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ent Geomorphological Changes and late Quaternary Depositional Sequence of Gwangyang Bay, southern coast of Korea

한반도 남해안 광양만의 최근 지형변화 및 후기 제4기 퇴적층서 발달

  • 최동림 (한국해양연구소 남해연구소) ;
  • 현상민 (한국해양연구소 남해연구소) ;
  • 이태희 (한국해양연구소 남해연구소)
  • Published : 2003.02.01

Abstract

Recent geomorphological changes and late Quaternary depositional sequences of Gwangyang Bay are studied based on bathymetric maps, surface sediments, and seismic profiles. As a result of the reclamation of coastal area for an industrial complex construction, the coastline of Gwangyang Bay has rapidly been changed and the area of it has now been reduced by about 25 % in the last 30 years. In addition, the bottom topography is actively modified by dredging for navigation channels. In surfical sediment distribution, the western part of Gwangyang Bay is dominated by mud facies, whereas the eastern part of the Bay is dominated by sand-mud mixing facies. Depositional sequences above the basement are divided into two units: Unit I in upper layer and Unit II in lower one. These depositional units are unconformably bounded by middle reflector-M. Unit II, mostly occupying the channel areas, is interpreted as fluvial-origin deposits during sea-level lowstand. Unit I typically shows a progradational pattern from the Seomjin River mouth to the Yeosu Strait, which is interpreted as deltaic deposits supplied from the Seomjin River during the Holocene sea-level highstand. The shallow gas within the sediments Is widely distributed in most area, and locally exposed onto the sea-bed due to dredging.

수심도, 표층퇴적물. 그리고 탄성파 자료들을 이용하여 광양만의 최근 지형변화와 후기 제4기 퇴적층의 발달양상을 연구하였다. 최근 30년 동안 광양만의 해안선은 산업기지 건설을 위한 해안지역 매립으로 급격히 변하였으며 광양만 면적은 현재 25%정도 줄어들었다. 그리고 광양만내 항로지역의 해저퇴적물 준설로 인해 해저지형이 변화하였다. 표층퇴적물은 광양만 서측지역에 뻘질퇴적물이 분포하는 반면, 모래질뻘 퇴적물은 동측지역에 분포한다. 탄성파 단면도상에서 광양만의 퇴적층은 기반암위에 2개의 퇴적층서, Unit I과 II로 구성되며, 이들 퇴적층서는 중간반사면(reflector-M)에 의해 부정합적으로 경계된다. 하부의 Unit II층서는 광양만의 수로지역에 집중 분포하며, 저해수면 동안 쌓인 하천기원 퇴적층으로 해석된다. 상부 Unit I층서는 섬진강하구에서 여수해협을 향해 전진하는 퇴적양상을 보인다. 이 층은 빙기 이후 흘로세 고해수준 동안 섬진강에서 유출된 퇴적물이 델타환경을 이루면서 형성된 퇴적층서로 해석된다. 특히 천부가스층이 퇴적층내에 광범위하게 분포하며, 일부지역에서는 준설로 인해 해저면에 노출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광양만 여자만 해도(번호 256) 국립해양조사원
  2. 여수· 광양지역 수심측량 및 지층탐사 보고서 건설부
  3. 한국수산학회지 v.24 광양만 미고결 퇴적물의 물리적 및 음향학적 성질: 북태평양 대륙붕 및 사면자료와의 비교 김대철;김길영
  4. 한국해양학회지 v.19 광양만의 퇴적환경에 관한 연구 박용안;이창복;최진혁
  5. 자원환경지질 v.33 광양만과 여수해만의 가스함유 표층퇴적물의 3.5 kHz 탄성파 영상 오진용;이연규;윤혜수;김성렬
  6. 한국지구과학회지 v.17 광양만 및 여수해만 퇴적환경 변화-퇴적물 특성과 점토광물 분포를 중심으로 이연규;황진영;정규귀;최정민
  7. 한국해양 학회지-바다 v.5 광양만 표층퇴적물의 중금속 함량 및 분포 조영길;이창복;고철환
  8. 한국해양 학회지-바다 v.6 한반도 남해안 고섬진강 절개곡 시스템의 형성과 진화 장진호;전승수
  9. 광양항 3단계 가호안 건설사업 보고서 한국해양수산개발원
  10. J. Sedi. Petrol. v.63 Sequence stratigraphy and facies model of an incised valley fill: the Gironde estuary, France Allen, G.P.;H.W. Posamentier
  11. Natural gases in the marine sediments The origin and distribution of methane in marine sediments Claypool. G.E.;I.R. Kaplan
  12. BGS Technical Report WC/94/60 Shallow seismic reflection profiles from the waters of east and southeast Asia - an interpretation manual and atlas Evans, C.D.R.;C.P. Brett;J.W.C. James;R. Holmes
  13. Methane in marine sediments The origins of shallow gas Floodgate, G.D.;A.G. Judd;A.M. Davis(ed)
  14. J. Geol. v.62 The distribution between grain size and mineral composition in sedimentary rock nomenclature Folk, R.L.
  15. Mar. Geol. v.79 Depositional history of Quatermary sediments on the continental shelf off the southeastern coast of Korea (Korea Strai)t Park, S.C.;D.G. Yoo https://doi.org/10.1016/0025-3227(88)90157-0
  16. Mar. Geol. v.131 Evolution of late Quaternary deposits on the inner shelf of the South Sea of Korea Park, S.C.;S.K. Hong;D.C. Kim https://doi.org/10.1016/0025-3227(96)00006-0
  17. AAPG Mem. v.26 Seismic stratigraphy and global changes of sea level, part 9: seismic interpretation of clastic depositional facies, In: Seismic statigraphy-applications to hydrocarbon exploration Sangree, J.B.;J.M. Widmier;Payton, C.E.(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