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행자 사고확률모형을 이용한 도로안전시설물의 효과도 추정(4차로 일반국도를 대상으로)

Estimating the Effectiveness of Road Safety Features using Pedestrian Accident Probability Model

  • 박규영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 이수범 (서울시립대학교 교통공학과)
  • 발행 : 2006.06.30

초록

우리나라는 교통사고 사망자 가운데 보행자가 차지하는 비율이 43%로 매우 높으며, 이는 OECD평균의 2.5배에 이르는 수치이다 도로종류별 사고발생 특성을 보면 국도에서 보행자사고로 인한 사망자수 비율이 가장 높은 구성비를 차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지방부 도로에서 보행자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보행자 관련 안전시설물 설치가 확대될 예정이다. 그러나 보행자 관련 연구가 주로 도시부 교차로를 대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지방부 보행자사고 특성 분석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고, 특히, 안전시설물의 보행자사고에의 효과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방부 4차로 국도를 대상으로 로짓모형을 이용하여 보행자사고 확률모형을 구축하고, 추정시 도로안전시설물 설치여부를 설명변수로 포함하여 그 효과도를 추정하였다. 시설물별 효과도는 승산비(Odds ratio)를 이용하여 비교위험I÷로 분석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시거개선, 보도설치, 조명설치가 보행자 사고를 줄이기 위한 효과적인 대안으로 나타났다.

The ratio of Pedestrians in traffic accident fatality takes up 43% in Korea, which is 2.5 times as much as OECD's average. The traffic accidents features by road type shows that the fatality of the national highway posts the highest due to the accidents of pedestrians. Accordingly, the establishment of safety facilities for pedestrians is expected to increase on the rural roads for the prevention of pedestrian accidents. However, studies on pedestrians have been mainly focused on urban intersections. In Particular, studies on estimating the effectiveness of safety features for pedestrians are very poor. Thus, in this study. the Pedestrian accident probability model on four lane national highway was developed by using logit model. Also, this study analyzed and proposed the effect of facilities as a relative risk by using an odds ratio.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Improvement of sight distance, installing sidewalks and lightings were proven effective alternatives for reducing the pedestrian accidents.

키워드

참고문헌

  1. 건설교통부(2003), '국도1호선(무안-나주) 및 국도 14호선(통영-마산)교통안전개선방안기본조사', 교통개발연구원,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 pp.13-106
  2. 건설교통부(2004), '제5차 교통안전 기본계획(200 2-2006) 변경계획', 건설교통부, pp.122-129
  3. 김범일, 오철, 강연수(2005), '제한속도 설정에 따 른 교통안전 편익평가-보행자 사망확률모형 개발 및 활용-', 2005 대한토목학회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pp.3782-3785
  4.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2004a), '2004년판 교통사 고통계분석',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 pp.187-192
  5.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2004b), 'OECE 회원국 교 통사고비교',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 pp.27-37
  6.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2003), '교통사고잦은곳기 본개선계획 및 효과분석',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 pp.53-55
  7. 유근영(1996), '의료-보건학을 위한 범주형 자료 분석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pp.79-112
  8. 이두희(2005), '횡단보도 보행자의 동태적 행위 관련 안전예측모형 개발',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25권 제3D호, 대한토목학회, pp.439-445
  9. 하태준, 문권수, 김용길(2002), '신호교차로 보행 자 교통사고 특성과 방지대책에 관한 연구(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대한토목학회 2002년 학술발표회 논문집, 대한토목학회, pp.53-56
  10. Agresti(1996), 'An introduction to categorical data analysis', A Wiley-Interscience publication, pp.27-30, pp.205-210
  11. Al-Ghamdi, A. S.(2002), 'Pedestrian-vehicle crashes and analytical techniques for statified contingency tables',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34, pp.205-214 https://doi.org/10.1016/S0001-4575(01)00015-X
  12. Garder, P.E.(2004), 'The impact of speed and other variables on pedestrian safety in Maine',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37, pp.533-542
  13. Graham, D., S. Glaister, R. Anderson(2005), 'The effects of area deprivation on the incidence of child and adult pedestrian casualties in England',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37, pp.125-135 https://doi.org/10.1016/j.aap.2004.07.002
  14. Lee, C., M. Abdel-Aty(2005), 'Comprehensive analysis of vehicle-pedestrian crashes at intersections in Florida',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37, pp.775-786 https://doi.org/10.1016/j.aap.2005.03.019
  15. Preusser, D.F., et.al.(2002), 'Pedestrian crashes in Washington D.C and Baltimore',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34, pp.703-710 https://doi.org/10.1016/S0001-4575(01)00070-7
  16. Shankar, V. N. et.al.(2003), 'Modeling crashes involving pedestrians and motorized traffic', Safety Science 41, pp.627-640 https://doi.org/10.1016/S0925-7535(02)00017-6
  17. Zajac, S. S., J. N. Ivan(2003), 'Factors influencing injury severity of motor vehiclecrossing pedestrian crashes in rural Connecticut',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35, pp.369-379 https://doi.org/10.1016/S0001-4575(02)000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