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Public Institution Dataset Identification and Evaluation Process : Focusing on the Case of KR Electronic Procurement System

공공기관 데이터세트 식별과 평가 절차 연구 국가철도공단 전자조달시스템 사례를 중심으로

  • 황진현 (강릉원주대학교 기록관리협동과정) ;
  • 백영미 (국가철도공단 기록물관리) ;
  • 임진희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 Received : 2021.09.30
  • Accepted : 2021.10.15
  • Published : 2021.10.31

Abstract

After the revision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Public Records Act, the archives created a management standard table for data set records management and performed management and control. Therefore, in this study, the data set record identification procedure and evaluation index were developed for systematic data set record management of archives. By applying this, a management standard table was prepared after identifying the records of 8 datasets in kr's electronic procurement system, and the evaluation was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evaluation index, and the retention period, transfer, and collection were determined. It is hoped that this case study will be of practical use to the archives at a time when concrete examples of procedures for the management of dataset records are lacking.

공공기록물법 시행령 개정 이후 기록관에서는 데이터세트 기록 관리를 위한 관리기준표를 작성하고 이에 대한 관리와 통제를 수행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록관의 체계적 데이터세트 기록 관리를 위한 데이터세트 기록 식별 절차와 평가 지표를 개발하였다. 이를 적용하여 국가철도공단의 KR전자조달시스템의 8개 데이터세트 기록 식별 후 관리기준표를 작성하였고, 평가지표에 따라 평가를 진행, 보존기간과 이관 및 수집 여부를 책정하였다. 데이터세트 기록의 관리 절차에 대한 구체적 사례가 부족한 시점에, 이 사례연구가 기록관에 실무적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Keywords

References

  1. 서지인 (2020). 행정정보 데이터세트 관리 개선방안 연구: 공공데이터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20(4), 41-58. DOI : 10.14404/JKSARM.2020.20.4.041
  2. 오세라, 박승훈, 임진희 (2018). 행정정보 데이터세트 사례 조사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8(2), 109-133. DOI : 10.14404/JKSARM.2018.18.2.109
  3. 오세라, 이해영 (2019). 행정정보 데이터세트의 기록관리 방안.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9(2), 51-76. DOI : 10.14404/JKSARM.2019.19.2.051
  4. 왕호성, 설문원 (2017). 행정정보 데이터세트 기록의 관리방안.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7(3), 23-47. DOI : 10.14404/JKSARM.2017.17.3.023
  5. 조은희, 임진희 (2009). 행정정보 데이터세트 기록의 선별 기준 및 절차 연구, 기록학연구, 19, 251-291. UCI : G704-001548.2009.19.004 https://doi.org/10.20923/kjas.2009.19.251
  6. 국가기록원 (2007). 행정정보시스템 데이터세트 기록관리 방안 연구보고서.
  7. 국가기록원 (2015). 데이터세트 구조분석 및 진본성 보장 기록관리 기능 모델 연구.
  8. 국가기록원 (2017). 차세대 기록관리 모델 재설계 연구 개발.
  9. 국가기록원 (2019). 데이터세트 유형 전자기록의 장기보존기술 연구.
  10. 국가기록원 (2020). 2020년 행정정보데이터세트 기록관리 체계 구축.
  11. 국가철도공단 (2022 발간예정). KR 기록정보자원 장기보존 체계 구축 최종보고서.
  12. 행정안전부 (2019). 공공기관 데이터 자원 보존 개선방안 연구.
  13. 개인정보 보호법. 법률 제16930호.
  14. 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행정안전부고시 제2019-47호.
  15. 개인정보의 기술적.관리적 보호조치 기준. 개인정보보호위원회고시 제2020-5호.
  16. 공공기록물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대통령령 제30584호.
  17. 국가기록원. 2020. 행정정보 데이터세트 기록관리 기준-관리기준표 작성 및 이관 규격(NAK 35:2020(v1.0)
  18. 한국인터넷진흥원.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ISMS-P) 인증기준. https://isms.kisa.or.kr/main/ispims/notice/?boardId=bbs_0000000000000014&mode=view&cntId=9
  19.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018). 공공데이터 품질관리 매뉴얼.
  20.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021). 공공데이터 예방적 품질관리 진단가이드.
  21. ISO 15489-1:2016.
  22. Information and documentation - Records management - Part 1: Concepts and principles
  23. 국가기록원 (2016). 행정정보 데이터세트 기록관리 방안
  24. 국가기록원 (2020a). 기록관리 이슈페이퍼 vol.23
  25. 국가기록원 (2020b). 행정정보 데이터세트 기록관리 실행 매뉴얼(기록관리 지침)
  26. 국가기록원 (2020c). 행정정보 데이터세트 시행령 개정에 따른 준비사항 안내(요약).
  27. 한국기록학회, 한국기록관리학회, 한국기록전문가협회 (2020). 제12회 전국기록인대회 자료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