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Fish Migration through Fishlock at Youngam Lake

영암호 갑문식어도를 통한 어류의 회유

  • 황종서 (농업기반공사농어촌연구원 농촌환경연구실)
  • Published : 2000.10.01

Abstract

The dimension of the fishlock at the Youngam Lake is 6.6m wide and 30m long, and it has been used for both fish migration and ship passage. The capacity of attraction freshwater is $0.172\;\textrm{m}^3/s$, and the water depth of the fishlock varies between 1.9m - 5.7m due to the tide. Fishes were sampled weekly by using 3m wide maze net from April to June, 1999, and by using purse seine covering the entire space of fishlock from July to November, 1999. 116,014 samples were comprised of 25 species, and 99.5% of the samples were 10 kinds of diadromous fishes. The order of the diadromous fishes in abundance was Hemirhamphus kurumeus, Hypomesus olidus, Coilia ectens, and Mugil cephalu, where these four species consist 99% of the individuals, and the other six species contribute only a few of individuals. Each species had unique peak migration period. The peak migration of Hypomesus olidus, Mugil cephalus, Coilia ectens, and Hemirhamphus kurumeus happened on July 20, July 15, May 10, and May 1, respectively.tively.

1999년 4월부터 11월까지 전남 영암의 영암호 갑문식어도에서 매주 1회씩 어도로 들어오는어류를 채집한 결과 25종 116,014개체를 채집하였으며, 이중 웅어, 줄공치, 숭어 등 10종이 하천과 바다를 오가며 서식하는 회유성어류로 전채개체수의 99.5%를 차지하였다. 회유성어류중 개체수로는 줄공치, 빙어, 웅어 숭어의 순으로 많이 채집되고 이들 4종이 전 채집 개체수의 99%에 해당하고 나머지 6종은 매우 드물게 채집되었다. 빙어는 63%가 7월 20일, 숭어는 43%가 7월 15일, 웅어는 42%가 5월 10일, 줄공치는 35%가 5월1일에 채집되어 어종별로 뚜렷한 회유시기가 있었다. 회유성 어류중 담수호에서는 웅어, 빙어, 숭어, 문절망둑 등 7종이 채집되고 유입하천에서는 은어, 빙어, 뱀장어 등 10종이 채집되어 어도를 통하여 소상한 회유성 어류가 담수호를 통하여 하천으로 올라가는 것이 확인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박상덕 (1998). '동해안 지역 어도시설 및 관리' 한국수자원학회지, 한국수자원학회, 제31권, 제4호, pp. 28-33
  2. 정문기 (1986). 한국어도보, 일지사
  3. 최기철, 전상린, 김익수, 손영목 (1990). 한국담수어 도감,향문사
  4. 黃鍾瑞 (1986) '錦江 河口둑에 施工中인 魚道와 魚類生態', 자연보존, 자연보존협회, 제54호, pp. 32-40
  5. 黃鐘瑞 (1988) '防潮提 建設과 魚道', 農工技術, 농업진흥공사, 제5권, 제1호, pp. 12-25
  6. 黃鐘瑞, 金美玉 (1991) 淡水湖의 魚道利用에 關한 硏究, 농어촌진흥공사, 농어촌연구원
  7. 황종서, 허협 (1999). '양양남대천과 영덕오십천의 어도현황과 어류의 이용', 한국농공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농공학회, pp. 721-726
  8. 황종서、 허협, 이승호 (1999). 하구에 설치한 어도 이용에 관한 연구, 농어촌진흥공사 농어촌연구원
  9. 楠田理一 (1963) '海山アユの遡上生態 Ⅱ. 大雲川における遡上群の季節的變化', Bulletin of the Japanese Society of Scientific Fisheries 29(9):pp. 822-827
  10. 住谷昌宏, 佐佐木弘二, 渡邊稔 (1995). '長良川河口堰の漁道の設計と遡上狀況(特に呼び水式魚道について)' 國際魚道會議ぎふ '95 論文集 pp.219-224
  11. 中川哲志, 阪木浩二, 齊藤光男, 兒玉輝(1995). '高梁川潮止堰魚道周邊での魚類調査', 玉際魚道會議 ぎふ '95 論文集 pp. 311-316
  12. 後藤晃, 塚本勝巳, 前川光司 (1994), 川と海を回遊する淡水魚 Ⅰ.4 回遊メカニズロ. 東海大學出版會 pp. 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