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b Characteristics and Psychosocial Distress of Atypical Workers

비정규직 근로자들의 직업적 특성과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Koh, Sang-Baek;Son, Mi-A;Kong, Jung-Ok;Lee, Chul-Gab;Chang, Sei-Jin;Cha, Bong-Suk
고상백;손미아;공정옥;이철갑;장세진;차봉석

  • Published : 20040300

Abstract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job characteristics (work demand, decision latitude, and job insecurity) and psychosocial stress levels of typical workers in the parent firm, to those of atypical workers in subcontracted firms. In addition the risk factors for psychosocial stress of atypical workers are evaluated. Method: The study design was cross-sectional, and 1,713 shipbuilding workers (681; typical workers, 1,032; atypical workers) were recruited. A structured-questionnaire was used to asses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job characteristics and psychosocial stress levels. We used the chisquare test for univariat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Results: In univariate analys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moking, hobby, insufficient sleeping, work hours per week, quitting, unemployment, job demand, job decision latitude and job insecurity. The job strai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atypical workers than in the typical workers. The proportion of iso-strain groups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the atypical workers than typical workers. Using psychosocial stress as the dependent variable, multiple regression models were estimated. After adjustment for sociodemographic factors, unemployment, quitting, employment type, job demand, job decision latitude and job insecurity were all found to b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sychosocial stress. Conclusion: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psychosocial stress of atypical workers is related to job characteristics such as job insecurity and labor flexibility.

목적: 이 연구는 정규직 근로자들과 비교하여 비정규직 근로자들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으로서 직무요구도, 직무자율성, 그리고 직무불안정의 차이를 분석하고, 직무스트레스 결과로 발생하는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방법: 이 연구는 영남지역에 위치한 조선업종을 대상으로 원청 사업장 2개 회사의 정규직 681명과 하청업체 40개 회사의 하청근로자, 일용직, 계약직 근로자 1,032명으로, 총 연구대상자는 1,713명이었다. 자료수집 방법은 사업장을 방문하여 연구의 취지를 알린 후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자 직접 기입법으로 사회인구학적 특성, 직업적 특성,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수준 등에 대하여 설문 조사를 하였다. 사회심리적 건강수준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사회인구학적 특성(성, 연령, 학력, 결혼상태), 직무특성(근무년수, 급여, 주 평균근무시간, 고용형태, 실직, 이직 등), 직무요구도, 직무자 율성, 사회적지지, 직업불안정을 독립변수로 하여 다중회귀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직업적 특성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단일변량 분석한 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인 변수는 흡연, 취미생활, 불충분한 수면, 근무기간, 주당 평균 노동시간, 이직, 실직, 직무요구도, 직무자율성, 사회적지지 및 직업불안성 등이었다. 직업성긴장 수준에 따른 분포는 고긴장집단의 경우 정규직의 비해 비정규직이 훨씬 많은 분포를 보였고, 고립된 고긴장집단(iso-strain group) 역시 정규직에 비해 비정규직이 유의하게 많은 분포를 보였다. 사회 심리적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중회귀 분석을 시행하였다. 일반적 특성에서는 연령이 유의한 변수였으며 나이가 젊을수록 스트레스가 높았다. 직무특성에서는 과거 실직경험이 있거나 이직 경험이 있는 경우 스트레스가 높았으며, 고용형태는 정규직보다 비정규직에서 스트레스가 높았음을 보여주었다. 직업적 특성에서는 직무요구가 높을수록, 사회적지지가 낮을수록, 직업불안정이 높을수록 스트레스가 높았으며 유의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결론: 이 연구를 통해 비정규직 근로자의 사회심리적 건강수준이 정규직 근로자와는 다른 실직경험, 이직경험 및 직업불안정 등 다양한 직무스트레스 요인에 의해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고 추정 할 수 있다. 향후 객관적인 건강지표의 비교분석을 통한 비정규직의 건강문제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임영일. 조선산업의 성장과 노동운동. 동향과 전망. 1993
  2. 장세진. 건강통계 자료 수집 및 측정의 표준화. 계측문화사, 2000;92-143.
  3. 장세진 등. 우리나라 직장인들의 스트레스 수준의 파악, 스트레스 감소프로그램의 개발 및 인프라 구축에 관한 연구. 보건복지부. 2001.
  4. 조성애, 정진주, 구정완. 동종산업 종사 근로자와 정리해고자의 정신건강상태 비교연구. 대한산업의학회지 2003;15(4):335-43.
  5. 조수헌. 조선업종 근로자 건강관리체계 연구. 협력업체 도장부서 근로자 중심으로. 한국산업안전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용역보고서. 2000.
  6. 차봉석, 고상백, 왕승준, 장세진. 국가경제침체가 근로자의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대한산업의학회지 1998;10(4):484-92.
  7. 최홍렬, 고상백, 장세진 차봉석 등. 하청 근로자들의 건강수준 평가. 대한산업의학회지 2001;13(1);18-30.
  8. 허민영. 울산지역 사내하청 노동자의 상태. 연대와 실천 1997;51-72.
  9. 홍성인. IMF 체제하에서의 조선산업의 대응. 대한조선학회지 1998; 35(2):24-6.
  10. 홍장표. 한국에서의 하청계열화에 관한 연구. 서울대 박사논문. 1993.
  11. Benach J, Benavides FG, Platt S, Diez-Roux A, Muntaner G. The health damaging potential of new type of flexible employment; a challenge for public health researchers. Am J Public Health 2000;90(8):1316.
  12. Benavides FG, Benach J, Diez-Roux A. How do types of employment relate to health indicators? Findings from the second European survey on working conditions. J Epidemiol Community Health 2000;54(7);494-501.
  13. Braun S, Hollander RB. Work and depression among women in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Women Health 1988;14:3-26.
  14. Cobb S, Ka니 SV. Termination: The consequences of job loss. National Technical Information Service(Report No. 76-1261), 1977.
  15. Ferrie JE et al. Health effects of anticipation of job change and non-employment; longitudinal data from the Whitehall II study. BMJ 1995;311(7015);1264-9.
  16. Gore S. Stress buffering functions of social support; an appraisal and clarification of research model. in Dohrenwend(Eds), Stressful life events and their context. New York, Wiley. 1981.
  17. Harma M. Are long workhours a health risk? Scand J Work Environ Health 2003;29(3);167-9.
  18. Hulst MVD. Long workhours and health. Scand J Work Environ Health 2003;29(3);171-88.
  19. Karasek RA, Gardell B, Lindell J. Work and nonwork correlates of illness and behaviour in male and female Swedish white-collar workers. J Occup Behav 1987;8:187-207. https://doi.org/10.1002/job.4030080302
  20. Karasek RA, Theorell T. Healty work: stress, productivity and the reconstruction of working life. New York: Basic Books, 1990.
  21. Karasek RA, Theorell T, Schwartz JE, Schnall PL, Piper CF, Michcla JL. Job characteristics in relation to the prevalence of myocardial infarction in the US health examination survey(HES) and the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HANES). Am J Public Health 1988;78:910-8. https://doi.org/10.2105/AJPH.78.8.910
  22. Kivimaki M et al. Factors underlying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downsizing on health of emploees: longitudinal cohort study. BMJ 2000;320(7240);971-5.
  23. Levi L. The European Commission's guidance on work-related stress; from words to action. Turb Newsletter 2002;19(20);12.
  24. Levi L. Guidance work related stress. Spice of life, or kiss of death? Luxembourg. Office for Official Publications of European Commissions. 2000.
  25. Polivka AE, Nardone F. On the definition of contingent work. Monthly Labor Review. 1989; Dec 9-16.
  26. Sparks K, Cooper C, Fried Y, Shirom A. The effects of hours of work on health; a meta-ana-lytic review. J Occup Org Psychol 1997;70;391-408.
  27. Thoits PA. Social support as coping assistance.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1986; 54:416-23.
  28. Vahtera J et al. Effect of organizational downsizing on health of employees. Lancet 1997;350(9085);112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