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Meaning and Tasks of Vitalizing Private Archives : Focused on Maeul-community Archives

민간 아카이브 활성화의 의미와 과제 마을공동체 아카이브를 중심으로

  • 손동유 ((협)아카이빙네트워크연구원)
  • Received : 2020.06.30
  • Accepted : 2020.07.20
  • Published : 2020.07.31

Abstract

Twenty years after the Records Managemen Act was first enacted, the archiving environment has changed a lot. The advent of the electronic records environment, the importance of presidential records management, and the importance of managing private records have been a direct background to the 2006 revision of the Records Management Act. The field of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and the field of presidential records management have challenges and limitations, but have been steadily developing. However, in the private sector, archiving has not chang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voluntary activity. Now the maeul-community is calling for a response from the records management community. A society develops when the private and public sectors cooperate with each other and form healthy check-ups. In the archiving field, it must also become active through cooperation.

기록관리법이 처음 제정된 후 20여년이 지난 지금 기록관리 환경은 많이 바뀌었다. 전자기록환경의 도래, 대통령기록관리의 중요성, 민간기록물관리의 중요성 등은 2006년 기록관리법을 전면 개정하는 직접적인 배경이 되었다. 전자기록관리분야와 대통령기록관리 분야는 과제와 한계가 있지만 꾸준히 발전해 오고 있다. 그러나 민간분야의 아카이빙 활동이 활발해지고 있는 양상에 비해 정책과 제도의 변화는 크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마을공동체 아카이빙의 전국적 움직임은 기록관리계의 대응을 주문하고 있다. 한 사회는 민간영역과 공공영역의 서로 협력하고 건강한 견제관계를 이룰 때 발전하게 된다. 아카이빙 분야에 있어서도 관민의 협력을 통해 사회전반에 걸쳐 활발한 아카이빙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곽건홍. (2011). 일상아카이브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소론. 기록학연구, 29, 3-33. https://doi.org/10.20923/kjas.2011.29.003
  2. 곽건홍. (2020). 비정규노동 수기와 노동의 기록화. 기록학연구, 64, 5-25.
  3. 김익한. (2010). 마을 아카이빙 시론. 기록학연구, 26, 151-172. https://doi.org/10.20923/kjas.2010.26.151
  4. 김익한. (2018). 왜 다시 기록관리 혁신인가?. 기록학연구, 55, 165-208.
  5. 설문원, 김영. (2016). 공동체 아카이브를 위한 기록 평가론의 재조명. 기록학연구, 48, 209-251.
  6. 손동유, 이경준. (2013). 마을공동체 아카이브 활성화 방안. 기록학연구, 35, 161-204. https://doi.org/10.20923/kjas.2013.35.161
  7. 윤은하. (2012). 공동체와 공동체 아카이브에 대한 고찰. 기록학연구, 33, 3-37. https://doi.org/10.20923/kjas.2012.33.003
  8. 이경래. (2015). 마을공동체 아카이브의 거버넌스모델 연구. 기록학연구, 45, 51-82. https://doi.org/10.20923/kjas.2015.45.051
  9. 이경용. (2020). 일본의 지방아카이브 연구. 기록학연구, 64, 93-118.
  10. 이경용. (2019). 지방아카이브의 역할. 기록학연구, 59, 129-157.
  11. 이영남. (2008). 마을아르페 시론-마을 차원의 '책, 기록, 역사 그리고 치유와 창업의 커뮤니티'를 위한 제안. 기록학연구, 18, 221-254. https://doi.org/10.20923/kjas.2008.18.221
  12. 이영남. (2012). 공동체 아카이브의 몇 가지 단상. 기록학연구, 31, 3-42. https://doi.org/10.20923/kjas.2012.31.003
  13. 이영남. (2018). 국가기록혁신과 기억담론. 기록학연구, 56, 49-80.
  14. 이영남. (2020). 일상생활과 기록. 기록학연구, 63, 167-225.
  15. 이정은, 김유경, 김건. (2020). 민간기록물관리에 관한 조례 현황 연구. 기록학연구, 64, 119-155.
  16. 장대환, 김익한(2019). 기억, 기록, 아카이브 정의. 기록학연구, 59, 277-320.
  17. (협)아카이빙네트워크연구원. (2019). 지역 역사문화 아카이빙을 위한 김포 북변동 스토리텔링 사업 소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9(1), 275-281. https://doi.org/10.14404/jksarm.2019.19.1.275
  18. Andrew Flinn. "Community Histories, Community Archives: Some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Journal of the Society of Archivists, Vol.28, No.2, October 2007, p.153.

Cited by

  1. 민간 아카이브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 모색 vol.69, 2020, https://doi.org/10.20923/kjas.2021.69.007
  2. '기록활동가' 양성 교육 프로그램의 방향 연구 vol.69, 2020, https://doi.org/10.20923/kjas.2021.69.095
  3. 시민참여형 공모전을 활용한 민간기록물 수집 활성화 방안: 전주 시민기록관의 기록물 수집공모전 사례를 중심으로 vol.21, pp.3, 2020, https://doi.org/10.14404/jksarm.2021.21.3.0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