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Brand Labels on Clothing - Focusing on Children's Wear -

의류에 부착된 상표표시 레이블에 관한 연구 - 아동복을 중심으로 -

  • Published : 2007.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ypes and functions of brand labels on clothing. We surveyed the materials and manufacturing methods for brand labels by visiting the label stores and label manufacturers. 200 pieces of children's wear were surveyed. The label attributes that were studied were: the number of labels, the location of the labels, the attachment system for the labels, the color of the labels, the materials used to make the labels, manufacturing methods, and the size of the labels. From this investigation a brand label was classified into a main label and a point label. The main results were: 1. Materials such as fabrics, nonwovens, leather, suede, rubber, PVC, silicone, and metals are used for brand labels. The manufacturing methods for brand labels are weaving, printing, high frequency, heating, and molding. 2. More than 54% of clothes have more than two brand labels attached. This percentage exceeds the attaching of only one brand label in rate. An inside brand label is located at a certain place. This inside label uses only fabric material reflecting inherent brand color and design. The outside brand label is located at several places with consideration of the clothes design. This label uses various materials, colors, and characters matching with the clothes. As for the size, an inside label is mainly medium in size, whereas an outside label is small. 3. A brand label is classified into a main label (first label) and a point label (second label), which are defined as follows. A main label indicates the brand name and is located inside at a certain place using an inherent brand design and a fabric material. A point label is an additional label to express brand image and is located outside at various places for decoration using various characters and design and materials.

Keywords

References

  1. 김경원, 이은영(1999). 소비자 평가에 기초한 의류 상표 자산. 한국의류학회지, 23(8), 1075-1085
  2. 김병옥, 배은정(2006). 색채감성이 브랜드 개성에 미치는 영 향에 관한 연구-국내외 기초화장품 중심으로-. 브랜드 디자인학연구, 4(2), 123-138
  3. 김정구, 류주연, 성희승(2002). 브랜드 개성이 구전과 브랜드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일제감 이론의 적용. 소비자학연구, 13(1), 25-42
  4. 김진영, 김경환(2005). 브랜드 이미지와 라벨디자인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진로소주를 중심으로-. 브랜드디자인학연구, 3(2), 87-108
  5. 남미우(1988). 여대생의 자아 이미지와 선호 상표 이미지와의 일치도가 의복구매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박광희(1995). 의류제품에 부착된 Care Label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3(2), 159-166
  7. 박선정, 홍지명, 이정순, 선혜원, 유효선(1999). 유, 아동복 레이블의 불만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3(2), 307-313
  8. 박찬애(1989). 시판 의류제품의 품질표시 실태와 소비자의 태도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배순화, 이미식(1994). 섬유제품의 취급방법과 관련된 레이블에 대한 연구-소비자 인식 및 세탁 실태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18(4), 480-489
  10. 부자재는 섬머패션의 완성(2006. 5. 29). 한국섬유신문. 자료검색일 2006. 7. 20, 자료출처 http://www.samsungdesign.net/News/Style/Content.asp?an=1369
  11. 생산제품. 신흥라벨. 자료검색일 2006.6.15, 자료출처 http://www.shclabel.com
  12. 소재구, 황정원(2006). 촉감 디자인과 매출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벽지제품을 중심으로-. 브랜드디자인학연구, 4(1), 173-182
  13. 안순태(2001). 의복관리시 취급주의표시에 대한 소비자 인지도. 건국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이창수(2005). 포장디자인의 색채와 구매섬랴의 상관관계-국내 매운 라면제품을 중심으로-. 브랜드디자인학연구, 3(1), 103-119
  15. 임정선, 임숙자(1997). 고등학생의 상표충성에 의한 진 의류 시장세분화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1(4), 782-794
  16. 전경란(1981). 우리나라 섬유제품의 품질표시에 관한 연구. 청주교대 논문집. 441
  17. 전효순(1984). 시판 의류제품의 소비자 문제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양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정강옥, 장대련, 장동련(2002). 브랜드명과 심볼의 불일치성, 제품 지식을 중심으로 한 브랜딩에 대한 소비자 반응 연구. 소비자학연구, 13(4), 123-147
  19. 정경화(2003). 의류제품 Label에 관한 연구-부착실태와 여성소비자의 태도를 중섬으로-. 경희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제품소개. 에이블라벨. 자료검색일 2006.6.15, 자료출처 http://www.ablelabel.co.kr
  21. 제품소개. 명진금속. 자료검색일 2006.6.15, 자료출처 http://www.yescall.com/mjlabel
  22. 제품안내. 삼흥레이블. 자료검색일 2006.6.15, 자료출처 http://www.labelkorea.co.kr
  23. 제품안내. 홍성산업. 자료검색일 2006.6.15, 자료출처 http://www.labe121.com
  24. 조난행(1986). 여대생 의복 구매행동과 레이블에 관한 태도 분석. 경희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중저가 캐주얼 부자재 개발 경쟁(2005.4.27). 패션뉴스. 자료검색일 2006.7.20, 자료출처 http://www.inews.org/Snews/ article_print.php?Domain= kten&No=9015
  26. 최현주, 김윤경, 이경희(2006). 진 브랜드의 상품, 상표, 광고 이미지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0(4), 531-541
  27. 추태귀, 송정아(2000). 의류제품 취급표시 부착실태 및 소비 자의 의식. 한국의류산업학회지, 2(4), 331-338
  28. 타올, 라벨, 자카드 직물기 엽 설비투자 봇물(2002.9.2) 패션뉴스. 자료검색일 2006.7.20, 자료출처 http://www.inews.org/Snews/article_print.php?Domain=kten&No=2157
  29. 한은영, 최인영(2004). 와인라벨 디자인과 타이포그래픽 디자인의 관계에 관한 연구. 브랜드디자인학연구, 3(2), 23-37
  30. 홍지명, 신혜원(1998). 청바지의 취급상 주의표시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2(6), 716-724
  31. 2005 한국품질경쟁력 우수기업-대화라벨앤텍스(2005.3. 30). 서울경제. 자료검색일 2006.7.20, 자료출처 http://economy.hankooki.com/lpage/special/200503/ e2005033015382648640.htm
  32. Aaker, J. L. (1997). Dimensions of brand personality.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34(3), 347-356 https://doi.org/10.2307/3151897
  33. Simon, C. J., & Sullivan, M. W. (1993). The Measurement and determinants of brand equity: A financial approach. Marketing Science, 12(1), 28-52 https://doi.org/10.1287/mksc.12.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