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Organic Materials on Growth of Rice and Paddy Weeds

유기질자재가 벼와 논 잡초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An, Xue-Hua;Lee, Sang- Bok;Im, Il-Bin;Kim, Sun;Kim, Jai-Duk
안설화;이상복;임일빈;김선;김재덕

  • Published : 2007.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impact of the organic mixture materials (OMM) and mixture oil cake (MOC) on the early growth of direct-seeded rice, transplanted rice, Echinochloa crus-galli (Echinochloa crus-galli var. formosensis Ohwi.) and Aneilema keisak Hassk. Direct-seeded rice and transplanted rice are both treated with 0.63~1.88ton ha-1 organic mixture materials and mixture oil cake respectively. The mortality rate in direct-seeded rice was 42.1~71.2% and 30.0~85.2%, whereas growth of transplanted rice was improved 8.1~25.7% and 2.8~11.0%. Direct-seeded rice and transplanted rice are both treated with 1.88ton ha-1 organic mixture materials and mixture oil cake respectively. The weed that died about 52.8% and 38.9% was Echinochloa crus-galli, and the root of the weed was suppressed by 81.9% and 83.1%, the shoot by 53.1% and 60.5%. Small quantities of organic mixture materials and mixture oil cake also were highly effective in controlling Aneilema keisak Hassk. The organic materials have significant inhibition effect on direct-seeded rice, Echinochloa crus-galli and Aneilema keisak Hassk after 0~3 days, 0~5 day and 0~7 days treatment. The dissolved oxygen increased evidently as the time pass after treatment. The oxidation-reduction activity continued to increase rapid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organic mixture materials and the mixture oil cake seems to contain an active ingredient that are effective in killing weeds.

본 연구는 유기복합제와 혼합유박이 담수 직파벼, 이앙벼, 물피 및 사마귀풀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유기복합제와 혼합유박을 0.63~1.88ton ha-1 처리시 직파벼는 무처리구에 대비 각각 42.1~71.2%, 30.0~85.0% 출현이 억제되었고, 이앙벼는 지상부가 각각 8.1~25.7%, 2.8~11.0%, 더 증가되었다. 유기복합제와 혼합유박을 1.88ton ha-1 처리시 물피는 각각 52.8%, 38.9%의 출현이 억제되었으며, 지상부의 생장은 53.1%와 60.5% 억제되었다. 사마귀풀은 유기질자재 2종 모두 낮은 처리량에서도 높은 감수성을 보였으며, 직파벼는 파종 후 0~3일, 물피는 파종 후 0~5일, 사마귀풀은 파종 0~7일 후에 처리시 높은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용존산소량은 무처리구에 비하여 시간이 경과할수록 경시적으로 증가되었고, 산화환원전위는 유기질자재 처리 후 토양의 환원화 현상이 급격히 진행되었다. 또 유기복합제와 혼합유박 자체에 잡초종을 억제할 수 있는 잠재성을 보유하고 있는 조성성분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승원, 유철현, 양창휴, 한상수. 2002. 채종유박 수비 시용이 벼의 질소이용효율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토양비료학회 33(5):272-279
  2. 강선옥. 2004. 군산지역의 벼농사 친환경농법 : 오리농법, 쌀겨농법, 미생물농법을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남정권, 김상수, 이준희, 최원영, 백남현, 박홍규, 최민규, 권태오. 2005. 호남평야지에서 쌀 품질 향상을 위한 적정 질소시비량. 한작지 50(7):56-61
  4. 농촌진흥청 농업기술연구소. 1988. 토양화학분석법. p. 215
  5. 농촌진흥청. 한국유기농업연구회. 1992. 유기농업백과
  6. 신지선. 1999. 쌀겨 추출물에 의한 벼의 생육 및 잡초 방제효과.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오비룡. 1993. 벼 발아 및 유묘신장기의 산소소비량의 품종간 차이. 농업논문집 35(1):18-22
  8. 조한규. 1995. 조한규의 자연농업. 농림수산정보센터
  9. 최두회, 이윤정, 이용한. 2002. CODEX 규정 적용에 따른 유기 농업의 대응방안. pp. 57-82. 2002 세계농업규범관련 쟁점대응 심포지엄
  10. 藤田時雄,三石昭三, 田志良. 1971. 水稻の湛水直播に關する研究. 第1報 水中發芽と溶存酸素との關係. 日作紀31(別)1:37-38
  11. Barnes J. P. and A. R. Putnam. 1986. Evidence for allelopathy by residues and aqueous extracts rye(Seoale cereale). Weed Sci. 34:384-390
  12. Osida A. 1982. Differences in germination, early growth and respiration between japonica and indica rice under low oxygen condition. Japan. J. Trop Agr. 26 (2):93-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