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Problems and Improvements of Free Infant Care Policy

영유아 무상보육 확대정책에 따른 문제점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20.04.09
  • Accepted : 2020.04.23
  • Published : 2020.04.30

Abstract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government is preparing measures at the national level, including expanding the scope of free education for infants, link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to elementary schools, unifying the system in charg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rinting the cost of operating a full-time system for double-income couples, and policies for low-income infants. In Korea's childcare policy, the need for childcare has increased due to the increase of free double-income couples, the increase of nuclear families, and the increase of divorce rates. Despite the overall increase in the child care budget, Korea's child care policy shows many problems in its efficiency due to the burden of childcare facilities and childcare fees for caregivers. After looking into the theoretical contents of the free childcare policy and the corresponding child care support policy, we would like to consider ways to improve the free childcare policy.

유아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유아에 대한 무상교육범위확대, 유아교육의 초등학교와의 연계, 유아교육 담당 체제의 일원화, 맞벌이 부부를 위한 종일제 운영의 비용인화, 저소득층 유아에 대한 정책 등 국가차원에서의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한국의 보육정책에서 무상 맞벌이 부부가 많아지고, 핵 가족이 증가하고, 이혼률의 증가로 보육의 필요성이 증가하였다. 우리나라 보육정책은 전체적으로 보육예산의 증가추세에도 불구하고 보육시설, 양육자의 보육료 부담으로 그 효율성에 많은 문제점이 드러나고 있다. 무상보육정책에 대한 이론적 내용과 그에 따른 보육지원정책을 알아본 후 무상보육정책에 대한 개선방향을 생각해보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영희(2015). "무상보육정책에 대한 어린이집 학부모와 원장의 만족도 비교연구", 강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고경훈.안영훈.김건위(2012). "지방자치단체의 사회적 자본측정 및 증진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연구보고서, 2012-05(제462권).
  3. 공인숙.한미현.권기남(2013). 최신보육학개론, 서울: 교육과학사.
  4. 기순신.김경중(2011). 보육학개론, 서울: 형설출판사.
  5. 김남식(2009). "우리나라 보육정책 변천과정에 관한 연구", 21세기 사회복지연구, 6(1), 1-18.
  6. 김사현.주은선.홍경준(2013). "무상보육 및 관련정책이슈에 대한 핵심 이해집단의 선호분석", 서울시 어린이집 원장, 보육교사, 학부모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40(3), 205-235.
  7. 김선미(2004). "전업주부의 자식 키우기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2(4), 7-26.
  8. 김선미(2004a). "전업주부들의 자식 키우기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9. 김송이(2007). "스웨덴과 영국의 보육서비스 비교. 국제사회 보장 동향", 2007. 겨울호, 61-73.
  10. 김헌진(2012). "우리나라 무상보육과 사회적 형평성: 사회정의론 접근", 한국영유아보육학회, 72, 419-445.
  11. 김혜민(2016). "무상보육정책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김혜금(2012).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지역사회 육아지원과 사회적 지원에 대한 인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1), 5-24.
  13. 김희자(2009). "중학생의 인터넷 이용유형과 사회자본-이용시간의 조절효과",청소년시설환경, 7(1), 27-37.
  14. 명순희(2013). "영유아 무상보육정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동작구 사례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문선화(2011).한국 사회와 아동복지, 서울: 양서원.
  16. 민동걸(2004). "취업주부와 전업주부의 시간사용과 시간부족에 대한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민연경.장한나(2015). "보육정책의 이슈네트워크분석 : 무상보육정책과 양육수당 정책을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 06(24), 97-138.
  18. 박경자.황옥경.문혁준(2013). "우리나라의 보육정책", 한국보육지원학회, 9(5), 513-538. https://doi.org/10.14698/jkcce.2013.9.5.513
  19. 서문희.송영신(2011). "우리나라 보육실태와 욕구사례: 국공립보육시설, 보육비용지원, 양육수당 중심으로", 기획경제부.육아정책 연구소 연구보고서.
  20. 서문희.최혜선(2010). 2010 보육정책의 성과와 과제,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21. 손예리(2014). "보육료 및 양육수당 지원에 대한 전업주부의 인식과 요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손수민(2012). "영아기 자녀를 둔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양육 스트레스 비교와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9(1), 331-357.
  23. 오진희(2012). "출산율 저하 실태", 아시아 경제 신문, 2012. 3. 30.
  24. 유구종.조희정(2013). 최신 영유아보육학개론, 서울: 공동체.
  25. 유기웅.정종원.김영석.김한별(2012). 질적 연구방법의 이해, 서울: 박영사.
  26. 유기웅.임영광(2012). "저출산 고령화의 사회경제구조 분석 및 정책방안", 2011(12), 1-155.
  27. 유은경(2012). "무상보육에 대한 어린이집 학부모의 인식과 만족도조사", 배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8. 이미화(2012). "한국의 자녀양육에 대한 정책적 지원", 한국아동학회 춘계학술대회, pp 57-84. 5월12일, 서울: 연세대학교 새천년기념관.
  29. 이미화(2012). "2013-2017 보육 중장기 발전방향", 육아정책연구소, 35-155.
  30. 이미화.여종일.엄지원(2012). 2013-2017 보육 중장기 발전방향,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31. 이소희 외(2006). 보육학개론, 파주: 양서원.
  32. 최미향(2013). "보육정책이 여성의 경제활동참여에 미치는 영향: 16개 시.도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3. 한윤옥(2011). "양육지원정책이 출산의지에 미치는 영향 연구", 경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4. 허남재.석재은(2011). "한국의 보육료지원제도는 취업모 친화적인가?", 사회복지정책, 38(2), 139-1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