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 of Grain Size of the Surface Sediments in Kwangyang Bay, South Coast of Korea

한반도 남해안 광양만 표층퇴적물 입도의 시ㆍ공간적 변화

  • 류상옥 (전남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 Published : 2003.08.01

Abstract

Sedimentological investigations on surface and suspended sediments were performed in Kwangyang Bay of the middle South Sea in order to reveal recent changes in depositional environments concerning anthropogenic influence. A variety of coastal developments caused the texture of the surface sediments to become distinctively finer, particularly in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bay. Accordingly, the westward lining sedimentary facies was somewhat simplified from triple-mode distribution to the dual-mode one by the construction of POSCO. This east-west distribution to the sedimentary facies has recently graded into the north-south distribution by further construction of other industrial complexes including Kwangyang Port. The prominent textural changes in surface sediments are most likely associated with weakening of tidal currents related to the developments which is anticipated to be .still continued. The distribution and flux estimation of suspended sediments suggest a noticeable import of fine particles into the bay predominantly through a northern entrance rather than the southern entrance. The movements of suspended sediments in the water level near the seabed prevailed over those of the mid and surficial levels.

한반도 남해안의 중앙부에 위치한 광양만에서 표층퇴적물의 시ㆍ공간적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표층퇴적물과 부유퇴적물에 대한 퇴적학적 조사를 실시하였다. 표층퇴적물은 광양만이 개발되기 이전에는 섬진강 삼각주를 중심으로 서측을 향해 세립해지는 동-서 방향의 분포를 보였으나, 광양제철소가 건설된 이후에는 섬진강 삼각주가 파괴되고 동-서 방향의 분포로 변화하였다. 또한, 광양 컨테이너부두와 각종 산업단지가 조성된 최근에는 동-서 방향의 분포가 파괴되고 남-북 방향의 분포로 변화하였으며, 만의 남서측을 중심으로 평균입도가 뚜렷하게 세립해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와 같은 현상은 광양만 개발에 따른 조류에너지의 감소에 기인한 것으로 해석되며, 이러한 세립화는 개발이 진행됨에 따라 더욱 가속화 될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부유퇴적물의 분포 특성과 거동에 관한 연구 결과, 광양만에서 부유퇴적물은 만 내부로 유입되는 양이 외부로 유출되는 양에 비해 많았으며, 부유퇴적물의 유출입은 남측보다는 북측의 만 입구를 통해, 그리고 표층과 중층보다는 저층을 통해 주로 이루어지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광양만은 퇴적우세환경으로 표층퇴적물의 세립화는 만 외부에서 공급되는 부유퇴적물(주로 점토)의 집적에 의해 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해석된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지구과학회지 v.22 서해남부 무안만의 표층퇴적물 분포와 조간대 퇴적률 류상옥;김주용;장진호
  2. 한국해양학회지「바다」 v.7 평택화력발전소 취수구 주변 해역에서 세립질퇴적물의 운반양상 류상옥;장진호;최현용
  3. 한국해양학회지 v.19 광양만의 퇴적환경에 관한 연구 박용안;이창복;최진혁
  4. 여수대학교논문집 v.14 광양만의 해수유동 및 SS 확산에 관한 수치실험 박일흠;이문옥
  5. 한국해양학회지 v.25 광양만 다모류 군집의 시공간적 변화 신현출;고철환
  6. 한국지구과학회지 v.17 광양만 및 여수해만 퇴적 환경 변화; 퇴적물 특성과 점토광물 분포를 중심으로 이연규;황진연;정규귀;최정민
  7. 한국해양학회지「바다」 v.5 광양만 표층퇴적물의 중금속 함량 및 분포 조영길;이창복;고철환
  8. 한국해양학회지「바다」 v.8 한반도 남해안 광양만의 최근 지형변화 및 후기 제4기 퇴적층서 발달 최동림;현상민;이태희
  9. 한국해양학회지「바다」 v.5 만 입구에서 부유퇴적물 거동과 플럭스: 한반도 서해 남부 함평만의 여름철 특성 추용식;이희준;박은순;이연규;정갑식
  10. 한국환경과학회지 v.11 매립으로 인한 광양만의 유동변화 수치실험 추효상 https://doi.org/10.5322/JES.2002.11.7.637
  11. 광양제철소 부지조성 환경영향 평가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12. J. Oceanol. Soc. Korea v.19 A study on the polychaete community in Kwangyang Bay, southern coast of Korea Choi,J.W.;C.H.Koh
  13. J. Sediment. Petrol. v.27 Brazos river bar: A study in the significance of grain size parameters Folk,R.L.;W.C.Ward https://doi.org/10.1306/74D70646-2B21-11D7-8648000102C1865D
  14. Petrology of sedimentary rocks Folk,R.L.
  15. Est. Coast. Shelf Sci. v.31 Fine-grained sediment transport and sorting by tidal exchange in Xiangshan Bay, Zhejiang, China Gao,S.;Q.C.Xie;Y.J.Feng https://doi.org/10.1016/0272-7714(90)90034-O
  16. Procedures in sedimentary Petrology Sieve analysis Ingram,R.L.;Carver,R.E.(ed.)
  17. Est. Coast. Shelf Sci. v.48 Changes in tidal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the construction of sea-dike/sea-walls in the Mokpo coasta zones in Korea Kang,J.W. https://doi.org/10.1006/ecss.1998.0464
  18. J. Oceanol. Soc. Korea v.19 Surface waves and bottom shear stress in the Yellow Sea Kang,S.W.;J.K.Choi
  19. Bull. Korean Fish. Soc. v.24 Suspended sediment budget in Gwangyang Bay through the Yeosu Sound Kim,D.C.;H.J.Kang
  20. Mar. Geol. v.157 Sedimentary processes of fine-grained material and the effect of seawall construct on in the Daeho macrotidal flat-nearshore area, northern west coast of Korea Lee,H.J.;Y.S.Chu;Y.A.Park https://doi.org/10.1016/S0025-3227(98)00159-5
  21. Basic research report on nearshore environments of Korea National Geography Institute
  22. Acta Oceanographica Taiwanica v.24 Mechanisms and distribution patterns of the fine-grained suspended materials off the southwest coast of Korea Park,Y.A.;J.Y.Choi
  23. Est. Coast. Shelf Sci. v.56 Seasonal variation of sedimentary processes in a semi-enclosed bay: Hampyong Bay, Korea Ryu,S.O. https://doi.org/10.1016/S0272-7714(02)001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