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eed Value and Yield of Whole Crop Barley Varieties Depend on Organic Content

유기물함량이 총체보리 품종의 수량과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 Published : 2007.12.31

Abstract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ffects of organic content and to select lodging resistance for six varieties in paddy field of Chungnam province from 2006 to 2007. In this experiment, plant height was increased at the high fertile field and dry matter rate (%) per fresh matter was decreased at the high fertile soil condition but dry matter rate (%) of spike was increased. The dry matter (DM) yield showed higher in Sunwoo barley (13,520kg/ha) and Youngyang barley (12,780kg/ha) at the high fertile field. Fresh yield was also high in Wooho barely (34,720kg/ha) and Youngyang barely (33,670kg/ha) at the high fertile field but yield in high and normal fertile soil condition was not difference. Total digestible nutrients (TDN) content of Youngyang barley and Yuyeon barley was high as 69.5%, 70.3%, respectively, at the high fertile soil condition. According to this result Soman barley and Youngyang barley might be recommendable for whole crop barely in lower organic content condition of paddy rice field and Wooho barley and Soman barley with the lodging resistance and high yield is suitable for paddy field with high organic content.

축산분뇨를 이용한 사료작물을 재배할 때에 가장 큰 문제점은 지나치게 생육이 왕성하여 수확 전에 도복되는 문제점으로 대두되어 본 연구는 논토양의 유기물함량에 따른 품종별 작물학적 특성, 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하여 선우보리, 영양보리, 상원보리, 우호보리, 소만보리, 유연보리 등 6품종을 비옥도가 다른 논토양에 2006년 10월 18일에 파종하여 연구한 결과 공시품종 중에서 비옥지에서는 우호보리와 소만보리가 내도복성이 강한 것을 알 수 있었으나 보통지에서는 선우보리, 상원보리, 우호보리 등이 도복에 강한 특성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생체수량이나 건물수량 측면에서 살펴보면 비옥지 토양이나 보통지에서는 품종간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척박지에서는 건물수량이 영양보리(8,350 kg/ha)와 소만보리(8,450 kg/ha)가 가장 높은 수량을 보여 유기물 함량이 적은 논토양에 보리를 재배할 때에는 영양보리나 소만보리가 유망하였다. 사료가치 측면에서 살펴보면 조단백질은 척박지<보통지<비옥지 순으로 토양이 비옥할수록 조단백질 함량이 많았지만 소화율은 비옥지보다는 보통지나 척박지에서 높았고, 품종별로 보면 비옥지에서 영양보리, 유연보리가 각각 78.7%, 74.7% 등으로 높았다. 총체보리품종들의 TDN 함량은 비옥지<보통지<척박지 순으로 각각 67.2%, 69.0%, 71.1% 등으로 척박지에서 높았고 비옥지에서는 유연보리가 70.3%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영양보리가 69.5%를 보였고 척박지에서는 소만보리가 76.7%이고 우호보리는 72.2%로 높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면 논토양에 총체용 보리 우량 품종은 척박지 토양에서는 영양보리와 소만보리, 보통지 토양은 선우보리와 상원보리, 비옥지 토양은 도복에 강하고 사료가치가 높으며 수량이 다소 많은 우호보리와 소만보리 등이 적합하였다.적

Keywords

References

  1. 김원호, 서 성, 정의수, 신동은, 박태일, 고종민, 박근제. 2002. 사일리지용 우량 보리품종 선발. 1. 생육특성 및 생초 수량. 한초지 22(3):201-208
  2. 김원호, 서 성, 윤세형, 김기용, 조영무, 박태일, 고종민, 박근제. 2003. 사일리지용 우량 보리품종 선발. 2. 사료가치 및 TDN 수량. 한초지 23(4): 283-288
  3. 김원호, 서 성, 임영철, 신재순, 성병령, 지희정, 이상진, 박태일. 2007. 호남지역 답리작에서 사료용 총체보리 우량품종 선발. 한초지 27(3):161-166 https://doi.org/10.5333/KGFS.2007.27.3.161
  4. 서 성, 김원호, 김종근, 최기준, 고종민, 임시규. 2007. 권역별 답리작 사료작물 최대생산을 위한 적작목(품종)선발. 3. 영남지방(밀양)을 중심으로. 한초지 27(2):85-92 https://doi.org/10.5333/KGFS.2007.27.2.085
  5. 서 성, 육완방. 2002. 한국에 있어서 답리작을 이용한 양질 조사료 생산기술. 한국초지학회 창립30주년 기념 국제심포지엄자료. pp. 5-56
  6. 양종성. 1992. 답리작 사료작물 재배. 한초지 12권(특별호):127-133
  7.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OAC, Arlington, Virginia
  8. Goering, H.K. and P.J. Van Soest. 1970. Forage fiber analysis. Agric. Handb. 379, U.S. Gov. print. Office, Washington, DC
  9. Moore, J.E. 1970. Procedure for the two-stage in vitro digestion of forage. Uni. of Florida, Dept. of Animal Science
  10. Tilley, J.A.M. and R.A. Telly. 1963. A two stage technique for in vitro digestibility of forage crops. J. Brit. Grassl. Sci. 18:104-111 https://doi.org/10.1111/j.1365-2494.1963.tb00335.x

Cited by

  1. Effects of Different Cutting Height on Nutritional Quality of Whole Crop Barley Silage and Feed Value on Hanwoo Heifers vol.29, pp.9, 2016, https://doi.org/10.5713/ajas.16.00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