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n Children's Environmental Education Using Concept Mapping

예비유아교사의 유아환경교육에 대한 개념도 연구

  • Received : 2020.08.17
  • Accepted : 2020.10.07
  • Published : 2020.10.31

Abstract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reveal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children's environmental education using concept mapping and demonstrating its importance. Methods: Based on Kane and Trochim's(2007) procedure, 33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conducted brainstorming and statement writing, and then the importance of selected statements were rated by 202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Selected statements were analyzed through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Results: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d children's environmental education as concept mapping with 2-dimensions and eight clusters. The following eight clusters were established (1) daily practice through hands on experience, (2) nature environment, (3) recognizing and coping with environmental issues, (4) environmental preservation practices, (5)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consideration, (6) purpose of children's environmental education, (7) necessity for children's environmental education (8) Practice through connection with child's home and community. And then among the eight clusters, the most important was recognized as 'daily practice through hands on experience', and among the statements 'young children learn through the method of playing in nature and experience nature' was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Conclusion/Implications: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 the importance of children's environmental education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how to support to develop teacher's training program.

Keywords

References

  1. 곽은복 (2005). 생태지향적 관점에 근거한 유아 환경교육의 전망. 아동교육, 14(1), 83-96.
  2. 구혜현, 김숙자 (2017). 지속가능발전교육에 근거한 유아 원예활동 프로그램 개발. 유아교육연구, 37(6), 5-27. doi:10.18023/kjece.2017.37.6.001
  3. 김경철, 김은혜 (2019).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유아교육연구, 39(2), 125-151. doi:10.18023/kjece.2019.39.2.006
  4. 김민경, 문상호 (2013). 환경친화적 태도와 과학적 지식이 환경친화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연구: 국가의 문화성향을 조절변수로 하여. 한국행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665-690.
  5. 김선경 (2011). 초등학교 담임교사가 지각한 학교상담의 어려움에 대한 연구. 상담학연구, 12(5), 1473-1488.
  6. 김수경 (2004). 체험학습 중심의 환경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환경친화적 생활습관 형성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숙자, 우신욱 (2014).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환경 관련 교육 내용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8(1), 365-386.
  8. 김은나 (2020). 예비유아교사 대상 세계시민교육 모형 개발 및 적용.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김영숙, 최석란 (2006). 유아환경교육을 위한 물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11(4), 311-328.
  10. 김정원, 이지영 (2004). 유아교사의 환경친화적 가치관과 유아환경교육에 관한 인식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9(2), 161-179.
  11. 김혜순, 최준섭 (2001). 초등학교 6학년에서 수질환경교육을 위한 STS수업 모형의 적용 효과. 실과교육연구, 7(1), 117-128.
  12. 김혜진 (2013). 유아환경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나정 (2005). 유치원실태조사보고. 보건복지포럼, 2005(9), 32-45.
  14. 류덕연, 유연옥 (2016). 유아교사의 환경보전 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조사. 한국유아교육학회정기학술발표논문집, 2016(1), 182-182.
  15. 박광배 (2000). 다차원척도법. 서울: 교육과학사.
  16. 박지영 (2017). 유아 환경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환경친화적 교육태도와 유아의 환경태도 분석.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박태윤, 정완호, 최석진, 최돈형, 이동엽, 노경임 (2002). 환경교육학개론. 서울: 교육과학사.
  18. 박희숙, 신금호 (2008). 유아 예비교사와 현직교사들의 환경교육 인식과 환경 친화적 태도에 관한 비교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12(1), 99-114.
  19. 이새별, 황희숙 (2018). 유아영재교육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개념도 분석. 인지발달중재학회지, 9(3), 91-104. doi:10.21197/JCEI.9.3.5
  20. 이지영 (2003). 유아교사의 환경친화적 가치관과 환경문제 해결방안 및 유아환경교육에 관한 인식.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임승렬 (2001). 유아교사 평가의 새로운 접근. 유아교육연구, 21(1), 87-116.
  22. 장필경, 조부경 (2017). 일상생활과 연계된 다큐멘터리를 활용한 환경교육활동이 유아의 환경감수성 및 환경보전지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연구, 19(2), 125-148. doi:10.15409/riece.2017.19.2.125
  23. 정경수, 임부연, 김현령 (2015). 유아교사론을 수강한 예비유아교사의 "유아교사교육"에 관한 개념도와 면담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2(3), 203-227.
  24. 조하경 (2020). 현대미술감상을 통한 환경교육이 유아의 환경보전지식, 환경보전태도 및 미술 감상능력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주수미, 신금호, 이수진, 정진희 (2017). 예비유아교사의 환경보전 지식, 환경친화적 태도, 환경보전행동이 환경 교수 불안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21(6), 102-125.
  26. 지성애 (2012). 환경교육에 대한 유치원교사의 인식과 실태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6(2), 5-29.
  27. 최경순, 차미영 (2004). 유아교육기관의 환경보전 부모교육프로그램 효과연구. 아동학회지, 25(4), 177-190.
  28. 최돈형, 손현아, 이미옥, 이성희 (2007). 환경교육 교수.학습론. 서울: 교육과학사.
  29. 최윤정, 김계현 (2007). 진로상담: 고학력 기혼여성의 진로단절 위기 경험에 대한 개념도 (Concept Mapping) 연구-진로지속 여성과 중단 여성 간의 비교. 상담학연구, 8(3), 1031-1045.
  30. 최재천 (2020). 생태와 인간. 최재천, 장하준, 최재붕, 홍기빈, 김누리, 김경일 편, 코로나 사피엔스(pp. 14-43). 서울: 인플루엔셜.
  31. 하시연 (2001). 인터넷 환경교육과 야외 환경교육의 효과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허유성, 정은희, 이우진 (2009). 예비 일반교사와 예비 특수교사의 교육관 비교 및 상호이해 수준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26(3), 311-337. doi:10.24211/tjkte.2009.26.3.311
  33. 허정무, 박현진 (2016). 유아환경교육 관련 연구 경향 분석. 한국영유아보육학, 96, 101-127.
  34. 환경부 (2002). 국가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환경교육 추진전략 개발 연구. 서울: 환경부.
  35. 환경부 (2006). 유아 환경교육 프로그램. 서울: 양서원.
  36. 환경부 (2007). 환경교육 효과 평가 연구-초등학교를 대상으로. 경기도: 환경부.
  37. 환경부 (2014). 국가 수준 환경교육 기준개발 연구. 세종: 환경부.
  38. Beck, J., Czerniak, C. M., & Lumpe, A. T. (2000). An exploratory study of teachers' beliefs regarding the implementation of constructivism in their classrooms.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11(4), 323-343. doi:10.1023/a:1009481115135
  39. Brelet-Rueff, C. (2000). Helping children in the humid tropics: Water education. Eric, ED444865, 1-70.
  40. Chawla, L. (1998). Significant life experiences revisited: A review of research on sources of environmental sensitivity. The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29(3), 11-21. doi:10.1080/00958969809599114
  41. Gol, A. R., & Cook, S. W. (2004). Exploring the underlying dimensions of coping: A concept mapping approach.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23(2), 155-171. doi:10.1521/jscp.23.2.155.31021
  42. Hsu, S., & Roth, R. E. (1998). An assessment of environmental literacy and analysis of predictors of responsible environmental behaviour held by secondary teachers in the Hualien area of Taiwan.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4(3), 229-249. doi:10.1080/1350462980040301
  43. Iozzi, L. A. (1989). What research says to the educator: Environmental education and the affective domain. The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20(3), 3-9. doi:10.1080/00958964.1989.9942782
  44. Kane, M., & Trochim, W. M. K. (2007). Concept mapping for planning and evaluation (Vol. 50).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45. Kruskal, J. B., & Wish, M. (1978). Multidimensional scaling (quantitative applications in the social sciences). Beverly Hills, CA: Sage.
  46. Novak, J. D., Bob Gowin, D., & Johansen, G. T. (1983). The use of concept mapping and knowledge vee mapping with junior high school science students. Science Education, 67(5), 625-645. doi:10.1002/sce.3730670511
  47. Richardson, V. (1996). The role of attitudes and beliefs in learning to teach. In J. Sikula (Ed.),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er education 2nd ed. (pp. 102-119). New York: Macmillan.
  48. Spencer, A. (1995). Phonology: Theory and description (Vol. 9). Malden, MA: Wiley-Blackwell.
  49. Stapp, W. B. (1996). Environmental education for empowerment: Action research and community problem solving. Ann Arbor, MI: Kendall/Hunt Publishing.
  50. Trochim, W. M. K. (1989). An introduction to concept mapping for planning and evaluation. Evaluation and Program Planning, 12(1), 1-16. doi:10.1016/0149-7189(89)90016-5
  51. Wilson, R. A. (1996). Starting early: Environmental education during the early childhood years. ERIC, ED402147,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