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sh Fauna of the Saemankum Area in the West Coast of Chollabuk-do, Korea

새만금 일대의 어류상

  • 심광수 (군산대학교 자연대학 생물학과) ;
  • 이충렬 (군산대학교 자연대학 생물학과)
  • Published : 1999.09.01

Abstract

Fish fauna of fishes collected from the Saemankum area in the west coast of Chollabuk-do was studied from October 1996 to April 1999. The specimens collected from the five sites in this area were identified into 107 species belonging to 83 genera and 52 families. Of them the largest group of fishes was order Perciformes, comprising 50 species and 21 families, and showed 46.7% in total numbers of species. Next larger groups were orders Scorpaeniformes and Pleuronectiformes containing 16 and 14 species respectively. In this area, the group comprising a lots of species was the family Gobiidae taking 13 species, and next groups were the families of Sciaenidae (6 species), Engraulidae (5 species) and Pleulonectidae (5 species). The dominant species was Engraulis japonicus which is 23.4 % in total indiyidual numbers, and subdominant species was Thryssa kummazensis which is 18.5%. The important species economically in the Saemankum area were Anguilla japonica, E. japonicus, T. kummalensis, Konosirus punctatus, Sardinella zunasi, Mugil cephalus, Argyrosomus argentatus, Pseudosciaena polyactis, Collichthys lucidus, Paralichthys olivuceus and Cynoglossus joyneri. The species of high frequency in this area from February to June every year were Anguilla japonica, E. japonicus, T. kammalensis, K. punctatus, S. zunasi, Coilia nasus, Syngnatuus schlegeli, P. polyactis, C. lucidus and Pholis fangi. Ophichthus rotundus, Repomucenus leucopoecitus and R. koreanus were Korean endemic species in the west coast of Chollabuk-do. On the other hand, Boleophthalmus pectinirostris was not found during this study, and Periophthalmus modertus, Tridentiger barbatus and Lophogobius ocellioauda sharply decreased in individual numbers in comparison to several years ago.

전라북도 서해에 위치하고 있는 새만금 지역 일대에 서식하고 있는 어류에 대한 조사가 1996년 10월부터 1999년 4월까지 5개 지점을 중심으로 실시되었다. 그 결과 본 구역에서 서식이 확인된 어류는 총 13목 52과 83속 107종이었다. 본 수역에서 출현하는 어종 중에서 농어목 어류가 총 50종으로 전체 어류의 46.7%를 나타내었고, 다음이 16종인 횟대목과 14종인 가자미목 순으로 나타나 이들 3목 어류가 전체 출현 어종의 74.8%를 차지하고 있었다. 한편 이들 어류 중에서 13종이 확인된 망둑어과 어류는 12.1%로 가장 다양한 종이 출현하였고, 다음이 민어과 어류가 6종으로 5.6%, 그리고 멸치과와 참서대과 어류가 각각 5종씩으로 4.7%씩 나타내었다. 한편 본 수역에서 가장 많은 개체수가 출현하여 이 지역 일대의 우점종으로 나타난 종은 E. japonicus로 전체의 23.4%였고, 다음은 T. kanmalensis가 18.5%, S. schlegeli가 12.3%, S. zunasi가 11.1% 등의 순으로 나타나, 멸치과와 청어과 어류가 전체 어류의 61.7%로써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또한 본 조사 지역에서 출현량도 많고, 경제적으로 중요한 어종으로는 A. japonica, E. japonicus, T kammalensis, K. punctatus, S. zunasi, M. cephalus, S. schlegeli, A. argentatus, P polyactis, C. lucidus, C. joyneri등이고,계절적으로 우기가 들기 전에 출현량이 많은 어종으로는 A. japonica, C. nasus, E. japonicus, T. kummulensis, K. punctatus, S. zunasi, S. schlegeli, P. polyactis, C. lusidus, P. fangi등이었으나 해수의 염도가 낮은 우기철에는 거의 출현하지 않았다. 한편 본 수역에서 출현하는 어종 중에서 우리나라의 고유어종으로는 O. rotundus, R. koreanus와 R. leucopoecilus등의 3종이었다. 본 새만금 사업이 진행됨으로써 본 지역에서 완전 소멸될 수 있는 종으로는 B. pectinirostris와 갯벌에서만 서식하는 O. rotundus가 제일 먼저 영향을 받을 것으로 생각되며, 그외에도 출현하는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하거나 서식에 어려움을 줄 수 있는 종으로는 R. leucopoecilus, P. modestus, T. barbatus, L. ocellicauda등이다. 이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에서 가장 넓은 갯벌이 소멸됨으로 인해 전라북도 서해연안에 물리적, 생태적인 악영향이 크게 나타날 것으로 사료되며, 특히 광활한 연안 조간대가 없어짐으로 인해 우기철의 만조시기에 인근 저지대에서 침수의 재해가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새만금 갯벌의 생물과 생태계 현황 고철환
  2. 원색한국어류도감 김익수;강언종
  3. 한국어류학회지 v.5 no.1 고군산군도 연안 어류상 김익수;이완옥
  4. 새만금 간척 종합개발 농어촌진흥공사
  5. 한국해양학회지 v.27 서해 만경, 동진 조간대의 환경과 저서동물 분포 안순모;고철환
  6. 한국해양학회지, 충남대학교 부설 해양연구소 '97심포지움 논문집 서해 만경-동진 조간대의 주요 우점저서 규조류의 분포 오상희;고철환
  7. 전북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한국산 말뚝망둥어아과 어류의 분류와 생태 유봉석
  8. 한국생태학회지 v.13 no.4 만경강 하구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 어류 이충렬
  9. 한국어류학회지 v.6 no.2 황해의 어류상에 대한 검토 이충렬
  10. 전북시민환경연구소 Symposium 새만금 지역의 해산어류 서식 현황과 그 특성 이충렬
  11. 군산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논문집 v.10 전라북도 서해 연안에 서식하는 해산동물 이충렬;주동수
  12. 한국어도보 정문기
  13. 생물해양학적 조사 새만금 종합 개발 사업 어업 피해 보상 연구 최윤
  14. 전북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한국산 참서대과 (가자미목)어류의 분류와 생태 최윤
  15. 조석표 한국해양
  16. Jap J Ichthyol v.39 no.4 Callionymus leucopoecillus, a new dragonet (Callionymidae)from the Yellow Sea Fricke R;CL Lee
  17. Korean Biol. Sci. v.1 A new ophichthid eel, Ophichthus rotundus (Ophichthidae, Anguilliformes) from Korea Lee CL;H Asano
  18. J. of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v.12 The fish fauna of the Yellow Sea in Korea. 1. Kunsan area. Chollabuk-do Lee YJ
  19. The Fishes of the Japanese Archipelago Masuda H;K Amaoka;C Araga;T Uyeno;T Yoshino
  20. Fishes of Japan with Pictorial Keys to the Species Nakabo T
  21. Fishes of the World (2nd ed.) Nelson JS
  22. Mar. Biolo v.122 Distribution of diatoms in the superficial sediments of the Mankyung-Dongiin tidal flat, west coast of Korea (Eastern Yellow Sea) Oh SH;CH Ko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