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lection of Insects for Potential Biological Control of Ambrosia trifida

단풍잎돼지풀의 생물학적 방제를 위한 곤충 선발

Lee, In-Yong;Park, Jin-Young;Oh, Se-Mun;Park, Jae-Eup;Kwon, Oh-Seok
이인용;박진영;오세문;박재읍;권오석

  • Published : 2007.12.30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trol Ambrosia trifida occurred non-crop land, road side and river side by the potential biological control agents and investigate the basic ecology of these agents. In result of field survey, Ophraella communa and Epiblema sugii were finally selected as control agents. These insects were possible passage feeding in condition of normal temperature and life cycle of these insects from egg to adult were average 20 and 35.5 days O. communa and E. sugii, respectively. In result of test for host specificity on major 57 crops and plants, E. sugii had no effect on any crops and plants. While O. communa did injuried and layed egg on sunflower's leaves, they did not show completed life cycle. Visual weed control efficacy was 90% and total seed production was reduced to 24.8% by O. communa on A. trifida in laboratory experiments.

비농경지, 도로변 및 하천변에 발생하는 단풍잎돼지풀을 생물적으로 방제하기 위하여 생물적 방제 가능 곤충군을 탐색하고 기초생태를 조사하였다. 야외조사 결과 돼지풀잎벌레와 반원무늬애기잎말이나방이 생물적 방제곤충으로 선발되었다. 돼지풀잎벌레는 상온에서 계대사육이 가능하였으며 알에서 성충까지 평균 20일이 소요되었으며, 반원무늬애기잎말이나방은 상온에서 평균 35.3일이었다. 단풍잎돼지풀을 포함한 57개 작물 및 식물을 대상으로 한 기주특이성 시험 결과, 반원무늬애기잎말이나방은 어떠한 식물도 가해하지 않았다. 반면에 돼지풀잎벌레는 해바라기를 섭식하고 산란을 확인하였으나, 전 생활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돼지풀잎벌레에 의해 단풍잎돼지풀의 달관 방제효과는 90%, 종자생산은 24.8% 감소시켜 생물적 방제인자로 가능성을 보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환경연구원. 2002. 생태계 교란 야생식물 지정. www.nier.go.kr
  2. 권오석,이인용,박재읍,박남일,지승환. 2004. 소리쟁이속 잡초의 생물적 방제곤충군 선발. 한국잡초학회지 24(별2):32-33
  3. 농업과학기술원. 2007. 2007년도 시험연구사업 연구 계획서. 수원. pp. 414-428
  4. 박수현. 1995. 한국귀화식물원색도감. 일조각,서울. pp. 266-267
  5. 박재읍,이인용,박태선,임순택,문병철,김창석,조정래,오세문,임일빈,황재복,구연충. 2003. 최근 한국의 밭잡초 발생 특성. 한국잡초학회지 23(3):277-284
  6. 박진영,이인용,박재읍. 2007. 물달개비에 대한 물달 개비바구미의 생물학적 방제효과 한국잡초학회지 27(2):180-183
  7. 손재천,안승락,이종은,박규택. 2002.외래종 돼지풀 잎벌레(Ophraella communa LeSage)의 국내 발생과 분포현황. 한국응용곤충학회지 41(2):145-150
  8. 양환승,김동성,박수현. 2004. 잡초 형태 . 생리 . 생태 II(合瓣花類). 이전농업자원도서, 서울. pp. 401-403
  9. 홍연규,김정남,이봉춘,황재복,송석보,박성태,전민구,김인섭,2006. 곰팡이 유래 미생물제초제 스클레로티니아속균 BWC98-105균주의 클로버 방제효과. 한국잡초학회지 26(4):353-361
  10. 홍연규,송석보,현종내,이봉춘,이동창,김순철,2002. 올챙이고랭이 기주특이적 미생물 YK 201 균주의 분리와 제초효과. 한국잡초학회지 22(1):55-60
  11. 홍연규,현종내,류길림,신동범,김순철. 2002. 미생물 제초제 올방개지문무늬병균의 균총형성 및 포자형성에 관여하는 요인. 한국잡초학회지 22(1):61-66
  12. Harris,P.,and G. L. Piper. 1973. Ragweed (Ambrosia spp. : Compositae) : its North american insects and the possibilities for its biological control. Commonw. Bull. Inst. Control Tech. 13:117-140
  13. Palmer,W. A.,and R. D. Goeden. 1991. The host range of Ophraella communa LeSage (Coleoptera : Chrysomelidae). Coleopt. Bull. 45:115-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