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Monitoring and Ecological Restoration Concept of Ecosystem Conservation Area in Dunchon, Seoul

서울시 둔촌동 습지 생태계보전지역 모니터링 및 생태적 복원구상

  • 한봉호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 ;
  • 김정호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
  • 홍석환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 Published : 2003.12.01

Abstract

This study surveyed an ecosystem conservation area that is wetland area to establish ecological restoration and preservation plan. Monitoring standard have been set up item, method, period, number of times etc. Result that examine according to monitoring standard, Plant field investigated Flora, actual vegetation. Flora is 132 taxa(39 family 116 species 19 variety 1 forma) appeared and wild species were 85 species, and introduced species were 47 species. Grasped monthly(April∼September) actual vegetation, swampy plant community influence were increase and influence of Persicaria thunbergii was big situation specially. Frequency appearance of naturalized plant is much on field. Animal field investigated Birds, Herpetofauna, Insecta. Birds were appeared 34 species 378 individual and Herpetofauna were appeared 4 species 5 individual and insecta investigated 11 order 52 family 153 species. Inorganic environmental field investigated groundwater level, quality of water, soil quality. Groundwater level is high by 0.0∼89.0cm, $Ca^{++}$ content is some high by 2.18∼13.73cmol/kg in soil. Also we suggested basis direction and each space details plan on monitoring as follow : wetland ecosystem restoration plan, eruption area restoration plan, forest ecosystem restoration plan.n.

본 연구는 생태계보전지역인 둔촌동습지의 모니터링을 통한 생태적 복원 및 보전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모니터링 기준으로는 항목, 방법, 시기, 횟수 등을 설정하였다. 모니터링 기준에 따라 조사한 결과 식물생태분야에서 대상지내 식물종은 총 39과 116종 19변종 1품종으로 총 132종류가 출현하였고 이중 자생종은 85종, 외래종은 47종이었다. 월별(4∼9월) 현존식생 모니터링 결과 습지성 초본식물군락 세력이 증가추세이었고 특히 고마리군락의 세력이 왕성해졌다. 아울러 기존 경작지를 중심으로 천이초기식물과 귀화식물의 출현빈도가 높았다. 동물생태분야에서 야생조류는 34종 378개체, 양서류는 4종 5개체, 곤충류는 11목 52과 153종이 조사되었다. 무기환경분야에서는 지하수위. 수질. 토양특성을 분석하였는데 이중 지하수위는 0.0∼89.0cm이었고 토양에서는 Ca++의 함량이 2.18∼13.73cmol/kg로 나타났다. 모니터링 결과를 바탕으로 한 연구대상지 생태적 복원구상을 습지생태계 복원구상. 용출지 복원구상. 산림생태계 복원구상으로 구분하여 기본방향과 각 공간별 세부계획을 제시하였다. 습지생태계 복원구상에서는 기존 습지지역의 보전과 경작지로 활용되던 습지지역의 복원구상을 수립하였으며, 용출지복원구상에서는 용출지 및 진입부의 복원을 수립하였고 산림생태계 복원구상에서는 건조성 산림 생태계와 습지성산림생태계의 복원 및 주연부지역의 야생조류 서식처 계획을 수립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재윤(1999) 자연환경보전대책.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 2(1): 83-88
  2. 구본학, 김귀곤(2001) 우리나라 습지 유형별 분류특성에 관한 연구-내륙습지를 대상으로-.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 4(2): 11-25
  3. 김귀곤(1998) 도시지역에서의 효율적인 생물서식공간조성기술 개발 (Vol. 1). 환경부. 693쪽
  4. 김귀곤, 조동길(1999) 인공습지 조성 후 생물다양성 증진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7(3): 1-17
  5. 김태정(1997) 늪. 습지에서 피는 꽃 국일미디어. 254쪽
  6. 박수현(1999) 한국귀화식물원색도감. 일신각. 371쪽
  7. 서울시(2000) 도시생태 개념의 도시계획의 적용을 위한 서울시 비오톱 현황조사 및 생태도시 조성지침 수립 -1차년도 보고서-. 245쪽
  8. 유재근, 정명숙, 박혜경, 황순진(2002) 환경생태공학그루. 219쪽
  9. 원종근(2003) 서울시 생태계보전지역 수환경(지하수)조사연구. 농업기반공사. 296쪽
  10. 이경재, 오구균, 송근준, 우종서(1990) 왕릉의 식생경관구조 및 관리대책에 관한 연구 (II) -헌인릉 식물군집의 천이-. 한국조경학회지 17(3):30-35
  11. 이경재, 권전오, 이수동 (2003) 서울시 주요 습지유형별 생태적 특성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7(1): 44-55
  12. 이은엽, 문석기 (2001) 생태연못 조성공법 적용후의 자연생태 변화분석 .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4(1): 1-15
  13. 이은희, 장하경 (2000) 생태연못 조성올 위한 이론적 고찰 및 사례연못 평가.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3(2): 10-23
  14. 이창복(1993)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990쪽
  15. 이헌도, 김재훈 (2002) 무제치늪 지역의 지하수위 변동과 강우의 유출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6(3): 239-248
  16. 이효혜미 (2000) 한국의 습지 분류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최병언, 이경재 (2001) 자연생태계 모니터링을 통한 여의도셋강생태공원의 관리방안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5(1): 26-38
  18. 한국생태학회 (2002) 습지보전을 위한 생태학적 접근. 한국생태학회 2002년 심포지움. 98쪽
  19. 환경부(1999) 1998 토양측정망 운영결과. 환경부. 179쪽
  20. 황순진, 이양주(1997) 습지의 가치와 관리의 중요성 경기연구. 2: 53-81
  21. 由井正梅(1980) 山林原野生物烏類のライソセソサス法 の硏究II. 天候の記錄率. 山階鳥빠報.57: 1-6
  22. Braun-Blanquet(1964) Pflanzensziolozie. Grundzuge der vegetationskunde, wien. 865pp
  23. Brower, J.E. and J.H. Zar(1977)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General Ecology. Wm. C. Brown Company, 194pp
  24. Curtis, J. T. and R. P. McIntosh(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 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 476-496 https://doi.org/10.2307/1931725
  25. Dierschke. H, (1994) Pflanzensoziologie. Ulmer, Suttgart. 683pp
  26. Mitsch, WJ. & J.G. Gosselink(1993) Wetland 2nd. New York: Van Nostrand Reinhokd
  27. Kusler, J.A.(1992) Wetlands Delineation, Environment 34(2)
  28. Pielou, E.C.(1977) Mathematical ecology. John Wiley & Sons, N.Y.
  29. Reed, S.C. (1991) Constructed Wetlands for Wastewater Treatment, BioCycle, January
  30. Richardson, G.J.(1989) Fresh Wetlands: transformers, filters, or sinks In Freshwater Wetlands and Wildlife R.R. Sharitz and J.W. Gibbons(eds.), DOE Symposium Series No.61. USDE Office of Scientific and Technical Information, Oak Ridge, Tenness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