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Infant's Digital Device Usage and Parents' Perception on Infant's Language Development

영아의 디지털기기 사용과 디지털기기에 대한 부모의 인식이 영아의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20.04.22
  • Accepted : 2020.06.04
  • Published : 2020.06.30

Abstract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arents' perception of infant's use of digital devices on language development. Methods: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285 parents of 1-2year old infants attending childcare centers in Jeollanam-do. Results: First, the digital devices that infants were exposed to the most was the television, and their first exposure to digital devices was at 13~17 months. The most time spent using digital devices was 30 minutes and they most frequently used them at home. Second, parents perceived the educational value of digital devices as low. Third, language development was high when the initial use of digital devices for infants was late, when the daily use time of digital devices was less than 30 minutes, when digital devices were used with parents, and when parents always managed digital devices and usage time. Fourth, Parents' perception of the use of digital devices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ir infants' language development. Conclusion/Implications: Language development due to the use of digital devices and parents' perception of the use of digital devices has a significant impact on infants language development.

Keywords

References

  1. 강연주 (2014).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실태와 어머니의 인식 및 유아행동특성 간의관계.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곽지혜 (2016). 디지털기기에 대한 영아의 사용 현황 및 부모의 인식과 언어발달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권민희 (2013). 유아의 터치스크린기기 사용과 문제행동의 관계.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권연정 (2014). 만 2세반 영아의 스마트기기 이용에 대한 어머니들의 인식: 스마트폰과 태블릿PC를 중심으로. 육아지원연구, 9(1), 213-242. https://doi.org/10.16978/ECEC.2014.9.1.009
  5. 김민희 (2015). 유아의 자기조절,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스마트기기 중독이 유아의 스마트기기 이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6), 133-151. doi:10.14698/jkcce.2015.11.133
  6. 김영희 (2012).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놀이신념과 유아의 놀이성과의 관계. 육아지원연구, 7(2), 27-46. doi:10.16978/ecec.2012.7.2.002
  7. 김영태 (2002). 영유아 언어발달검사(SELSI) 개발 연구: 문항 및 신뢰도 분석. 언어청각장애연구, 7(2), 1-23.
  8. 김이영, 최윤희 (2015). 부모의 스마트폰에 대한 인식이 유아의 문제행동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부모와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을 매개로.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9(1), 139-158.
  9. 김정자 (2013). 유아의 인터넷 게임 몰입성이 유아의 정서표현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수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주아 (2013). 영아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부모의 인식 및 태도 연구.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4(4), 545-569.
  11. 남경희 (2018).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미디어 중재역할이 유아의 스마트폰 과몰입에 미치는 영향. 육아지원연구, 13(1), 117-137. doi:10.16978/ecec.2018.13.01.005
  12. 류미향 (2014). 영아의 스마트폰 사용실태 및 어머니의 인식: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양육스트레스와의 관련성 탐구. 한국영유아보육학, 86, 307-329.
  13. 문미향 (2012). 부모의 미디어에 대한 인식과 영아의 미디어 사용실태에 관한 연구.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박찬옥, 조형숙, 김민정 (2007). 자녀의 전자미디어 이용과 그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및 개입의 차이. 한국교육문제연구, 25(2), 1-20.
  15. 신의진 (2013). 디지털 세상이 아이를 아프게 한다. 서울: 북클라우드.
  16. 이미정 (2013). 유아의 스마트기기 이용 실태 및 유아 발달에 미칠 영향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이병호 (2012). 가정에서 유아의 스마트 기기 사용에 관한 탐색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6(6), 511-532.
  18. 이수미, 서현아, 한희정 (2014). 영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 실태 및 어머니의 인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2), 111-131. doi:10.14698/jkcce.2014.10.2.111
  19. 이어리, 이강이 (2012). 부모요인, 친구요인, 심리적 요인이 초등학생의 충족적 휴대전화 사용에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21(2), 27-39.
  20. 이원석, 성영화 (2012). 유아의 스마트폰 이용과 관련한 어머니의 인식. 육아정책연구, 6(1), 20-38.
  21. 이정림, 도남희, 오유정 (2013). 영유아의 미디어 노출실태 및 보호대책.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22. 이주연 (2011). 유아교육용 스마트폰 앱에 대한 부모 인식 조사: 유아의 행동패턴에 따른 부모 인식 조사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이현정 (2013). 영.유아의 스마트기기 이용실태에 대한 부모 인식.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임선영 (2013). 가정에서 유아 스마트폰 사용실태와 어머니의 허용과 인식: 계양구 유아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장영애, 박정희 (2007). 아동의 인터넷 사용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의 양육태 도 및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한국생활과학회지, 16(6), 1131-1140. https://doi.org/10.5934/KJHE.2007.16.6.1131
  26. 차금주, 신인숙 (2007). 가정에서 유아의 컴퓨터 활동에 관한 연구. 과학논집, 33, 117-143.
  27. 천희영 (2015). 만4세 유아의 스마트폰 이용 정도와 발달특성, 생활시간 간의 관계 및 이용 정도 예측변인.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6), 153-175. doi:10.14698/jkcce.2015.11.153
  28. 한국인터넷진흥원 (2010). 스마트폰 사용실태조사(II). 서울: 한국인터넷진흥원.
  29. 한국정보화진흥원 (2017). 스마트폰 바른 사용 실천가이드 활용매뉴얼. 서울: 한국정보화진흥원.
  30. Bittman, M., Brown, J., Rutherford, L., & Unsworth, L. (2011). Digital natives? New and old media and children's outcomes. Australian Journal of Education, 55(2), 161-175. doi:10.1177/000494411105500206
  31. Gopnik, A., Meltzoff, A. N., & Kuhl, P. K. (2008). The Scientist in the Crib, 아기들은 어떻게 배울까? 아기들이 말과 사물과 사람을 배우는 방법(곽금주 옮김). 서울: 동녘사이언스(원판 1999).
  32. Hashemi, M., & Ghasemi, B. (2011). Retraction notice to using Mobile Phones in Language Learning/Teaching [SBSPRO 15C (2011) 2947-2951]. Procedia-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15, 2947-2951. doi:10.1016/j.sbspro.2011.04.220
  33. Wolf, M. (2009). Proust and the squid : The story and science of the reading brain, 책 읽는 뇌 : 독서와 뇌, 난독증과 창조성의 은밀한 동거에 관한 이야기(이희수 옮김). 경기도: 살림 (원판 2007).
  34. Zimmerman, F. J., Christakis, D. A., & Meltzoff, A. N. (2007). Associations between media viewing and language development in children under age 2 years. The Journal of Pediatrics, 151(4), 364-368. doi:10.1016/j.jpeds.2007.04.071

Cited by

  1. '위험한 미디어 vs 든든한 육아 도우미' : 영유아 스마트 미디어 이용 담론에 대한 탐구 vol.21, pp.8, 2020, https://doi.org/10.5392/jkca.2021.21.08.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