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mage Conditions and Assessment for Cut Slope Structures due to Acid Rock Drainage

산성암반배수에 의한 절취사면 구조물의 피해 현황과 평가

  • 이규호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환경재해연구부) ;
  • 김재곤 (한국지질연구원, 지질환경재해연구부) ;
  • 박삼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반안전연구부) ;
  • 이진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환경재해연구부) ;
  • 전철민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하수지열연구부) ;
  • 김탁현 (충남대학교 지구환경과학부)
  • Published : 2005.07.01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amage conditions of cut slope structures due to acid rock drainage (ARB) and to assess the acid production potential of various rocks. Acid rock drainage is produced by the oxidation of sulfide minerals contained in coal mine zone and mineralization belt of Pyeongan supergroup and Ogcheon group, pyrite-bearing andesite, and Tertiary acid sulfate soils in Korea. Most of cut slopes producing ARB have been treated with shotcrete to reduce ARD. According to the field observations, ARD had an adverse effect on slope structures. The corrosion of shotcrete, anchors and rock bolts and the bad germination and growth diseases of covering plants due to ARD were observed in the field. The concentration of heavy metals and pH of ARD from cut slope exceeded the environmental standard, indicating a high potential of environmental pollution of surrounding soil, surface water and ground water by the ARD. According to acid base accounting (ABA) of the studied samples, hydrothermally altered volcanic rocks, tuffs, coaly shales, tailings of metallic mine had a relatively high potential of acid production but gneiss and granite had no or less acid production potential. It is expected that the number of cut slopes will increase hereafter considering the present construction trend. In order to reduce the adverse effect of ARD in construction sites, we need to secure the data base for potential ARD producing area and to develop the ARD reduction technologies suitable.

산성암반배수가 발생되는 지역을 중심으로 사면구조물의 피해현황과 환경오염 실태를 파악한 결과를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산성암반배수가 발생하는 절취사면은 대부분 숏크리트공법으로 처리하고 있으며, 산성암반배수가 사면구조물의 안정성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둘째, 숏크리트는 산성암반배수에 의해서 현저하게 열화되어 가고 있으며, 용수발생량이 많은 곳은 배면공동이 발견되는 경우도 있다. 셋째, 절취사면에서 산성암반배수가 발생되는 곳은 국부적으로 불안정하고, 이를 보강하기 위하여 앵커와 록볼트를 사용하고 있으나 강산성암반배수에 의해 부식될 우려가 크다. 넷째, 식생공의 경우 산성암반배수가 잔디 씨앗의 발아 및 성장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어 일부 지역에서는 생석회를 사용하여 산성암반배수를 중화시키고 있으나 근본적인 대책은 되지 못하고 있다. 다섯째, 황철석의 풍화로 발생한 산에 의해 배수가 낮은 pH를 유지하면서 중금속들을 용출시켜 지속적으로 배출하여 부근 토양, 지하수와 하천수를 오염시킬 개연성이 매우 크다. 산성암반배수의 발생 가능성을 암석유형별로 평가한 결과 편마암, 화강암의 경우 산성배수 발생 가능성이 낮은 군으루 열수변질을 받근 화산암, 응회암, 탄질셰일, 금속광산 폐석시료는 산성배수 발생 가능성이 높은 군으로 분류되었다. 따라서 토목건설공사과정에서 빈번히 발생될 것으로 예상되는 사면절취에 의한 암반산성배수에 대비하여 발생개연성이 있는 지역에 대한 지반정보의 확보 및 대책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정진, 김수진 (2002), '태백 동해광산일대의 물-광물 반응에 의한 산성광산배수의 지구화학적 특성 변화.' 자원환경지질, 제35 권, 제l호, pp.55-66
  2. 김진환, 이종현, 구호본, 박미선 (2003), '산성배수 영향에 의한 도로절토사면 안정성변화 및 환경오염에 대한 연구', 대한지질학회 추계학술발표회 초록집, p.144
  3. 박맹언, 성규열, 고용권 (2000), '비금속광상의 황화광염대에 수반되는 산성광산배수의 형성과 지질환경의 오염: 동래납석광산 산성광산배수의 형성에 관한 반응경로 모델링', 자원환경지질 제33권, 제5호, pp.405-415
  4. 염승준, 윤성택, 김주환, 박맹언 (2002), '동래 납석광산 산성 광석배수의 중화실험: 중금속 거동 특성 규명',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 제7권, 제4호, pp.68-76
  5. 유재영 (1995), '광산 배수의 산성화 및 그에 따른 환경문제', 대한지질학회.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제11회 공동학술발표회, pp.32-55
  6. 유재영, Coleman, M. (2000), '산성 배수 내 용존 황의 동위 원소 조성: 영동 및 강릉 탄광 사례 연구', 지질학회지, 제36권, 제1호, pp.1-10
  7. 이규호, 김재곤, 이진수, 전철민, 박삼규, 김탁현, 고경석, 김통권 (2005), '건설현장 절취사면의 산성암반배수 발생특성과 잠재적 산발생능력 평가', 자원환경지질, 제38권, 제1호, pp.91-99
  8. 정영욱 (2004), '석탄광의 광산배수처리기술 현황 및 전망', 자원환경지질, 제37권, 제1호., pp.107-111
  9. 최석원, 이찬희, 원경식, 김일석 (2001) '청주-상주간 고속도로 예정구간의 회북지역에 대한 지질학적 및 수리지구화학적 특성', 지질학회지 제37권, 제l호, pp.83-106
  10. 최선규, 박상준, 이평구, 김창성 (2004), '한반도 광상 성인유형에 따른 환경 특성', 자원환경지질, 제37권, 제l호, pp.1-19
  11. 추창오, 이진국, 조현구 (2004), '산화환경하에서 명반석, 슈베르 트마나이트의 형성특징과 환경지구화학적 의미: 달성광산', 한국광물학회지, 제17권, pp.37-47
  12. 환경부 (2003), '지하수의 수질보전 등에 관한 규칙'
  13. 全國治水砂防協會 (2000), '新.斜面崩壞防止工事の設計と實例 - 急傾斜地崩壞防止工事技術指針-', p.302
  14. Nriagu, J. O. (1972), 'Solubility equilibrium constant of strengite', Am. J. Sci. 272, pp.476-484 https://doi.org/10.2475/ajs.272.5.476
  15. Price, W. A., Morin, K., and Hurt, N. (1997) Guidelines for the Prediction of Acid Rock Drainage and Metal Leaching for Mines in British Columbia: Part II - Recommended Procedures for Static and Kinetic Testing. Proc. 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cid Rock Drainage, Vancouver, BC pp.15-30
  16. Sobek, A. A., Schuller, W. A., Feeman, J. R., and Smith, R.M. (1978),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applicable to overburden and minesoils, EPA report No. 600/2-78-054, pp.47-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