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rocess Simulation of LH2 Receiving Terminal with Membrane Storage Tank and Prediction of BOG Generation According to Change of Design Conditions

LH2 멤브레인 저장탱크 인수기지 공정모사 및 설계조건 변화에 따른 BOG 발생량 예측

  • 김동혁 (한국가스공사 가스연구원) ;
  • 이영범 (한국가스공사 가스연구원) ;
  • 서흥석 (한국가스공사 가스연구원) ;
  • 권용수 (한국가스공사 가스연구원) ;
  • 박창원 (한국가스공사 가스연구원) ;
  • 권휘웅 (한국가스공사 가스연구원)
  • Received : 2022.08.24
  • Accepted : 2022.10.21
  • Published : 2022.10.31

Abstract

If the hydrogen industry is activated in the future, the LH2 receiving terminal with membrane storage tank is a major way to store and send large capacity hydrogen. Since such a LH2 receiving terminal does not currently exist, the process simulation model of it was completed by referring to the design data on existing LNG receiving terminal with same typed storage tank. Based on this model, the amount of BOG generation according to change of design conditions, which is a very important factor in the operation of LH2 receiving terminal, was predicted. Through this, it was attempted to review the appropriate operating conditions to minimize the amount of BOG generated during unloading in LH2 receiving terminal with membrane storage tank.

미래에 수소 산업이 활성화되면 LH2 멤브레인 저장탱크 인수기지는 대용량 액화수소를 저장하고 송출할 수 있는 주요한 방안이다. 현재 이러한 인수기지가 존재하지 않기에, 기존 LNG 멤브레인 저장탱크 인수기지 설계 자료를 참고하여 기지 공정모사 모델을 완성하였다. 이 모델을 베이스로 하여 멤브레인 저장탱크 인수기지 운영에서 매우 주요한 인자인 기지 설계조건 변화에 따른 BOG 발생량을 예측하였다. 이를 통하여 LH2 멤브레인 저장탱크 인수기지가 운영될 때를 대비하여 하역시 BOG 발생량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적절한 운전조건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산업통상자원부(MOTIE)와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KETEP)의 지원을 받아 수행한 연구 과제입니다. (No. 202130300404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