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tribution of Plant Species at Subalpine Zone of Jongseogdae in Jirisan National Park

지리산국립공원 종석대 아고산 지대의 식물 분포

  • 추갑철 (진주산업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 김갑태 (상지대학교 생자대)
  • Published : 2003.12.01

Abstract

To obtain the basic data for monitoring and the conservation of native plant species at the sub-alpine zone Jongseogdae in Jirisan (Mt.).40 plots(5m${\times}$5m) set up by random sampling method and the distribution of native shrub and herb species at the subalpine zone was surveyed. Leading shrub species at the subalpine zone of Jongseogdae were Tripterygium regelii with IP value of 23.45% : followed by Lespedeza maximowiczii, Symplocos chinensis for. pilosa and Lespedeza tomentella. Dominant species at the subalpine zone were Lysimachia clethroides, Pteridium aquilinum var. latiusculum, Synurus deltoides, Veratrum maackii var. japonicum, Hemerocallis fulva and Astilbe chinensis var. davidii. Rhododendron tschonoskii recorded from the rare and endangered species list of the Korea Forest Service distributed among the rocks on the top of Jongseogdae. The long-term sustainable habitat monitoring might be required to conserve this subalpine zone.

종석대 아고산초원의 생태계 변화관찰의 자료로 활용하고자, 종석대를 중심으로 분포하는 아고산지대의 초원과 관목층을 대상으로 40개의 방형구(5m${\times}$5m)를 설치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종석대의 관목지대에는 미역줄나무의 상대우점치 (I.P.)가 23.45%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조록싸리. 노린재나무, 털조록싸리 등의 순이었다. 종석대 고산초원의 초본식물은 큰까치수영. 고사리. 수리취, 여로, 원추리 및 노루오줌 등 6종이 우점종이었다. 산림청에서 희귀식물로 등록된 흰참꽃나무가 종석대 정상 바위틈에서 여러 개체가 자라고 있었으며,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함으로써 훼손대책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연구원(2000) 백두대간 효율적 관리방안 연구: 관리범위 설정을 중심으로(1차년도). 63쪽
  2. 김갑태(1998) 오대산 아고산대의 자생초본식풍의 분포와 입지인자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87(3): 459-465
  3. 김갑태, 엄태원(1997) 가리왕산의 산채 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임학회지 96(4): 422-429
  4. 김갑태, 추갑철 (2003) 백두대간 노고단 -고리봉 구간의 식생구조. 환경생태학회지 16(4): 441-448
  5. 김갑태, 추갑철, 백길전 (2000) 지리산국립공원 명선봉, 덕평봉지역의 산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구상나무군집-. 환경생태학회지 13(4): 299-308
  6. 김갑태, 추갑철, 엄태원(1997) 지리산 천왕봉-덕평봉 지역의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구상나무 림-. 한국임학회지 86(2): 146-157
  7. 김갑태, 추갑철, 엄태원(1996) 오대산 국립공원 동대산, 두노봉, 상왕봉 지역의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환경생태학회지 9(2): 147-155
  8. 박인협(1981) 경기도지방 적송림의 식물사회학적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8쪽
  9. 박인협, 조재창, 오충현(1989) 가야산지역 계곡부와 능선부 해발고와 사면부위에 따른 삼림구조. 응용생태연구 3(1): 42-50
  10. 박인협, 최영철, 문광선(1993) 소백산지역의 달밭재-비로봉 능선부의 삼립군집구조. 응용생태연구 6(2):147-153
  11. 산림청, 녹색연합(1999) 백두대간 산림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602쪽
  12. 산림청, 대한지리학회(1997) 백두대간 실태조사 및 합리적 보전방안연구
  13. 산림청, 한국환경생태학회(2001) 백두대간 자연생태계 보전 및 훼손지 복원방안조사 연구. 306쪽
  14. 산림청, 한국환경생태학회(2002) 백두대간 자연생태계조사 및 관리방안 수립에 관한 연구. 279쪽
  15. 오구균, 박석곤(2002) 백두대간 피재-도래기재구간의 능선부 식생구조. 환경생태학회지 15(4): 330-343
  16. 임업연구원(2003) 백두대간 생태계 현황 및 관리범위 설정. 연구자료 제198호 420쪽
  17. 추갑철, 김갑태, 백길전(2000) 지리산국립공원 아고산지대의 구상나무림 산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4(1): 28-37
  18. 추갑철, 김갑태, 김정오(2002) 깃대봉-청옥산지역 능선부의 산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15(4): 354-360
  19. Ludwig, J.A. and J.F. Reynolds(1988) Statistical Ecology.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377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