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Ways to Restructure Science Convergence Elective Courses in Preparation for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the 2022 Revised Curriculum

고교학점제와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대비한 과학과 융합선택과목 재구조화 방안 탐색

  • Received : 2021.07.23
  • Accepted : 2021.08.22
  • Published : 2021.08.30

Abstract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ays to restructure Convergence Elective Courses in science in preparation for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head of the 2022 revised science curriculum. This study started from the problem that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has not guaranteed science subject choice for students with non-science/engineering career aptitude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by randomly sampling high schools across the country. A total of 1,738 student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of 3 science elective courses such as Science History, Life & Science, Convergence Science. In addition, in-depth interviews with 12 science teacher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field operation of these three courses, which will be classified and revised as Convergence Elective subjects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high school students perceive these three courses as science literacy courses, and find these difficult to learn due to lack of personal interest, and difficulties in content itself. The reason students choose these three courses is mainly because they have aptitude for science, or these courses have connection with their desired career path. Teachers explained that students mainly choose Life & Science, and both teachers and students avoid Science History because the course content is difficult.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we suggested ways to restructure Convergence Electives for the 2022 revised curriculum including developing convergence electives composed of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core concepts with high content accessibility, developing convergence electives with core concepts related to AI or advanced science, developing module-based courses, and supporting professional development of teachers who will teach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electives.

본 연구의 목적은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을 앞두고 고교학점제에 대비하여 과학과 융합선택과목의 재구조화 방안을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경우 비(非)이공계열 진로적성을 지닌 소위 문과계열의 학생들의 과목선택권을 보장하지 못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비이공계열 진로적성을 지닌 학생들을 위한 과학과 선택과목이었던 과학사, 생활과 과학, 융합과학을 중심으로 2015 개정 교육과정 운영실태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설문조사하고, 교사 12명과의 면담을 통해 이들 선택과목의 운영 실태와 개선 방안을 도출하였다. 과학사/생활과학/융합과학 과목은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과학과 융합선택과목으로 분류, 개정될 예정이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고등학생들은 과학사/생활과학/융합과학을 교양 과학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개인적인 흥미와 노력 부족, 학습내용 자체의 어려움 등으로 이들 과목을 어려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사/생활과학/융합과학 과목의 교육과정 운영 실태를 살펴보면 학생들은 주로 생활과과학을 선택하며, 과학사 과목의 경우 내용이 어려워서 교사도 학생도 기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2022 개정 교육과정의 과학과 융합선택과목 재구조화 방안을 간학문적인 핵심개념을 중심으로 한 내용접근성이 높은 융합선택과목 개발, 인공지능(AI)이나 첨단과학 관련 핵심개념을 중심으로 한 융합선택과목 개발, 모듈단위로 구성된 융합선택과목 개발, 간학문적 융합선택과목을 지도할 수 있는 과학교사 전문성 개발지원 등의 측면에서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2015a).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제 2015-74호 [별책 9].
  2. 교육부(2015b). 2015 개정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 2015-80호 [별책 1].
  3. 교육부 보도자료(2018. 12. 17). 학교생활기록 작성 및 관리지침 개정안.
  4. 교육부 보도자료(2021. 2. 17). 2025년, 포용과 성장의 고교 교육 구현- 「고교학점제 종합 추진계획」 발표.
  5. 교육부 보도자료(2021. 4. 20). 국민과 함께하는 미래 교육과정 논의 본격 착수- 「2022 개정 교육과정 추진계획」 발표.
  6. 교육부 보도자료(2021. 7. 14). 국민과 함께 미래 교원을 그리다-'교원양성체제 발전방안(시안)'에 대한 대국민 의견수렴 실시.
  7. 김연화(2019). 지구과학 고등학교 선택과목 재구조화: 고체지구영역을 중심으로. 현장과학교육, 13(3), 283-302. https://doi.org/10.15737/SSJ.13.3.201908.283
  8. 김연화, 곽영순(2020). 고등학교 지구과학 선택과목 재구조화 연구.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3(1), 40-52. https://doi.org/10.15523/JKSESE.2020.13.1.40
  9. 김현경, 정은영(2018). 2015 개정 고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의 적용 방안. 교육과정평가연구, 21(1), 61-77. https://doi.org/10.22799/JCE.2018.21.1.003
  10. 신영준, 곽영순(2019).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통합과학과목 편성.운영 실태 분석. 과학교육연구지, 43(1), 64-78. https://doi.org/10.21796/jse.2019.43.1.64
  11. 이일, 곽영순(2020). 2015 개정 과학과 일반선택과목의 수강 현황 및 선택률 제고 방안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0(2), 217-226. https://doi.org/10.14697/JKASE.2020.40.2.217
  12. 이일, 곽영순(2021). 고교학점제와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대비한 과학과 선택과목 재구조화 방안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1(2), 145-154. https://doi.org/10.14697/JKASE.2021.41.2.145
  13. KOFAC (2019). Monitoring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2015 national science curriculum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Seoul: KOFAC.
  14. KOFAC (2020). Analysis of field application of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Seoul: KOFAC.
  15. Korean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KICE) (2017). A study on the direction of mid- to long-term high school curriculum for response to the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Directions and tasks of the learner-centered high school credit system. CRC 2017-9.
  16. Korean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KICE) (2018). A study on restructuring high school curriculum to adopt the credit system. RRC 2018-8.
  17. Park, H., Sim, J., Choi, H., Lim, H., Park, J., Ahn, H., & Yang, S. (2019). Monitoring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2015 national science curriculum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Seoul: KOFA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