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k Factors Related to Musculoskeletal Symptoms in Shipyard Workers

일부 조선업종 근로자들의 근골격계 증상과 관련된 위험요인

Park, Byung-Chan;Cheong, Hae-Kwan;Kim, Soo-Keun
박병찬;정해관;김수근

  • Published : 20031200

Abstract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risk factors related to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shipyard workers. Methods: A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on 2,140 shipyard workers in a shipyard in Ulsan city.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questions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 health behavior, work type and duration, physical burden, job control, type of instruments used, posture, and musculoskeletal symptoms. Definition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was based on either NIOSH criteria and Kim’s criteria. Results: Positive rate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any one part of the body was 77.2% by NIOSH criteria and 60.7% by Kim’s criteria. Positive rate of the symptoms increased in workers with longer work hours, with a severe physical burden, and without any control over their job. Work with a more frequent unstable posture and for longer hours was also associated with increased musculoskeletal symptoms.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unstable posture and physical burden is closely related to the positive rate of musculoskeletal symptoms after controlling for age, smoking, drinking, exercise, duration of work, and job control; showing a good dose-response relationship. Conclusion: Inadequate posture and physical burden were the most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shipyard workers in this study. Therefore, it will be necessary to make efforts to reduce the prevalence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related to a specific job, instrument, physical burden, and posture. Workers should be educated on the types and prevalence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how to improve the ergonomic occupational environment and to set up preventive measures against the risk factors during work.

목적: 본 연구는 조선업종 종사자들의 근골격계 증상 양성률 및 관련요인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방법: 일개 조선업체 근로자 중 자발적으로 설문 조사에 응한 2,140명의 근로자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 자기 기입식으로 작성하도록 하여, 근로자들의 일반적 특성, 근무형태, 작업강도 및 스트레스, 작업자세, 근골격계 자각증상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얻어진 자료를 토대로 부위별 자각증상 여부를 종속변수로 하고 관련 특성을 독립변수로 하여 단변량분석 및 다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조사 대상자들의 연령평균은 43.3${\pm}$7.3세이었고 40대 이상이 75.4%를 차지하였고, 평균 근무 년수는 16.8${\pm}$6.4년이었다. 한 곳의 이상의 부위에서 응답자의 근골격계 증상 양성률은 NIOSH 기준 http://ksci09.kisti.re.kr/common/index_f.jsp에 의할 경우 79.2%, 김 등의 기준(합산점수 10점 이상)에 의할 경우 60.7%이었다. 신체부위별 자각 증상 양성률은 어깨, 허리, 무릎, 팔꿈치, 목 및 손목의 순으로 높았다. 일반적 특성별 자각증상 양성률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흡연, 음주, 운동 등의 생활습관과는 대체적으로 연관성이 없었다. 작업 특성별 자각증상 양성률은 근무연수가 길수록, 육체적 부담이 심할수록, 작업조절이 불가능할수록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작업내용에 따라 신체부위별 자각증상 양성률은 차이를 보였고 작업공구별로도 차이를 보였으나 대체적으로 해머, 드릴 및 용접기를 사용하는 근로자에게서 양성률이 높았다. 작업자세에 따른 증상호소 양성률도 불안정한 자세를 많은 시간, 자주 취할수록 증가하였다. 근골격계 증상 관련요인들에 대한 다변량분석 결과는 연령, 흡연, 음주, 근무년수, 육체적 부담, 작업조건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작업자세는 5단계로 나누어 보았을 때 불안정한 자세를 많이 취할수록 교차비가 증가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조선업에 종사하는 근로자들에서 육체적 부담과 부적절한 자세가 근골격계질환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작업자세에 대한 인간공학적 연구를 통하여 보다 안정적인 작업환경을 만들고 효과적인 운동방법을 보급하고 교육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상백, 김형식, 최홍렬, 김지희, 송인혁 등. 일부조선업근로자의 직업성 요통 발생실태 및 위험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산업의학회지 2000;12(1):1-11.
  2. 김수근, 배근량, 임현술, 김두희, 이종민. 누적외상성 장애에 대한 자각증상을 이용한 선별기준의 타당도. 대한보건협회지 1998;24(1):15-25.
  3. 노동부. 2001 산업재해현황자료, 2001.
  4. 노동부. 2002 산업재해현황자료, 2002.
  5. 노동부. 2003 산업재해현황자료, 2003.
  6. 박수경, 최영진, 문덕환, 전진호, 이종태, 손혜숙. 미용사들의 작업관련성 근골격계 장애에 관한 연구. 대한산업의학회지 2000;12(3):395-404.
  7. 박정일, 조경환, 이승한. 여성 국제 전화 교환원들에 있어서의 경견완 장애, I 자각적 증상. 대한산업의학회지 1989;1(2)141:50.
  8. 성낙정, 사공준, 정종학. 교향악단 연주자의 근골격계장애와 관련요인. 대한산업의학회지 2000;12(1):48-58.
  9. 손정일, 이수진, 송재철, 박향배. 일부 VDT 사용근로자의 자각증상과 심리증상과의 관련성 연구. 예방의학회지 1995;28(2):433-49.
  10. 안연순, 최용휴, 강성규, 정호근.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으로 요양승인된 사례 분석. 대한산업의학회지 2002;14(2):154-68.
  11. 오혜주, 이덕희, 박인근, 장세한. 작업유형별 근골격계 증상 호소율에 관한 조사연 구 . 예방의학회지 1994;27(2):230-24.
  12. 윤철수, 이세훈. 자동차 관련직종 근로자에서 상지 근골격계 증상 호소율과 관련요인. 대한산업의학회지 1999;11(4):439-48.
  13. 이원진, 이은일, 차철환. 모 사업장 포장부서 근로자들에서 발생한 수근터널증후군에 대한 조사연구. 예방의학회지 1992;25(1):26-33.
  14. 이윤근, 임상혁. 의료보험심사업무의 작업상 특성과 누적외상성 질환 발생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위생학회지 1998;8(1):36-49.
  15. 장은철, 김현주, 권영준, 박시복, 이수진 등. 일부 소규모시계조립 사업장의 상지 누적외상성장애의 유병률. 대한산업의학회지 2000;12(4):457-72.
  16. 정해관, 최병순, 김지용, 유선희, 임현술 등. 전화번호안내원의 누적외상성 장애. 대한산업의학회지 1997;9(1):140-55.
  17. 차봉석, 고상백, 장세진, 박창식. VDT 취급근로자의 신체적 자각증상과 정신사회적 안녕상태의 관련성. 대한산업의학회지 1996;8(3):403-13.
  18. 채홍재, 이성관, 이강진, 문재동. 조선소 근로자들의 근골격계질환 양상과 중재적 보건관리 효과. 대한산업의학회지 2002;14(4):468-77.
  19. 최재욱, 염용태, 송동빈, 박종태, 장성훈 등. 반복작업 근로자들에게서의 경견완장애에 관한 연구. 대한산업의학회지 1996;8(2):301-19.
  20. 한상환, 백남종, 박동현, 장기언, 이명학 등. 조선업 근로자의 누적외상성질환 실태와 누적외상성질환 범용 작업위험도 평가도구를 이용한 작업분석. 대한산업의학회지 1997;9(4):579-88.
  21. American National Standard Index (ANSI). Control of work-related cumulative trauma disorders, Part 1: Upper extremities, 1995.
  22. 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 (ANSI). Control of work-related cumulative trauma disorders, Part 1, Upper exetremities. (working draft). ANSI N-365, 1996.
  23. Bigos SJ, Battie MC, Spengler DM, Fisher LD, Fordyce WE et al. A prospective study of work perceptions and psychological factors affecting the report of back injury. Spine 1991;16(6):1-6.
  24. Boos SR, Calissendorff BM, Knave BG, Nyman KG, Voss M. Work with video display terminals among office employee. III. Ophthalmologic factors. Scand J Work Environ Health 1985;11(6):475-81.
  25. Hagberg M, Wegman DH. Prevalence rates and odds ratios of shoulder-neck diseases in different occupational groups. Br J Ind Med 1987;44(9):602-10.
  26. Hagner IM, Hagberg M. Evaluation of two floormopping work methods by measurement of load. Ergonomics 1989;32(4):401-8. https://doi.org/10.1080/00140138908966106
  27. Hales TR, Sauter SL, Peterson MR, Fine LJ, Anderson VP, Schlhifer LR, Ochs TT, Bernard BP. Musculoskeletal disorders among visual display terminal users in a telecomunications company. Ergonomics 1994;37(10):1603-21. https://doi.org/10.1080/00140139408964940
  28. Kiesler S, Finholt T. The mystery of RSI. Am Psychol 1988;43(12):1004-15. https://doi.org/10.1037/0003-066X.43.12.1004
  29. Kivimaki J, Riihimaki H, Hanninen K. Knee disorders in carpet and floor layers and painters Scand J Work Environ Health 1992;18(5):310-6.
  30.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dminstration. OSHA Draft Ergonomic Standard, 1996.
  31.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dministration. Nonfatal occupational illness by category of illness, private industry. U.S Department of Labor, Bureau of Labor Statistics, 2000.
  32.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NIOSH). In: Putz-Anderson V. Cumulative trauma disorders: a manual for musculoskeletal disease of the upper limbs. 1988.
  33. Torner M, Zetterberg C, Anden U, Hansson T, Lindell V. Workload and musculoskeletal problems: a comparison between welders and office clerks (with reference also to fishermen). Ergonomics 1991;34(9):1179-96. https://doi.org/10.1080/00140139108964854
  34. WHO. Identification and control of work related disorders. Geneva, WHO, 1985.
  35. Wilder DG. The biomechanics of vibration and low back pain. Am J Ind Med 1993;23(4):577-88. https://doi.org/10.1002/ajim.4700230406
  36. Williams R, Westmorland M. Occupational cumulative trauma disorders of the upper extremity. Am J Occup Ther 1994;48(5):411-20. https://doi.org/10.5014/ajot.48.5.411
  37. Zenz C, Dikerson OB, Horvath EP. Occupational Medicine. 3rd Ed. Mosby, St. Louis 1994, pp48-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