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racteristics and Odds Ratio of Work 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According to Job Classification in Small-to-medium-sized Enterprises

일부 중소기업 근로자들의 직종에 따른 근골격계 질환 양상과 비차비

Park, Shin-Goo;Lee, Jong-Young
박신구;이종영

  • Published : 20041200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was carried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and odds ratio of work 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according to the job classification in small-to-medium-sized enterprises(<300 employee). Methods: A questionnaire survey was given to 746 workers in 8 workplaces. 501 workers (67.2%) were finally selected in this study. The workers in the 8 workplaces was divided into 7 jobs. Those were manufacturers(metal), assemblers(appliances), cashiers, packers(cosmetics), garbage collectors, and VDT workers.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was used to estimate the odds ratios of the musculoskeletal symptoms according to the job classification. Results: Un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the significantly related risk factors for musculoskeletal symptoms are as follows; age, marital status, gender, work load change, work duration, hours worked per day, job demand, decision latitude, type of job. According to the type of job, the prevalence of musculoskeletal symptoms were 7.7%(clerks), 24.3%(manufacturers), 30.0%(assemblers), 23.0%(cashiers), 30.4%(packers), 11.9%(garbage collectors), 29.2%(VDT workers).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showed that the following significant odds ratios (referenceclerks): 7.32(packers), 5.63(assemblers), 5.11(cashiers), 4.79(VDT workers), 3.11(manufacturers). Conclusion: In small-to-medium-sized enterprises, the job classification was major risk factor for work 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According to the job classification, the odds ratios of the work 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were different. Considering the odds ratios, the establishment of a prevention program of work 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is recommended.

목적: 300인 미만 중소기업들의 직종에 따른 근골격계 증상율과 관련요인, 부위별 증상율을 살펴보고, 객관적인 환례정의에 따라 중소기업들에서 흔한 상지 근골격계 질환을 확인하고자 한다. 그리고, 직종에 따른 상대적 위험도를 확인하여 중소기업 근골계격계 질환의 예방과 관리에 기초 자료를 삼고자한다. 방법: 인천지역에서 300인 미만의 업무특성이 뚜렷한 중소기업 8곳의 근로자 전체 746명 중 연구조건에 적합한 501명(67.2%)을 최종분석대상으로 하였다. 501명의 근로자들은 직종에 따라 1) 사무업무(103명), 2) 금속부품생산업(104명), 3) 가전제품 조립업(50명), 4) 계산업무(61) 5) 화장품 포장업(69명) 6) 쓰레기 수거업무(42명) 7) VDT 업무(72명)으로 나누어졌다. 직종에 따른 근골격계 증상의 비차비를 확인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고, 단변량에서 유의한 나이, 성별, 결혼여부, 작업량의 변화, 근무기간, 하루근무시간, 직무요구도, 직무자율성에 대해 보정하였다. 결과: 단변량 분석에서 성별, 나이, 결혼여부, 잔업여부, 근무기간, 하루 근무시간, 작업량 변화, 직무스트레스, 직종이 근골격계 증상과 유의한 관련성을 보여 주었다. 직종에 따른 근골격계 증상율은 화장품 포장업(30.4%), 가전제품 조립업(30.0%), VDT업무(29.2%), 금속부품생산업(24.3%), 계산업무(23.0%) ,쓰레기 수거업무(11.9%), 사무업무(7.7%)이었다. 다변량 분석(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직종에 따른 근골격계 증상의 비차비는 화장품 조립업(7.32), 가전제품 조립업(5.63), 계산업무(5.11), VDT업무(4.79), 금속부품생산업(3.11) 순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여주었고, 사무업무를 기준으로 하였다. 결론: 중소기업의 직종이 근골격계 질환의 증상율 및 신체부위별 증상율에 중요한 위험인자이고, 직종에 따라 위험도가 다르므로 향후 근골격계 질환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직종에 따른 비차비를 확인하여 위험 작업군 선정과 관리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라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동묵, 이종태, 강민숙 등. 미용업 종사자들의 피부, 호흡기 및 근골격계 자각증상에 관한 유병률. 대한산업의학회지 1991;11(3):385-92.
  2. 구정완, 이승한. 은행원의 VDT 작업에 따른 피로자각 증상. 예방의학회지 1991;24(3):305-13.
  3. 권호장, 하미나, 윤덕로, 조수헌, 강대희 등. VDT작업자에서 업무로 인한 정신사회적 스트레스에 대한 인지가 근골격계 장애에 미치는 영향. 대한산업의학회지 1996;8(3):570-7.
  4. 김양옥, 박종, 류소연. 전자렌지 조립작업자에서 발생한 경견완증후군의 조사 연구(I) - 설문 증상을 중심으로 - 대한산업의학회지 1995;7(2):306-19.
  5. 김일룡, 김재영, 박종태, 최재욱, 김해준 등. 자동차 조립 작업자의 사회 심리적 스트레스와 근골격계 증상과의 연관성. 대한산업의학회지 2001;13(3):220-31.
  6. 김재영, 최재욱, 김해준. 자동차 조립 작업자들에서 상지근골격계의 인간공학적 작업평가결과와 자각증상과의 연관성. 예방의학회지 1999;32(1):48-59.
  7. 김종은, 강동묵, 신용철, 손미아, 김정원. 일개조선소근골격계증상의 위험인자, 대한산업의학회지 2003;15(4):401-10.
  8. 김창선, 김광종, 최재욱, 윤수종. 자동차 조립공장 근로자의 누적외상성질환 자각증상 호소율과 관련 위험요인. 한국산업위생학회지 2001;11(1):85-91.
  9. 김형렬, 원종욱, 송재석, 김현수, 김치년 등. 일부 의료서 비스업 V D T작업자의 상지 근골격계 증상의 정도와 관련요인. 대한산업의학회지 2003;15(2):140-9.
  10. 노동부. 2001 산업재해현황자료, 2001.
  11. 노동부. 2002 산업재해현황자료, 2002.
  12. 노동부. 2003 산업재해현황자료, 2003.
  13. 문재동, 이민철, 김병우. VDT증후군 자각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에 관한 연구. 예방의학회지 1991;24(3):373-89.
  14. 박계열, 백기주, 이중근, 이연수, 노재훈. VDT작업자의 자각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산업의학회지 1997;9(1):156-69.
  15. 박수경, 최영진, 문덕환, 전진호, 이종태 등. 미용사들의 작업관련성 근골격계 장애에 관한 연구. 대한산업의학회지 2000;12(3):395-404.
  16. 박병찬, 정해관, 김수근. 일부 조선업종 근로자들의 근골격계 증상과 관련된 위험요인. 대한산업의학회지 2003;15(4):373-87.
  17. 박정일, 조경환, 이승환. 여성 국제 전화 교환원들에 있어서의 경견완장애, I 자각적 증상. 대한산업의학회지 1989;1(2):141-50.
  18. 박종, 김양옥, 류소연, 하상호, 박병권. 전자렌지 조리작업자에서 발생한 경견완증후군의 조사 연구 (II) - 진찰 및 검사소견을 중심으로 - 대한산업의학회지 1995;7(2):320-31.
  19. 노동부. 산업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2003.
  20. 성낙정, 사공준, 정종학. 교향악단 연주자의 근골격계장애와 관련요인. 대한산업의학회지 2000;12(1):48-58.
  21. 손정일, 이수진, 송재철, 박항배. 일부 V D T사용 근로자의 자작증상과 심리증상과의 관련성 연구. 예방의학회지 1995;28(2):433-49.
  22. 송동빈, 김재섭, 문종국, 박동현, 박종태 등. 누적외상성질환의 발생실태와 발생 특성 파악 및 의학적 평가 개발. 산업보건연구원, 1997.
  23. 송동빈. 단순반복작업에 의한 상지의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누적외상성질환)의 집단검진 방법. 한국의 산업의학 2000;39(1):1-7.
  24. 심윤정, 김형아. 일부 보험심사자의 근골격계 증상호소율. 한국의 산업의학 2002;41(3):120-30.
  25. 안연순, 최용휴, 강상규, 정호근.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으로 요양승인된 사례 분석. 대한산업의학회지 2002;14(2):154-68.
  26. 오세욱, 박수정, 최윤선, 조경환, 홍명호 등. 근골격계 통증에 대한 문진에서 그림을 이용한 자가표시법의 효용성. 가정의학회지 2002;23(5):627-35.
  27. 유송희. 여성근로자의 근골격계 증상호소율과 관련요인.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28. 윤철수, 이세훈. 자동차 관련직종 근로자에서 상지 근골격계 증상 호소율과 관련요인. 대한산업의학회지 1999;11(4):439-48.
  29. 이원진, 이은일, 차철환. 모 사업장 포장부서 근로자들에서 발생한 수근터널증후군에 대한 조사 연구. 대한예방의학회지 1992;25(1):26-33.
  30. 이윤근, 김현욱, 임상혁, 박희석. 누적외상성질환 위험 요인의 정량적 평가 및 관리를 위한 점검표 개발. 한국산업위생학회지 2001;11(1):56-69.
  31. 이윤근, 임상혁. 의료보험 심사업무의 작업자세( WorkPostures) 특성과 누적외상성질환(CTDs)발생에 관한연구. 한국산업위생학회지 1998;8(1):36-49.
  32. 이종민, 김수근, 김종민. 수근관 증후군의 진단기준 - 일개육류 가공업체 근로자의 수근관 증후군. 대한산업의학회지 1999;11(3):407-14.
  33. 임상혁, 이윤근, 조정진, 손정일, 송재철. 은행창구 작업자(VDT 작업자)의 경견완장애 자각 증상 호소율과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산업의학회지 1997;9(1):85-98.
  34. 장은철, 김현주, 권영준, 박시복, 이수진 등. 일부 소규모시계조립 사업장의 상지 누적외상성장애의 유병률. 대한산업의학회지 2000;12(4):457-72.
  35. 전만중, 사공준, 이중정, 이희경, 정종학. 대구지역 치과의 사들의 누적외상성 장애에 대한 조사. 대한산업의학회지 2001;13(1):55-63.
  36. 주영수, 권호장, 김돈규, 김재용, 백남종 등 VDT 작업별정신사회적 스트레스와 근골격계 장애에 관한 연구. 대한산업의학회지 1998;10(4):463-75.
  37. 차봉석, 고상백, 장세진, 박창식. VDT 취급근로자의 신체적 자각증상과 정신사회적 안녕상태의 관련성. 대한산업의학회지 1996;8(3):403-13.
  38. 채창호, 김영욱, 이철호, 김정일 등. 일부 출판업 VDT 작업자들의 근골격계 질환 자각 증상 호소율과 관련요인에관한 연구. 한국의 산업의학 2003;42(2) :67-75.
  39. 최재욱, 염용태, 송동빈, 박종태, 장성훈 등. 반복 작업 근로자들에서의 경견완 장애에 관한 연구. 대한산업의학회지 1996;8(2):301-9.
  40. 한국산업안전공단. 작업관련 근골격계 질환의 증상 및 위험요인 평가지침. 2002, KOSHA CODE(H-28-2002).
  41. 한국산업안전공단. 근골격계 부담작업 유해요인 조사 지침. 2003, KOSHA CODE(H-30-2003).
  42. 한상환, 조수헌, 김지영, 성낙정. 전자제품 조립업체 근로자에서 직무욕구, 직무조직, 경력개발, 역할압력, 경제력압력 등의 직무 스트레스가 업무관련 상지 근골격계 질환에 미치는 영향. 대한산업의학회지 2003;15(3):269-80.
  43. 홍윤철, 하은희, 박혜숙. 조선업 생산직 근로자의 요통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예방의학회지, 1996, 29: 91-102.
  44. Arndt R. Working posture and musculoskeletal problem in video display termimal operatorsreview and reappraisal. Am Ind Hyg Assoc J 1983;44:437-46. https://doi.org/10.1080/15298668391405102
  45. Bongers PM. de Winter, Kompier MAJ, Hidebrandt VH. Psychosocial factors at work and musculoskeletal disease. Scan J Work Environ Health 1993;19;297-312.
  46. Bureau of Labor Statistics.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dministration(OSHA). 1993.
  47. Cannon LJ, Bernacki EJ, Walter SP. Personal and occupational factors associated with carpal tunnel syndrome. J Occup Med 1981;23;255-8.
  48. Evanoff BA, Rosenstock L. Psychophysiologic stressors and work organization. In: Rosenstock L, Cullen MR editors. Textbook of clinical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Tokyo; W. B. Saunders Company;1994. pp.717-28.
  49. Guo-Bing Xiao, Patrick G, Lin Lei, Zao-Hua Ma, You-Xin Liang. Study on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a machinery manufacturing plant. JOEM 2004;46(4):341-6.
  50. Kamwendo K, Linton SJ, Morritz U. Neck and shoulder disorder in medical secretaries: part 1. pain prevalence and risk factors. Scan J Rehabil Med. 1991;23(3):135-42.
  51. Karasek RA. Job demands , job decision latitude and mental strain: Implication for job redesign. Am Sci Q 1979;24:285-308.
  52. Karasek R, Teorell T. Healthy Work: Stress, Productivity and the Reconstruction of Working Life. New York, Basic Books, 1990.
  53. Knave BG, Wildom RI, Voss M, Hedstrom LD, Bergqvist U. Work with video display terminals among office employees I. Subjective symtoms and discomfort. Scand J Work Envorn Health 1985;11:457-66. https://doi.org/10.5271/sjweh.2200
  54. Kvarnstrom S, Halden M. Occupational cervicobrachial disorders and engineering company. Scand J Rehabil Med 1983;suppl 8:1-114.
  55. Linton SJ, Kamwendo K. Risk factors in the psychosocial work environmental for neck and shoulder pain in secretaries. J Occup Med 1989;31(7):609-13. https://doi.org/10.1097/00043764-198907000-00012
  56. Linton SJ. Risk factors for neck and back pain in working population in Sweden. Work Stress. 1990;4(1):41-9.
  57. NIOSH(US). Cumulative trauma disorders: a manual for musculoskeletal diseases of the upper limbs. 1987.
  58. NIOSH(US). Musculoskeletal disorder and work-place factors: A critical riview of epidemiologic evidence for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 the neck, upper extremity, and low back. 1997.
  59.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dministration. Nonfatal occupational illness by category of illness, private industry. U. S. Department of Labor, Bureau of Labor Statistics, 2000.
  60. Ong CN, Chia SE, Jeyaratnam J, Tan KC. Musculoskeletal disorders among operators of visual display terminals. Scan J Work Environ Health 1995;21:60-4. https://doi.org/10.5271/sjweh.9
  61. Rossinol AM, Morse EP, Summer VM. Video display terminal use and reported health symptoms among Massachusetts clerical workers. J Occ Med 1987;29:112-8.
  62. Silverstein BA, Fine LJ, Amstrong TJ. Occupational factors and carpal tunnel syndrome. Am J Ind Med 1987;11;343-58.
  63. Sluiter JK, Rest KM, Frings-Dresen MH. Criteria document for evaluating the work-relatedness of upper-extremity musculoskeletal disorders. Scand J Work Environ Health. 2001;27 Suppl 1:1-102.
  64. WHO. Visual display terminals and workers’ health. 85-158. Geneva. WHO, 19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