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Land Seismic Survey of Korea

한국의 육상 탄성파탐사

  • Kwon, Byung-Doo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 권병두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지구과학교육과)
  • Published : 2006.08.01

Abstract

The on-land seismic survey in Korea was begun in mid-1960s. Kim et al.(1967) of Korea Geological Survey reported on the result of gravity and seismic reflection surveys conducted in the Pohang area for the period of 1963-64 to assess its possibility of oil entrapment. Hyun and Kim (1966) carried out a refraction survey on the tunnel wall. Since then, the KGS geophysicists had conducted seismic surveys on Kyungsang sedimentary basin as a main project for several years. In 1970s, on-land seismic surveys had been conduct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site investigation for the nuclear power plants and industrial complex, exploration for ground water, mineral resources and underground tunnel. The first reflection survey with CMP acquisition was attempted in 1978 by using a digital recording system. But most of on-land seismic surveys had employed the refraction method until 1980s. In 1990s, high resolution reflection and various borehole seismic surveys such as tomography, uphole, downhole, cross-hole methods have been attempted by universities and engineering companies. The applications of on-land seismic surveys have been enlarged for both academic and industrial purposes such as investigation of geologic structure of the fault and tidal flat area, construction of highway, railroad and dam, geothermal energy and mineral resource exploration, environmental assessment for waste disposal sites and archaeological investigations. In 2002, the first crustal seismic survey was carried out on the profile of 294km length across the whole peninsular. It is expected that the advanced technology and experience acquired through offshore seismic surveys, which have been conducted in continental shelf of Korea and foreign oil fields, will stimulate the more active on-land seismic explorations.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육상탄성파탐사를 실시한 것은 1960년대 중반이다. 탄성파탐사와 관련된 최초의 보고저가 나온 것은 국립지질조사소의 김종수박사 등이 1964년 포항지역의 석유부존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한 반사법 탄성파탐사와 서울대학교의 현병구교수가 탄광의 갱도 주벽의 상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한 굴절법탐사이다. 이후, 국립지질조사소 기본연구계획의 일환으로 경상계 퇴적분지의 층후 및 지질구조 조사를 위한 굴절법탐사가 실시되었다. 1970년대 들어서는 지하수조사, 광물자원탐사, 땅굴조사, 원자력 발전소 지반조사 등 탐사의 대상과 목적이 다양해졌으며, 1978년에는 CDP기법을 이용한 반사법탐사가 경상분지 지역에서 처음으로 실시되었다. 이후, 육상 탄성파탐사는 토목건설 분야에서 지반조사를 위한 굴절법탐사를 위주로 이루어지다가, 1990년대 들어서서 고해상반사법탐사와 탄성파토모그래피 및 다양한 시추공 탄성파탐사가 시도되었다. 이와 함께 응용분야도 단층대나 조간대와 같은 특정 지역에 대한 학술적 목적의 연구와 더불어 고속도로, 철도, 댐 건설 등 각종 토목엔지니어링, 지열과 광물 자원탐사, 매립지나 해수침투 지역 등의 환경영향 조사, 문화재 안전관리를 위한 고고학에의 응용 등 다양한 분야로 확대되었다. 2002년에는 한반도를 가로지르는 측선 상에서 지각규모의 탄성파탐사가 이루어져 육상탄성파탐사 연구의 새 장을 열게 되었다. 그 동안 우리나라 대륙붕과 해외 유전지역에서의 활발한 석유탐사를 통하여 이룩한 탐사기술의 자립화와 자료 처리를 위한 소프트웨어 부분에서 이룩한 기술적 발전은 앞으로 육상탄성파탐사의 활성화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부 (1975) 터널공사 표준 시방서 및 동해설
  2. 고광범, 이두성 (2000) 지반침하지역에서의 3차원 탄성파 반사법에 의한 지하구조 영상화 사례. 농업현장에 필 요한 몰리탐사 기술,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2000 특별 심포지엄, p. 56-64
  3. 구자학 (1972) 1972년 지구물리 탐사자료 처리 및 해석에 관한 세미나에 참가하고. 지질광상, 18호 , p.56-64
  4. 김기영, 허식 (1999a) 고해상도 탄성파자료를 이용한 풍암 분지 북동부의 퇴적구조 및 퇴적환경 연구. 지구물리, 2권 , p. 91-99
  5. 김기영, 허식 (1999b) 풍암분지 중부지역의 고해상도 탄성파자료 해석. 지구물리, 2권, p. 201-208
  6. 김기영, 김동훈 (2002a) 경주시 감산사단층 부근에서의 탄성파 굴절법 조사. 지구물리, 5권, p. 41-50
  7. 김기영, 김동훈 (2002b) 대규모 발파후보지의 지하구조 확인을 위한 탄성파 굴절법 조사. 지구물리, 5권 , p.153-161
  8. 김기영, 홍종국, 김교홍 (1998b) 양산단층 지역에서의 수직균열에 의한 탄성파 이방성 측정. 지질학회지, 34권,p. 73-80
  9. 김기영, 김현규, 우남철, 정미숙 (1998a) 풍암분지 경계부 근에서 중력추를 이용한 반사파 탐사. 한국자원공학회 정기학술발표회 , p. 239-242
  10. 김기영, 김동훈, 신현조, 김연중 (2002) 굴절파 주시토모그래피를 이용한 울산시 약수지역의 울산단층 지질구조 연구. 지질학회지, 38권, p. 509-518
  11. 김기영, 이소영, 이정모, 문우일, 박창업, 정희옥 (2004) 2002년도 대규모 발파 반사파자료 해석을 통한 한반도 지각구조. 대한지질학회 2004년 추계학술발표회 초록 집, p. 37
  12. 김동수, 방은석, 깁종태 (2005) SPT 업흘 기법을 이용한 지반의 Vs 분포 도출. 제 7회 특별심포지움 시추공 물리탐사,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p. 93-116
  13. 김종수, 구자학, 김헌준, 이헌기, 장정진, 유공열, 김주태, 조규장, 김대규 (1967) 포항흥해 지구물리탐사 종합보고서. 국립지질조사소, 물리탐사보고, 1권 , p. 5-60
  14. 김종수, 구자학, 양승진 (1969) 황해 동지나해 해상물리탐사 종합보고서. 국립지질조사소, 물리탐사보고 3권 , p. 3-20
  15. 김종수, 구자학, 양승진, 서정희 (1968) 포항지구 탄성파탐 사 보고서. 물리탐사보고, 1권 , 국립지질조사소, p. 211-217
  16. 김중열 (1986) 반사법 탄성파탐사에 의한 지하터널 탐지 가능성. 대한광산학회지, 23권. p. 364-370
  17. 김중열 (1989) 탄층구조 모형실험 연구. 과학기술처
  18. 김중열 (1994) 탄성파 발생원개발 및 응용성. 한국자원공학회지, 3 1권, p. 248-257
  19. 김중열 (1996) 소규모 탐사단변에 대한 탄성파 토모그래피의 현장 적용 한계성 연구. 지질공학회지, 6권, p. 15-22
  20. 김중열 (2000) 임해매립층/해상저토 경게변 규명을 위한 탄성파 이용기술. 지반조사를 위한 물리탐사기술, 2000 년도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한국지반공학회지반조사위원회 공동특별강연 논문집, p. 48-86
  21. 김중열, 현혜자, 김기석 (1994d) 채널파 탐사에 의한 탄층 연속성 조사. 한국자원공학회지, 31권, p. 235-247
  22. 김중열, 김유성, 정현기 (2001) 탄성파 반사주시 역산법에 의한 지하 폐갱도 탐지. 지구시스템공학회지, 38권, p. 301-309
  23. 김중열, 현혜자, 김기석, 김유성 (1994) 시추공 횡파 발생원 개발 및 그 응용성. 한국지원공학회지, 31권 , p. 502508
  24. 김중열, 김유성, 현혜자, 김기석 (1994a) 갱내 지오토모그 래피에 의한 탄층 연속성 조사. 한국자원공학회지, 3 1 권, p. 413-418
  25. 김중열, 김유성, 현혜자, 김기석 (1994b) 천부 지질구조 규명을 위한 P빔 발생원의 응용성. 한국자원공학회지, 31권, p. 407-412
  26. 김중열, 김유성, 현혜자, 김기석 (1994c) 탄성파 축소 모형 실험에 의한 유층구조 연구. 한국자원공학회지, 31권 , p. 315-324
  27. 김중열, 장현삼, 김유성,현혜자, 김기석 (1995) 구포 기차 전복사고 지역의 지반상태 파악을 위한 탄성파 토모그래피 응용. 지질공학회지, 5권 p. 1-20
  28. 김진후, 김현도 (2004) 비고결 퇴적물에서 다운홀 탄성파 탐사, MASW; SCPT로 구한 횡파 속도 단면과 시추결과 비교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25권, p. 270-276
  29. 김팔규, 송무영, 김연천 (1995) 서산간척지 연약지반의 토질역학과 물리탐사 비교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16권 292-298
  30. 김학수 (2003) 탄성파 토모그래피의 현장 적용성, 지구시스템공학회지, 46권 p. 485-491
  31. 류제라, 서만철 (2002) 익산 미륵사지 지반특성에 대한 지구물리학적 연구. 지구물리, 4권, p. 1-10
  32. 박권규 (2006) 폐광산 지역 산성광산배수 유출탐지를 위한 지구물리탐사: 부산 입기광산. 지구시스템공학회지, 43권, p. 34-43
  33. 서기황, 유영철, 유영준, 송무영 (2003) 지하 공동 지역에서 시추공간 탄성파토모그래피 탐사자료의 진폭 특성 : 사례연구. 지질공학, 13권, p. 129-137
  34. 서만철, 오진용, 최희수 (2002) 불국사 석탑의 지반 특성에 대한 지구물리탐사. 지구물리, 5권, p. 143-151
  35. 서만철, 최희수, 이찬희, 오진용 (2003) 감은사지 3층석 탑 (서탑)의 지반 특성을 위한 지구물리탐사. 지구몰리, 6 권, p. 39-46
  36. 서상원 (1997) 서해대교 사장교 기초 시공보고. 기술논문집 한국도로공사 p. 3-92
  37. 서정훈, 유공열, 김창기, 김원식 (1971) 경상계 탄성파탐사 보고서 (경북 성주지구). 지구물리 화학탐사 연구보고 5권 국립지질조사소 p. 87-102
  38. 송무영, 유영준 (1993) 연약기반에서의 P파, S파 반응 비교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14권 p. 338-347
  39. 송무영, 송민호 (2000) 탄성파 토모그래피를 이용한 지하 구조 파악에 관한 연구. 대한지질학회 추계공동학술발 표회 100p
  40. 송무영, 김여상, 경재복 (1989) 천수만 간척지 퇴적층에 대한 굴절 탄성파 탐사반응. 한국지구과학회지, 10권 p. 93-101
  41. 송무영, 서기환, 유영철, 유영준 (2001) 지하골동 및 저속 도층에서의 탄성파 토모그래피 주파수 반응 특성. 대한지구물리학회 제 4차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회 p. 12
  42. 송무영, 박정민, 유영철, 유영준 (2003) 철원 비무장지대에 서의 시추공 영상촬영결과와 공대공토모그라피 탐사 사례중심: 북한의 남침용땅굴지역 . 한국지구화학회 한 국지형학회 공동추계학술발표회, p. 162-163
  43. 오진용, 서만철 (2005) 탄성파탐사를 이용한 공주 공산성 원형 연못의 지반조사. 자원환경지질, 38권 p. 623631
  44. 유공열, 김인빈, 김창기, 홍무선 (1970) 경상계 퇴적층에 대한 탄성파탐사보고서 . 국립지질조사소 지구물리화학 탐사연구보고, 4권 p. 38-49
  45. 유공열, 김인빈, 이정오 (1972) 고령지구 탄성파탐사 보고서. 국립지질조사소 지구물리화학탐사연구보고서, 6권 p. 51-70
  46. 유영준, 조창수, 박용수, 유인결 (1999) 탄성파굴절법탐사를 이용한 지반속도 분포 해석 - 터널 및 절토사변에 의 적용 사례. 건설현장에 필요한 물리탐사 기술 심포 지움,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학술발표회 p. 48-64
  47. 윤상호, 지준, 이두성 (2000) 탄성파 굴절법을 사용한 지반침하 형태분석 적용사례. 농업현장에 필요한 물리탐사 기술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2000 정기총회 및 특별 심포지움 p. 132-146
  48. 이광자, 김기영, 김우혁 (2000) 굴절파 속도 이방성 분석 을 통한 울산단층 분절구간 연구. 지구물리, 3권 p. 49-56
  49. 이광자, 김기영 (2000) 탄성파 굴절법을 이용한 경주시 천북목장 부근의 기반암 분포 연구. 지구물리, 3권 p. 215-226
  50. 이윤재 (1987) 리퍼빌러티 추정을 위한 탄성파탐사 기술 논문집 한국도로공사 p. 323-378
  51. 이정모, 문우일, 박창업, 정희옥, 김기영, 조봉곤, 김우한, 김성균 (2003) 서산-영동경주 지각규모 굴절파실험 초기분석결과, 대한지질학회 2003년 추계학술발표회 초록집 3
  52. 장용석, 정희옥, 이정모, 문우일, 박창업 ,김기영, 조봉곤 (2004) 인공발파의 단주기 표변파 자료의 해석을 통한 한반도 상부 지각구조 대한지질학회 2004년 추계학술 발표회 초록집 , 32p
  53. 장현삼, 임해률, 홍재호 (1999) 시추공 탄성파탐사 및 이의 토목공학적 응용. 건설현장에 필요한 물리탐사 기술 심포지움,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학술발표회 p. 176-201
  54. 정연문 (2000) 물리탐사기술의 토목분야 적용연구사례, 지반조사를 위한 물리탐사기술. 2000년도 한국지구물리 탐사학회 한국지반공학회지반조사위원회 공동특별강연 논문집 , p. 87-120
  55. 정희옥 (1995) 탄성파를 이용한 매립지반의 천부지반 구조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16권 p. 352-357
  56. 정희옥 (1997) 표면파분석에 의한 첨부지반의 지반공학적 성질에 관한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18권 p. 420425
  57. 정희옥 (2001) 금강하구 천해성 퇴적층의 연약지반에 관한 연구: 표면파 역산에 의한 S파 속도 구조와 해상도. 한국지구과학회지, 22권 p. 179-185
  58. 정희옥 (2004) 다중채널 표면파 자료를 이용하여 구한 S파 속도와 감쇠지수 구조: 낙동강 히구의 연약지반 특성. 한국지구과학회지 25권 p. 774-783
  59. 조동행 (1971) 탄성파탐사 데-타의 현대적 처리 방법. 지질광상, 14호 국립지질조사소 p. 67-75
  60. 조동행, 김상길, 구자학 (1979) 경상분지 진주지역에 대한 반사법 탄성파탐사연구, 광산학회지, 16권 p. 232-241
  61. 조철현, 오현덕, 방기문, 이효진, 최재화, 차영호 (2004) 문화재 안전진단에 적용된 물리탐사 사례. 지구시스템공학회지, 41권 p. 51-56
  62. 차성수, 김세훈, 윤상필, 배정식, 이진무 (1999) TSP탐사 를 이용한 지하 유류저장 공동 및 도로터널의 시공 중 설계변경,. 건설현장에 필요한 물리탐사 기술 심포지움,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학술발표회 p. 117-136
  63. 한국도로공사 (1998) 암반의 굴착 난이도 평가에 관한 연구
  64. 한국동력자원연구소 (1990) 한국동력자원연구소 70년사 297p
  65. 한국석유개발공사 (1994) 한국석유개발공사 15년사. 한국석유개발공사 832p
  66. 현병구, 김동기 (1966) 갱도주벽 이완대의의 발달상태와 지압에 관한 연구. 광산학회지, 3권 p. 1-12
  67. 홍종국, 김기영, 최동림 (1999) 시화호내 과거 조간대에서의 고해상도 탄성파 탐사. 지구물리, 2권 p. 251-258
  68. 홍준기, 김동기, 현병구, 이경운 (1967) 탄층가행이 하반 주갱도에 미치는 영향. 광상학회지, 4권 p. 170-180
  69. 홍준기, 김재극, 현병구 (1968) 울산석유공업단지 지구물 리탐사. 광산학회지, 5권 p. 55-64
  70. 황세호, 박권규, 신제현 (2005) 국내 폐광산의 광산재해에 대한 물리탐사 적용사례 분석. 지구시스템공학회지, 42 권 p, 61-67
  71. Mineral Industries Engineers (1965) Development of Mineral Resources Repubmic of Kore. Contract Aid / FE-47 Concluding Rep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