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vironmental Cyber Inservice Education Contents Development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

초등학교 교사를 위한 환경교육 사이버 연수 콘텐츠 개발

Seo, U-Seok;Jeong, Cheol-Yeong;Lee, Jae-Ho
서우석;정철영;이재호

  • Published : 20060000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an environmental cyber inservice education contents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 The blended environmental cyber inservice education contents were developed, through reviewing literatures, analyzing domestic and foreign's environmental inservice education programs and e-Learning contents, and experts conference. And, Contents validity was evaluated by environmental education experts. Contents development stage was confirmed five stage: ① foundational analysis, ② planning, ③ design, ④ production, and ⑤ evaluation. The goal of Environmental cyber inservice education contents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 was stated 'environmental professionality uplif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and developed contents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consisted of 3 domains : (1) Founda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2) Understanding about Environment, (3) Strategy for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The contents of each sessions were selected considering synthetically objectives, themes and components of environmental education and structured of 62hours Course totally. Developed Contents evaluated by 8 environmental education experts according to 10 evaluation item of total contents and contents development structure. In result, it evaluated comparatively high score. Based on the results, some recommendations were suggested.

및 제언이 연구를 통해 환경교육의 목적 및 목표, 내용체계, 대상별 환경교육 등에 대한 근본적인 고찰에서 시작하여 국내외의 다양한 초등학교 교사를 위하여 온라인 및 오프라인으로 실시되고 있는 교육 및 연수 인터넷 콘텐츠를 수집분석하였고, 실제 프로그램 개발 과정에서는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전문가에 의한 세부적인 검토 문헌연구와 전문가협의회를 개최함은 물론, 접근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동화작가에게 의뢰하여 시나리오 및 나레이션을 보다 쉽고 보다 타당성 있는 초등학교 교사용 환경교육 사이버 연수 콘텐츠를 개발하였다.국내·외 환경교육 관련 문헌들을 고찰하여 환경교육 사이버 연수의 궁극적인 목적은 ‘초등학교 고사의 환경교육 전문성 제고’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문제점과 사이버 연수 콘텐츠의 개발 및 설계를 위한 체계적인 절차 및 과정을 고려하여, 최종적으로 초등학교 교사를 위한 환경교육 사이버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콘텐츠는 전체 62차시로 개발되었고, 크게 ① 환경교육의 기초, ② 환경의 이해, ③ 학교 환경교육 전략의 3개 영역으로 구분하였다.이 콘텐츠는 SCORM 방식에 기반 하여 개발되었기 때문에 재사용성, 접근 용이성, 상호호환성 및 내구성을 가질 것으로 기대된다.이 콘텐츠를 활용하거나 추후 연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첫째, 개발된 콘텐츠를 초등학교 교사가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홍보 및 온라인 및 오프라인을 통한 서비스가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는 환경부의 홈페이지나 교육대학의 원격연수센터를 활용해야 할 것이다. 이 콘텐츠는 학습자들 간의 상호작용뿐만 아니라 학습자와 운영자간의 상호작용이 요구됨으로 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행재정적 지원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둘째, 국가 또는 환경부 차원에서 초등학교 교사를 위한 연수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이 연구를 통해 개발된 콘텐츠뿐만 아니라 이미 개발된 콘텐츠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를 통합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는 환경부 차원에서 U(Ubiquotous)-포털 사이트를 구축하고 ,이를 통해 학습자용뿐만 아니라 교사용 콘텐츠를 체계적으로 서비스할 수 있는 체제를 구축해야 한다.셋째,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사를 위한 환경교육 사이버 연수 콘텐츠 개발에 초점을 맞추었다. 추후에는 중학교, 고등학교의 교사를 위한 사이버 연수 콘텐츠가 개발되어야 하며, 더 나아가 대학 및 성인을 위해 환경교육을 실시하는 담당자를 위한 콘텐츠 개발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는 이 연구에서 제시한 학교급별 환경교육 목적, 목표 및 내용체계를 고려하고, 개발 틀을 고려하여 상호 연계된 콘텐츠들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환경과학원 환경연수부. (2006). 2006년 환경교육훈련계획. 환경부
  2. 김동규. (1996). 세계의 환경교육. 서울: 교육과학사
  3. 남상준. (1995). 환경교육론. 서울: 대학사
  4. 박정자. (2003). 초등학교 교과서에 반영된 환경교육 내용 분석. 경인교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5. 박태윤, 정완호, 최석진, 최돈형, 이동엽, 노경임(2003). 환경교육학개론. 서울: 교육과학사
  6. 방지영. (2003). 제 7차 교육과정의 학교급별 환경교과에 관한 연구, 초중고교의 환경교과 내용 체계 고찰. 경희대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7. 서우석, 나승일, 정철영, 김수욱. (1999). 초등학교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내용분석. 한국농업교육학회지, 31(3), 43-62
  8. 서우석, 이용환, 정철영, 나승일, 김진모, 이재호. (2005). 맑고 푸른 지구를 위한 초등학교 환경교 육 e-Learning 콘텐츠 개발.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7(4), 243-274
  9. 소경희, 채선희, 정미경, 김희순. (2000). 교육과정, 평가 국제비교 연구(II), 주요국의 학교 교 육과정, 교육평가 운영실태 분석.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0. 이민부, 박승규. (2000). 제 7차 환경 교육 과정의 학교급별 내용 특성. 환경교육, 13(2), 103-113
  11. 이용환, 정철영, 나승일, 이우신, 남효창. (2001). 환경교육 교사 연수를 위한 교육과정 개발. 한국농업교육학회지, 33(4), 101-132
  12. 이종문, 이민부. (1997). 환경교육. 서울: 한국방송대학교출판부
  13.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공학과. (1999).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이화여자대학교
  14. 이태숙. (2002). 환경교육목표 분류 체계 개발. 인천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주호수. (2001). 미국 초등학교 환경교육과정 개발 및 평가체제 분석. 초등교육연구, 14(3), 1-18
  16. 최석진 외. (1999). 한국 환경교육 내용체계화, 제 7차 교육과정의 교과별 환경교육 내용 반영 방 안을 중심으로. 환경부
  17. 최석진 외. (2000). 교과교육을 통한 환경교육 강화방안: 우리나라와 외국의 학교환경 교육. 한국 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05-5 별권부록
  18. 최석진 외. (2001). 환경교육 교수-학습 및 평가 방법의 실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ORM 2001-30
  19. 최석진 외. (2004). 주요 외국의 환경교육 비교 연구. 환경부
  20. 최석진, 김경옥, 김현정, 심현민, 최경희. (2004). 주요 외국의 환경교육 비교 연구. 환경부
  21. 최석진, 박선미, 심현민, 이용순, 박종선. (2001). 환경교육 교수-학습 및 평가 방법의 실제. 한국 교육과정평가원
  22. 최석진, 신동희, 이선경, 이동엽. (1999). 학교 환경 교육의 체계적 접근 방안. 환경교육, 12(1), 19-39
  23. 한여주. (2003). 제 7차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환경교육 내용과 연계성 연구. 서울교육대 교육대학 원 석사논문
  24. 환경부. (2005). 2005 환경백서. 환경부
  25. 황만익. (1999). 학교 환경교육에서 교과목 분산 형태와 독립과목 형태; 오스트레일리아, 유럽 및 미국의 경우. 지리, 환경교육, 7(1), 3-26
  26. Andrew Stables, Keith Bishop. (2001). Weak and Strong Conceptions of Environmental Literacy: implication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7(1), 89-98 https://doi.org/10.1080/13504620125643
  27. Engleson, D.C. & Yokers, D. H. (1994). A guide to curriculum planning in environmental education. Wisconsin
  28. Forbes, J. (1987). Environmental education - implications for public policy. The Environmentalist, 7(2)
  29. Frank, William, bruce. (1995). Children's Environmental Attitude and Knowledge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The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26(3), 22-31 https://doi.org/10.1080/00958964.1995.9941442
  30. Goodall, s.(Eds.). (1994). Developing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curriculum. London: David Fulton Publishers
  31. Iozzi, L. A. (1989). Environmental Education and the Affective Domain. The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20(4), 7-8
  32. NAAEE. (1992). Preliminary review draft for the report to congress on the status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Washington. D. C.
  33. NAAEE. (1995a). Excellence in Environmental Education - Guidelines for Learning. Washington, D.C.
  34. NAAEE. (1995b). Action plan for environmental education. Washinton, D.C.
  35. NAAEE. (1996). Environmental Education Materials: Guidelines for Excellence. Rock Spring, Georgia, USA
  36. NAAEE. (1999). Excellence in Environmental Education Guidelines for Learning (K-12). Rock Spring, Georgia, USA.
  37. NAAEE. (2000). Guidelines for the Initial Preparation of Environmental Educators. Rock Spring, Georgia, USA
  38. NEEAC. (1996). Report Assessing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U. S. Washing D.C: EPA
  39. NSW Department of Education. (1993). Environmental Education : Curriculum Statement K-12. Australia
  40. OECD. (1994). Evaluating Innovation in Environmental Education. Paris: OECD
  41. Palmer. J. (1998).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21st Century: Theory, practice, Progress and promise. London: Routledge
  42. Roth. R. (1998). Environmental Literacy: Its Roots, Evolution, and Directions in the 1990s. EE Reference Collection. Michigan: NCEET
  43. Shin, Donghee S. (1999). Environmental earth science education for the preservice teachers in the Republic of Korea.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27(2)
  44. Unesco. (1977). First Intergovernmental Conference on Environmental Education Final Report. Tibilish. USSR, Parris: UNESCO
  45. Unesco. (1980).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Light of the Tbilisi Conference. Paris: UNESC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