 서울대학교출판사.
  25. 서권일, 양기호, 심기환(1999). 백년초 추출물의 항균 및 항산화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6(3): 345-349.
  26. 장원배(2001). 백년초로부터 분리한 항산화 및 신경보호제 성분. 한국응용약물학회지. 2007(1): 115-121.
  27. 인준교, 한승호, 최관삼, 양덕춘, 이범수, 김은정, 신철우(2006). 백년초선인장의 ITS(internal transcribed spacer) 유전자 분석 한국자원 식물학회지, 19(1): 161-168.
  28. 김해남, 조대원, 윤웅찬, 전홍기(2007). 손바닥 선인장 분말로부터 추출된 항균물질의 특성. 한국생명과학회지. 17(7): 915-922.
  29. 이조윤, 배형철(2009). 백년초 분말을 첨가한 발효유 제조 및 관능적 특성.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19(6): 967-974.
  30. 김은정, 크리쉬나모르씨 스리칸스, 이은애, 황성수(2014). DNA 염기서열에 근거한 신품종 왕가시천년초. 한국식물학회지. 44(3): 181-187.
  31. 임미혜, 홍세정(2016). 백년초 줄기 추출물의 화장품용 천연 방부제로서의 활용성. 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14(4): 449-461.
  32. 이정애(2017). 백년초 분말을 첨가 제조한 양갱의 항산화활성과 품질 특성. 한국조리학회지. 23(4): 33-42. https://doi.org/10.20878/cshr.2017.23.4.004
  33. 이선혜, 김헌웅, 이민기, Gelila Asamenew, 김영진, 이수지, 차연수, 유선미, 김정봉(2018). 보검선인장(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및 용과(Hylocereus undatus)의 부위별 플라보노이드 특성비교.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47(12): 1274-1283. https://doi.org/10.3746/jkfn.2018.47.12.1274
  34. 생명자원정보서비스(2020).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Makino". (https://www.bris.go.kr/)
  35. 국립생물자원관(2020). "Opuntia ficus-indica (L.) Mill." (https://species.nibr.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