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aily Life Performance Influencing Depression and Self-Esteem of the Rural Disabled Elderly - Mediating Effect of Quality of Life -

농촌지역 장애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이 우울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삶의 질에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 Nam, Hee-soo (Department of Senior Welfare, World Cyber College)
  • 남희수 (세계사이버대학 노인복지학과)
  • Received : 2020.02.12
  • Accepted : 2020.03.15
  • Published : 2020.03.30

Abstract

The study aims to examine how everyday life skills of disabled seniors in rural areas affect their depression and self-esteem through their quality of life and explores how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disabled seniors. To achieve this, 238 participants who were registered as disabled and aged 65 or over took part in this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 quality of life among disabled seniors decreased when their everyday life skills were relatively more advanced than those of non-disabled people. It was also found that the high level of everyday life skills possessed by disabled seniors caused more severe depression and lower self-esteem. Their quality of life negatively affected self-esteem and depression and their everyday life skills were a key factor that influenced depression and self-esteem.

Keywords

References

  1. 강미정. (2014). 애니어그램 집단 프로그램이 정신질환자의 자아존중감, 대인관계 및 전반적 기능에 미치는 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권중돈, & 조주연. (2000). 노년기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 20(3), 61-76.
  3. 권철, 남철현, 황해석, 정한태, 하순희, 민경진, et al. (2006).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보건연구, 32(1), 66-74.
  4. 기백석. (2005). 노인 우울증의 약물요법. 노인병 약물요법, 9(3), 141-153.
  5. 김귀분, 송기숙, & 석소현. (2008). 노인의 자아존중감 영향요인. 정신간호학회지, 17(1), 65-74.
  6. 김갑식. (2010). 소비자의 자아존중감과 동조성이 패션명품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김미혜, 이금룡, & 정순돌. (2000). 노년기 우울증 원인에 대한 경로분석. 한국노년학, 20(3), 211-226.
  8. 김민규, & 김주환. (2008).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대인불안과 우울증을 매개로 알코올중독성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학보, 52(4), 205-223.
  9. 김명숙, & 고종욱. (2014). 자본 및 생태환경 요인이 노인 자원봉사활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4(11), 237-248.
  10. 김수옥, & 박영주. (2000). 지역사회 노인의 건강행위와 삶의 질에 관한 연구. 노인간호학회지, 2(1), 59-71.
  11. 김숙경. (2004). 농촌노인의 삶의 질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노인복지연구, 23, 191-196.
  12. 김은하, & 이지원. (2009). 복지관 이용 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 일상생활 수행능력. 수면의 질 및 우울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29(2), 425-440.
  13. 김주현, & 한경혜. (2001). 노년기 자원봉사활동과 자아존중감. 한국노년학, 21(2), 209-224.
  14. 김진순. (1996). 노인가정간호사업의 실태, 문제점 및 개선방안. 한국노년학, 16(1). 163-178.
  15. 김득희. (1995). 농촌 노인과 도시 노인의 자아 존중감, 생활 만족도 건강 상태간의 관계 연구. 효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김안제리나. (2004). 자아 존중감과 자아 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24, 153-179.
  17. 김효정. (2001). 노인의 신체적 건강과 우울과의 관계. 한국농촌학회지, 26(2), 193-203.
  18. 남희수. (2009). 저소득 모자가정 가구주의 경제적 스트레스와 가족기능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백석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민경진. (2006). 노인의 일상생활이 활동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 한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문명자. (2001). 재가노인의 일상생활기능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재활간호학회지, 4(1), 46-57.
  21. 보건복지부. (2015). 건강보건통계. 세종: 보건복지부.
  22. 박영례, 권혜진, 김경희, 최미혜, & 한승희. (2005). 노인의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29, 237-258.
  23. 박광희, & 한혜경. (2002). 농촌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 11(1), 43-61.
  24. 박수경, & 문수경. (2005). 성공적 노화를 위한 신체 장애 노인의 심리적 임파워먼트 관련요인 연구. 한국노년학, 26(1), 77-89.
  25. 배성우, & 신원식. (2005). CES-D척도의 요인구조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방법의 적용. 보건과사회과학, 18, 165-190.
  26. 배숙경, 엄태영, & 이은진. (2012). 독거노인의 삶의 질에 대한 일상생활수행능력의 영향 및 우울의 매개효과검증. 보건사회연구, 32(4), 5-30.
  27. 박봉길. (2008). 노인의 심리사회적 특성이 우울감과 자살 생각에 미치는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8(4), 969-989.
  28. 문형란. (2016).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어능력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9. 서경현, & 김영숙. (2003). 독거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우울. 노인복지연구, 21, 7-26.
  30. 손신영. (2006). 농촌 노인과 도시 노인의 삶의 질과 관련 요인에 대한 비교 연구. 한국노년학, 26(3), 601-615.
  31. 손신영. (2006). 농촌 노인의 삶의 질 모형구축.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2. 손신영. (2009). 여성노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 여성건강간호학회지, 15(2), 99-107. https://doi.org/10.4069/kjwhn.2009.15.2.99
  33. 송미령, 김은경, & 유수정. (2010). 재가 노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 사회적 지지 및 자기효능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우울 의심 노인과 정상노인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연구조사, 24, 61-80.
  34. 신은숙, & 조영채. (2012). 농촌지역 노인들의 신체적 기능(ADL, IADL)과 우울수준과의 관련성. 한국산학기술 학회, 13(1), 201-210.
  35. 유수정, 김현숙, & 한규량. (2002). 재가노인의 신체적 건강, 자아존중감, 사회적지지 및 보건복지욕구조사: 치매 및 우울의심노인과 정상노인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22(3), 115-133.
  36. 이보람, & 이정화. (2015). 가족유대감이 농촌 노인의 자살 생각에 미치는 영향: 마을공동체 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지, 24(6), 795-809. https://doi.org/10.5934/kjhe.2015.24.6.795
  37. 전혜정. (2004). 노년기 종교활동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25, 169-186.
  38. 이명. (2014). 사회관계망이 노인의 사회참여에 미치는 영향연구.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9. 이가옥, 이현송, & 김정석. (2000). 노년기 삶의 질: 지표 개발과 평가. 세계노인의날 기념, 제6회 학술세미나 발표자료.
  40. 이광옥. (1998). 재가노인의 일상생활기능상태, 삶의 질 및 가정간호 요구도에 관한 연구. 간호과학, 10(2), 73-82.
  41. 이영분, 신준섭, 최희정, 박상진, & 최혜지. (2004). 고령화사회와 노인인구의 보건복지. 서울: 건국대학교 출판부.
  42. 이진숙, & 최원석. (2014). 남성노인의 삶의 질에 대한 경로 연구. 노인복지 연구, 66, 377-404.
  43. 이현지, & 조계화. (2006). 노인의 죽음불안과 우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간호연구개론. 서울: 현문사.
  44. 이현심, & 남희수. (2010). 농촌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우울감, 자아존중감 및 사회활동참여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경기도 여주를 중심으로. 농촌지도와 개발, 17(4), 957-984.
  45. 임은의, 구본진, & 임세현. (2014). 농촌 노인의 사회적 관계망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존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25(2), 567-590.
  46. 전희수. (2015). 노인의 자원봉사활동 요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대한신학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7. 정명숙. (2007). 노년기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한국노인복지학회, 37, 249-274.
  48. 정신섭. (2014). 노인의 특성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9. 정인과, 곽동일, 신동균, 이민수, 이현수, & 김진영. (1997). 노인우울척도의 신뢰도, 타당도 연구. 신경정신의학, 36(1), 103-112.
  50. 충남 서천군청. (2019). 서천군노인복지통계. 서천: 서천군청.
  51. 최영. (2008). 독거노인의 경제수준, 건강상태,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24(4), 103-123.
  52. 통계청. (2016). 노인복지통계. 대전: 통계청.
  53. 통계청. (2017). 노인복지통계. 대전: 통계청.
  54. 한진원. (2011). 상호교류분석 이론에 기초한 유아교사의 자아존중감 증진프로그램의 구성 및 적용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5. 한정란, & 김수현. (2004). 농촌 남녀노인의 사회 인구학적 변인과 자아 존중감이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26, 91-118.
  56. 한필수. (2016). 노후준비가 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대한신학대학원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7.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8). 한국복지패널 심층분석 보고서.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58. 황미구, & 김은주. (2008). 노인의 우울과 인지능력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자살생각을 매개변수로하여. 노인복지연구, 41, 385-404.
  59. Bae, J. H., Lee, T. Y., & Kang, D. H. (2012). Impact of pain catastrophizing and motivation for rehabilitation on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stroke pati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0(4), 57-37.
  60.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61. Benn, A. W. (1973). Quality of AML WC.
  62. Cella, D. F. (1994). Quality of life: Concepts and definition. Journal of Pain Symptom Management, 9(3), 186-192. doi:10.1016/0885-3924(94)90129-5
  63. Ccen, K. M., & Cheng, H. L. (1994). Hearing in the elderly relation of hearing loss, loneliness and self-esteem.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49(2), 22-28. doi:10.3928/0098_9134_19940601_07
  64. Conwell, Y. (2001). Suicide in later life: A review and recommendations for prevention. suicide and life. Threatening Behavior, 31, 32-47. doi:10.1521/suli.31.1.5.32.24221
  65. Fuemmeler, B. F., Masse, L. C., Yaroch, A. L., Resnicow, K., Campbel, M. K., Carr, C., et al. (2006). Psychological mediation of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in the body and soul effectiveness trial. Health Psychology, 25(4), 474-483. doi:10.1037/0278-6133.25.4.474
  66. Glenn, T. F. (2001). Emerging Trends on Disability. Population Today, 29, 9-10.
  67. Hooyman, N. R., & Kiyak, H. A. (2002). Social gerontology: A multidisciplinary perspective. New York: Allyn and Bacon.
  68. Katz, S., Ford, A. B., Moscokowitz, R. W., Jackson, B. A., & Jaffe, M. W. (1963). Studies of illness and the aged: The Index of ADL: A standardized measure of biological and psychosocial function.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185, 914-19. doi:10.1001/jama.1963.03060120024016
  69. Kemp, B. J., & Mitchell, J. M. (1992). Functional assessment in geriatric mental health. In J. E. Birren and associates: Handbook of mental health and aging. San Diego, IL: Academic Press. doi:10.1016/B978_0_12_101277_9.50028_0
  70. Kennedy, J. (2002). Aging and disability: The advocacy and research agendas. Journal of Disability Policy Studies, 12(4), 280-283. doi:10.1177/104420730201200407
  71. Knappy. (1976). Predicting the dimension of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Gerontology, 31(5), 596-604. doi:10.1093//geronj/31.5.595
  72. Lawton, M. P., & Bordy, E. M. (1969). Assnssment old people: Self maintaining an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The Gerontologist, 9, 179. https://doi.org/10.1093/geront/9.3_Part_1.179
  73. Mecocci, P., Cherubini, A., Mariani, E., Ruggiero, C., & Senin, U. (2004). Depression in the elderly: New concepts and therapeutic approaches. Aging Clinical and Experimental Research, 16(3), l76-189. doi:10.1007/bf03327382
  74. Minkler, M. (1989). Health education, health promotion and the open society: An historical perspective. Health education Quarterly, 16, 17-30. doi:10.1177/109019818901600105
  75. Pinquart, M. (1991). Analysis of the self-concept of independently living senior citizens. Zeitschirft fur Gerontology, 24, 98-104.
  76. Priestley, M. (2003). Disability: A life course approach. Cambridge, MA: Polity Press.
  77. Rodin, J., & Langer, Z. (1980). Aging labels: The decline of and the full of self-esteem.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5, 57-63. doi:10.1111/J.1540_4560.1980.tb02019.x
  78. Rosenberg, M. (1979). Conceiving the self. New York, NY: Basic Books. doi:10.1207/s15327752jpa4504_23
  79. Shaw, B. A., Krause, N., Liang, J., & Bennett, J. (2007). Tracking changes in social relations throughout late life.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62(2), S90-S99. doi:10.1093/geronb/62.2.S90
  80. Sobel, M. E. (1982). Asymptotic confidence intervals for indirect effect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Sociological Methodology, 13, 290-312. doi:10.2307/270723
  81. United Nations. (2013). World population prospects. Washington, D.C.: United Nations, Dept. of Economic and Social Affairs. Population Division.
  82. Verbruge, L. M., & Yang, L. S. (2002). Aging with disability and disability with aging. Journal of Disability Policy Studies. 12(4), 253-267. doi:10.1177/104420730201200405
  83. Won, C. W., Yang, G. Y., Ro, Y. K., Kim, S. Y., Lee, E. J., & Yoon, J. R., et al. (2002). The development of Korean activities of daily living (K-ADL) and Korea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K-IADL) scale. Annals of Geriatric Medicine and Research, 6(2), 107-20.
  84. Yoo, S. J., Hwang, G. C., Kim, H. J., & Keon, H. C. (2011). The effect of mirror therapy on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ctivity of daily living in patients with post-stroke Hemiplegi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19(2), 25-37. doi:10.1589/jpts.27.1681

Cited by

  1. 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ADL/IADL)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도시와 농촌 비교를 중심으로 vol.22, pp.4, 2020, https://doi.org/10.5762/kais.2021.22.4.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