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racteristics of Newly Bred Mulberry Cultivar "Daesungppong" (Morus Lhou(Ser.) Koidz.) for Mulberry Fruit Production

새로 육성한 오디 생산용 뽕품종 "대성뽕"의 특성

  • Sung, Gyoo-Byung (Department of Agricultural Biology,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 Kim, Hyun-Bok (Department of Agricultural Biology,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 Hong, In-Pyo (Department of Agricultural Biology,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 Nam, Sung-Hee (Department of Agricultural Biology,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 Chung, In-Mo (Department of Agricultural Biology,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성규병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농업생물부) ;
  • 김현복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농업생물부) ;
  • 홍인표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농업생물부) ;
  • 남성희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농업생물부) ;
  • 정인모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농업생물부)
  • Published : 2007.12.30

Abstract

We bred new mulberry cultivar through local adaptability test, which was registered as a new cultivar for fruit production. Local adaptability test had been carried out at three places(Suwon, Konju and Cheongju) for three years since 2002. This is tetraploidy variety belonging to (Morus Lhou(Ser.) Koidz.) made by colchicine treatment on growing point of winter buds. Daeseongppong was high yielding in productivity by 48% compared to control cultivar "Chungilppong" for two years. Although Daesungppong was a little lower in sugar content of mulberry fruits, it contains more bioactive materials like C3G, rutin and amino acids than Chungilppong. It is adaptable to every where except the places where cold damage and sclerotial disease happen frequently.

주로 누에사육을 위한 사료 생산용으로 이용되던 뽕나무의 용도가 다양화되면서, 부산물로 이용되어 온 오디가 새로운 소득작목으로 정착되어 가고 있다. 이에 따라 오디 생산에 적합한 뽕 품종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어, 새로운 오디용 뽕품종으로 "대성뽕"을 육성하였으며 이 품종의 육성 경위와 특성은 아래와 같다. 1. '02-'06년까지 수원, 청주 및 공주 3개 지역에서 청일뽕을 대조품종으로 하여 지역적응시험을 거쳤으며, 직무 육성신품종 심의회에서 오디 생산용으로 우수한 품종임이 인정되어 품종으로 등록하였다. 2. 대성뽕은 2배성 Ficus 계통에 콜히친을 처리하여 만든 염색체수가 2n=56인 4배체 품종이다. 3. 대성뽕은 노상형(Morus Lhou(Ser.) Koidz)에 속하는 암나무이며, 발아개엽기는 청일뽕과 비슷한 직립성의 중생종이다. 4. 잎의 크기는 대형으로 두꺼우며, 잎모양은 타원형이다. 5. 오디는 식재 후 3년차부터 결실하기 시작하였으며, 10a당 연간수량은 결실 1년차에는 청일뽕보다 57% 높았으며, 2년차에는 39% 증수되어 2년 평균 47% 증수되는 다수성 품종으로 초기 결실성이 우수한 품종이다. 6. 오디의 단과중은 3.3g으로 대과형이며, 완숙된 오디의 색상은 적자색 이다. 오디의 당도는 청일뽕보다 낮으나 생리활성물질인 C3G, rutin 및 아미노산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현복, 성규병, 강석우 (2005) 오디 생산을 위한 뽕나무 계통별 과실 특성 평가, 韓作誌, 50(1): 224-227
  2. 김현복, 김정봉, 김선림 (2005) 뽕나무 계통별 오디의 레스베라트롤 함량 분석, 韓蠶學誌. 47(2): 51-55
  3. 김현복, 김선림 (2003) 오디에서 C3G (cyanidin-3-glucoside)의 분리. 동정 및 계통별 함량분석, 韓蠶學誌. 45(2): 90-95
  4. 김현복, 성규병, 강석우 (2005) 오디 생산을 위한 뽕나무 계통별 과실 특성 평가, 韓作誌. 50(5): 224-227
  5. 김선림, 황종진, 송진, 송정춘, 정국현 (2000) 유색미, 검정콩, 검정 찰옥수수의 안토시아닌 색소의 추출, 정제 및 정량, 韓育誌 32(2): 146-152
  6. 김선림, 김이훈, 손영구, 송정춘, 황종진, 허한순 (1999) 검정 찰옥수수 종실에서 안토시아닌 색소 분리 및 동정, 韓育誌 31(4): 408-415
  7. 김선여, 박광준, 이완주 (1998) 뽕나무 오디 추출물의 抗炎症.酸 抗酸化 작용에 대한 生理活性 檢索, 藥作誌 6(3): 204-209
  8. 김태완, 김영배, 이장헌, 양일석, 염종경, 이희삼, 문재유 (1996) 오디의 항당뇨효능에 관한 연구, 韓蠶學誌 38(2): 100- 107
  9. 堀田頑吉 (1951) 農學大系作物部門 桑編 (東京), 16-20
  10. 이완주, 김애정, 김선여 (2003) 뽕잎의 기능성물질 탐색 및 효과 구명, 식품과학과 산업 36(3): 2- 14
  11. Machii, H., Akio, K. and Yamanouchi, H. (1999) Fruit traits of genetic mulberry resources, J. Seric. Sci. Jpn 68(2): 145-155
  12. 농촌진흥청(1993) 品種解說集(園藝作物, 버섯류, 蠶桑), 528-579
  13. 농촌진흥청(1995) 農事試驗硏究調査基準, 435-438
  14. 농촌진흥청(1998) 品種解說集(園藝作物, 버섯류, 蠶桑), 287-290
  15. 농촌진흥청(2006) 주요농작물 품종해설집(제3권: 특.약용작물. 버섯류. 잠상): 1435- 1440
  16. 박광준(2001) 대성뽕, 대붕뽕, 대옥뽕 벚 신광뽕 오디의 과실적 특성, 韓蠶學誌 43(2): 99- 103
  17. Su Chao, Chen Qi, Su Lihong, ZhuGuangyi and Wang Shuxia (2001) Breeding of a fruit mulberry variety 'Hongguo I', 蠶業科學 27(1): 59-60
  18. 성규병, 홍인표, 김현복, 남학우 (2005) 뽕나무 식재거리 및 원가지 길이가 오디 수량과 생육에 미치는 영향, 韓蠶學誌 47(1):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