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the Environmental Index and Situation Naturalized Plants in the Stream of Downtown Jeonju

전주 도심 하천의 귀화식물 현황과 환경지수 분석

  • Oh, Hyun-Kyung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Beon, Mu-Sup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Published : 2006.09.01

Abstract

Total naturalized plant species in the streams of Jeonju were listed as 109 taxa; 24 families, 75 genera, 106 species, 3 varieties. Dividing by stream, Jeonju stream has 75 taxa; 20 families, 55 genera, 73 species, 2 varieties. Samcheon stream has 86 taxa; 19 families, 64 genera, 84 species, 2 varieties. Soyang stream has 80 taxa; 21 families, 60 genera, 77 species, 3 varieties. Urbanization Index (UI) of total streams (109 taxa) was 40.2%. UI was 27.7% in Jeonju stream (75 taxa), 31.7% in Samcheon stream (86 taxa), 29.5% in Soyang stream (80 taxa). Dividing by degree of naturalization classification, 25 taxa (9.2%) were found in class 5, 17 taxa (6.2%) in class 4, 32 taxa (11.8%) in class 3, 27 taxa (9.9%) in class 2 and 8 taxa (2.9%) in class 1. Dividing by introduction period, 48 taxa (44%) aye in period I, 19 taxa (17%) in period II, 42 taxa (39%) in period III. Dividing by growth type, 48 taxa (44%) are annuals, 25 taxa (23%) are biennials, 33 taxa (30%) are perennials. Dividing by the place of origin, 39 taxa (35%) are from Euyope, 33 taxa (30%) from North America, 11 taxa (10%) from Tropic America, 9 taxa (8%) from Europe Asia,5 taxa (5%) from South America, 5 taxa (5%) from China.

본 연구는 전주 도심 하천주변의 귀화식물 분포와 현황, 각 귀화식물의 이입시기, 생활형, 원산지 분석 및 도시화지수 등을 조사하여 차후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과 방안을 모색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조사지는 전주 도심에 흐르는 하천으로서 인위적인 훼손과 개발로 인해 자연형 하천이기 보다는 인위적 하천으로 양측제방, 둔치, 유로내부까지 콘크리트화로 기존의 수변식물들이 점차적으로 사라지고 대상식생이라 할 수 있는 귀화식물들이 하천변에 이입되어 세력을 확장하고 있는 실정이다. 전주 도심 하천에서 확인된 총 귀화식물은 109종류로 박 등(2002)이 제시한 271종류(taxa)중 40.2%, 3개 하천 모두에서 공통적으로 확인된 귀화식물은 52종류로 19.2%가 확인되었다. 또한, 도시화지수를 분석한 결과, 전주천에서 확인된 귀화식물은 75종류(27.7%), 삼천천은 86종류(31.7%), 소양천은 80종류(29.5%)가 분석되었다. 이와 같이 전주 도심 하천에는 많은 귀화식물 종수와 개체수가 확인되었으며, 특히, 생태계교란야생식물인 물참새피, 도깨비가지, 돼지풀의 개체수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물참새피는 물 흐름을 막아 습지를 육화시키고 정수식물이나 수중식물을 피압 도태시키며, 도깨비가지는 제방이나 둔치부분에 이입되어 자생식물 생장에 막대한 영향을 주고 있다. 또한, 돼지풀은 자생식물 피압 뿐만 아니라 꽃가루 알레르기를 일으켜 사회적 피해를 주고 있기 때문에 차후 합리적인 모니터링으로 지속적인 관심과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인근주민과의 정보 교환이나 상호 협조, 주민 참여 등의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2에서보다 용존산소가 풍부한 DC5에서 오히려 증가하였다. 수층의 TOC와 DOC농도는 봄과 가을에 증가하였고, 하수가 유입되는 지역에서 높게 측정되었다. 조사지역이 산지하천의 상류에 위치하고 있으나 식당 및 민가에서 유입되는 생활하수는 하천의 상류를 부영양화 시켰으며, 하류로 내려오면서 유기물 및 무기 영양염의 농도가 감소하여 하천수가 자연적으로 정화되는 것이 관찰되었다.절경을 통하여 관절내의 변화를 관찰하며 돌출된 봉합 나사못을 다시 삽입하거나 제거하여야 한다. 봉합 나사못 제거에 본 수술 방법을 사용하면 용이하게 봉합 나사못 제거가 가능하리라 사료된다.완술은 적은 수술범위에서 이환된 지지대를 이완시킴으로써 유착등의 합병증 없이 환자의 재활 및 만족도를 높이는 하나의 치료 방법으로서 관혈적 방법과 고식적 관절경적 수술보다 좋은 치료라고 판단된다.해는 30명 중 28명으로 완전관해율은 93%였다. 3년 국소제어율은 87%, 전체환자의 3년 생존율은 93%, 무병생존율은 87%였다. 4명(13%)에서 국소실패를 보였고 1명(3%)에서 원격전이를 보였다. 치료 중 급성 합병증으로 11명(37%)에서 RTOG grade 1-2의 장염을 보였으며 1명은 대장의 천공이 발생하여 수술로 치유되었다. 12명(40%)에서 RTOG grade 1-2의 급성 방광염을 보였다. 3명(10%)에서 RTOG grade 1-2의 백혈구 감소증이 보였으며 1명에서 심한 백혈구 감소증(RTOG grade 4)이 나타났으나 회복되어 치료를 완료하였다. 만성 합병증으로 5명(15%)에서 RTOG grade 1-2의 만성 장염을 보였으며 별다른 치료 없이 지내고

Keywords

References

  1. 강병화, 심상인. 2002. 우리나라 귀화식물의 발생상황. 한국잡초학회지. 22:207-226
  2. 고강석, 강인구, 서민환, 김정현, 김기대, 길지현, 이은복, 전의식. 1995. 귀화식물에 의한 생태계 영향 조사(1). 국립환경연구원. pp.74
  3. 고강석, 강인구, 서민환, 김정현, 김기대, 길지현, 전의식, 이유미. 1997. 한국에서의 귀화식물 분포. 한국자연보존협회. 한국생물상연구지. 2:139-164
  4. 국립환경연구원. 2003. 한국외래식물
  5. 노재현, 허 준. 2004. 버나큘라 경관상 개션을 위한 전주천변 귀화식물의 분포 특성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22:26-32
  6. 박선주, 김종홍, 김상민, 박홍덕, 우복주, 백기열. 2004. 손죽도의 식물상과 보전대책.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8:18-41
  7. 박수현 1994. 한국의 귀화식물에 관한 연구. 한국자연보존협회. 자연보존. 85:39-50
  8. 박수현. 1995. 한국 귀화식물 원색도감. 일조각. 서울. pp.371
  9. 박수현. 2001. 한국 귀화식물 원색도감(보유편). 일조각. 서울. pp.178
  10. 박수현, 신준환, 이유미, 임종환, 문정숙. 2002. 우리나라 귀화식물의 분포. 임업연구원.국립수목원. pp.184
  11. 변무섭, 오현경, 김영하, 김 연. 2005. 전주천일대의 관속식물상과 도시화지수.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9:231-245
  12. 양권열. 1989. 서울시의 식생과 귀화식물의 분포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양영환. 1998. 제주도의 귀화식물 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자연보전협회. 자연보존. 102:47-54
  14. 유주한, 진연희, 장혜원, 이동우, 윤희빈, 이귀용, 이철희. 2003a. 충청북도 백운산 일대의 식물상.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7:210-223
  15. 유주한, 진연희, 장혜원, 조흥원, 한주환, 이철희. 2003b. 충청북도 미동산의 관속식물상.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7:112-122
  16. 이덕봉, 김연창. 1961. 美大陸 原産 植物의 渡來考. 식물학회지. 4:25-30
  17. 이우철, 임양재. 1978. 한반도 관속식물의 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식물분류학회지 (부록).:1-33
  18. 이유미, 김성식, 조동광, 정승선. 2002a. 경기도 축령산과 서리산 일대 식물상.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6:104-123
  19. 이유미, 박수현, 정승선. 2002b. 서울 중량천의 식생구성과 식물상. 한국환경생태학회. 16:271-286
  20. 이영노, 오용자. 1974. 한국귀화식물(1). 생활과학논총. 12:25-31
  21. 이창복. 1980.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서울. pp.990
  22. 이창숙. 1995. 서울 중량천변의 환경변화에 따른 식물현황 (귀화식물과 토착식물의 비교연구). 한국자연보존협회. 자연보존연구보고서. 14:17-40
  23. 임동옥, 박양규, 유윤미. 2004a. 동복천 일대의 식물상.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7:346-359
  24. 임동옥, 유윤미, 황인천. 2004b. 광주광역시 도심 대규모 하천의 귀화식물 분포 벚 환경지수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8:288-296
  25. 임양재, 전의식. 1980. 한반도의 귀화식물 분포. 식물학회지. 23:69-83
  26. 長田武正. 1976. 原色日本歸化植物固鑑. 保育社. pp.425
  27. Graves RH. 1986. Plant invasions of Australia. pp.37-49. In Ecology of Bidogical Invasions (Grave RH and JJ Burdon, e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28. Pallibin JW. 1998. 'Conspectus flarae(I)', Act. Hort. Petrop. 17:1-128
  29. Song JS. and B Prats. 1998. Invasion of Ambrosia artemisiifolia L. (Compositae) in the Ukrainian Carpathians Mts. and the Transcartathian Plain (Central Europe). Kor. J. Biol. Sci. 2:209-216 https://doi.org/10.1080/12265071.1998.9647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