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son of the Features of Science Language between Texts of Earth Science Articles and Earth Science Textbooks

지구과학 논문과 지구과학 교과서 텍스트의 과학 언어적 특성 비교

  • Published : 2007.08.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eatures of science language in Earth science textbooks and Earth science research articles. We examined two Earth science textbooks and two Earth science articles using the taxonomy of scientific words, the text structure analysis of explanations, the analysis of conjunctive relations and reasoning, and the function of conjunction. The results showed that school science language revealed in Earth science textbooks had high proportion of naming words and the text structures in which definition/exemplification structure and description structure were dominant. Also, internal relations that showed additional arrangement rather than logical inference, were predominant in Earth science textbooks. However, scientists' science language revealed in the Earth science articles had more proportion of process words and concept words than the Earth science textbooks and the schematic structure of explanation texts, such as orientation - implication sequence - conclusion. In addition, the text structures in each sentences of implication -sequence showed cause/effect or problem-solving after description structures. Also each sentences expressed causal or abductive reasoning through the internal relations using verbs or adverbial inflection. It is necessary that we bridge the gap between the two languages for students' authentic use of science language. For the bridging, we propose "interlanguage", which mediates between school science language and scientists' language.

과학 교과서와 과학 연구 논문의 과학 언어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지구과학 교과서 2 종과 지구과학 논문 2 편을 선정하여 각 텍스트의 과학 용어 분류, 설명 텍스트의 구조 분석과 접속 관계를 통한 추론 분석, 접속어의 기능에 대한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지구과학 교과서에서 드러난 학교 과학의 언어는 명명어의 비중이 높으며, 정의/예시 구조와 기술 구조 중심의 설명 텍스트 구조를 보였다. 또한, 논리적 추론보다는 부가적인 나열 관계를 나타내는 내적 관계가 우세하였다. 이에 반해 지구과학 논문에서 볼 수 있는 과학자의 과학 언어는 명명어의 비중이 큰 가운데서도 과정어와 개념어의 비중이 과학 교과서의 과학 언어에 비해 높았으며, '도입 - 연관 계열 - 결론'에 이르는 설명 텍스트의 도식적 구조를 갖추고 있었다. 또한, 연관 계열을 이루는 각 문장의 텍스트 구조는 원인/결과 구조 또는 기술 구조에 뒤이은 문제/해결 구조를 보였으며, 각 문장틀 간에 부사형 어미나 동사를 이용한 내적 관계를 통해 인과적 추론 또는 귀추적 추론 관계를 표현하고 있었다. 학생들의 진정한 과학 언어 사용을 위해서는 두 언어 사이의 간극을 줄이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학교 과학의 언어와 과학자의 언어를 매개하는 지구과학 교사의 교수 언어로서 중간 언어를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석진, 김창민, 노태희 (2000), 소집단 토론과정에서의 언어적 상호작용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3), 353-363
  2. 강석진, 한수진, 정영선, 노태희 (2001) 학습 전략 에 따른 소집단 토론에서의 언어적 상호작용 양상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21(2),279-288
  3. 곽영순, 이양락, 김동영 (2006). 고교 선택 과목 지구과학 I , II 교육과정 개정 방향 한국과학교육학회 제 50차 하계학술대회 및 전국과학교사 현장 연구 워크샵
  4. 교육부 (1997). 제 7차 고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 지구과학II 교육부
  5. 김영수, 임수진 (1997). 과학 및 생물 교과서의 생물 용어 분석과 생물 용어 난이도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인식 조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5(1), 89-103
  6. 김해경, 고영구 (2003a).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에서 사용되는 지구 영역 용어의 특성 분석. 초등과학교육, 22(2), 200-210
  7. 김해경, 고영구 (2003b). 초등학교 사회 교과서의 자연지리 분야 관련 용어와 과학 교과서의 지구과학 분야 관련 용어의 관련성. 지리.환경 교육, 11(2),41-49
  8. 김현연 (2005). 텍스트 구조 지도가 읽기에 미치는 영향 연구. 국어교육연구, 37, 67-94
  9. 김현주, 백인성 (2001). 경상남도 고성군에 분포하는 백악기 진동층의 퇴적상 및 퇴적 환경. 지질학회지, 37(2), 235-256
  10. 김혜심, 이은경, 강성주 (2005). 실생활 소재 탐구 실험 형태에 따른 학생-학생 언어적 상호작용에서의 학습 수준 접근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1), 16-24
  11. 마숙찬, 박인근 (2003). 우리나라 중학교 과학 교과서와 미국 Science Plus 생물 영역의 용어 해설 및 찾아보기의 비교 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1(2), 170-180
  12. 박인근, 정양선 (2005) 한국.일본대만의 중등학교 과학 교과서 생물학 용어의 비교)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3(1), 33-54
  13. 백성혜, 정애경, 고영환 (2004). 중등 과학 교과서에서 증발, 끓음의 설명에 제시된 개념 간의 관련 정도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3), 429-441
  14. 서명원, 박준희, 백현기, 성래운, 함종규 (1986). 교육학 대사전. 서울: 교육서관
  15. 오필석, 김찬종 (2005). 지구과학의 한 탐구 방법으로서 귀추법에 대한 이론적 고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5), 610-623
  16. 우경식, 윤혜션, 이광춘, 손영관, 김부근 (2005) 경상분지 신양동층에 나타나는 스트로마룹라이트를 이용한 고기후 연구. 지질학회지,41(1), 1-17
  17. 이규석, 이창진, 김정률, 이용준, 강진철, 김재현 (2005) . 고등학교 지구과학II. 대한교과서
  18. 이문원, 전성용, 권석민, 진만식, 신석주, 임부철 (2005). 고등학교 지구과학II. 금성출판사
  19. 이수진 (2005). 교과장르로서의 쓰기 교수언어 고찰. 한국초등국어교육, 제 28집, 177-220
  20. 이은희 (1992) 교육적 측면에서의 접속어 연구. 국어교육학연구, 2, 93-124
  21. 이정아, 맹승호, 김혜리, 김찬종 (2006). 교육과정 변전에 따른 초등 과학 교과서 텍스트에 대한 체계기능 언어 학적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3), 242-252
  22. 임희준, 노태희 (2001) 이질적으로 구성된 소집단 협동학습에서의 언어적 상호작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4), 668-676
  23. 임희준, 박수연, 노태희 (1999) 협동학습 과정에서 의 언어적 행동과 학업 성취도와의 관계, 한국과학교육 학회지, 19(3), 367-376
  24. 임희준, 차정호, 노태희 (2001 ). 협동학습에서 언어 적 행동과 학습 변인들 사이의 관계 및 협동학습에 대한 중학생들의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 (3), 487-496
  25. 전경문, 노태희 (2000). 해결자. 청취자 활동에서의 언어적 행동,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4), 624-633
  26. 전경문, 여경희, 노태희 (2000). 협동학습 과정에서의 언어적 행동과 화학 문제 해결력 사이의 관계, 한국 과학교육학회지, 20(2), 234-243
  27. 정진우, 정재구, 박희무 (2004). 한자로 된 지구과학 용어에 대한 고등학생의 이해 수준, 한국지구과학회지, 25(5), 303-314
  28. 차세대 과학교과서 연구개발 위원회 (2006) 쉽고 재미있고 아름다운 차세대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 교사용 지도서. 서울: 교학사
  29. 최경희, 김숙진 (1996) 과학 교과서 선정과 평가에 관련된 교사들의 인식 조사와 과학 교과서 평가틀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6(3), 303- 313
  30. 최경희, 박종윤, 최병순, 남정희, 최경순, 이기순 (2004).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의 언어적 상호작용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6), 1039- 1048
  31. Baram-Tsabari, A. & Yarden, A. (2005). Text genre as a factor in the formation of scientific literac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2(4), 403-428 https://doi.org/10.1002/tea.20063
  32. Barnett, J. (1992). Language in the science classroom: some issues for teachers. Australian Science Teachers Journal, 38(4), 8-13
  33. Fang, Z. (2006). The language demands of science reading in middle school.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8(5), 491-520 https://doi.org/10.1080/09500690500339092
  34. Halliday, M. A. K (1993). Some grammatical problems in scientific English. In M. A. K Halliday & J. R. Martin (Eds.), Writing Science: Literacy and Discursive Power (pp. 69-85). London: The Falmer Press
  35. Halliday, M. A. K, & Matthiessen, C. M. I. M. (2004). An Introduction to Functional Grammar. London: Hodder Arnold
  36. Lemke, J. L. (1990). Talking Science: Language, Learning, and Values. Norwood, New Jersey: Ablex Publishing Corporation
  37. Maeng, S., Kwon, H., & Kim, C. (2007). Comparative analysis of writings between science article and school science textbooks. 2007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he Association for Science Teacher Education: Character, Critique and Controversy in Science Teacher Education, Clearwater Beach, US
  38. Martin, J. R. (1993a). Literacy in science: learning to handle text as technology. In M. A. K Halliday & J. R. Martin (Eds.), Writing Science: Literacy and Discursive Power (pp. 166-220. London: The Falmer Press
  39. Martin, J. R. (J993b). Technicality and abstraction: Language for the creation of specialized texts. In M. A. K Halliday & J. R. Martin (Edi,), Writing Science: Literacy and Discursive Power (pp, 203-220). London: The Falmer Press
  40. Unsworth, L. (1998). 'Souod' Explanations in school science: A functional linguistic perspective on effective apprenticing texts. Linguistics and Education, 9(2), 199-226 https://doi.org/10.1016/S0898-5898(97)90013-9
  41. Unsworth, L. (2001). Evaluating the language of different types of explanations in junior high school science text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3(6), 585-609 https://doi.org/10.1080/09500690010006473
  42. Veel, R. (1997). Learning how to mean-scientifically speaking: apprenticeship into scientific discourse in the secondary school. In F. Christie & J. R. Martin (Eds.) Genre and Institutions (pp. 170-193). London: Continuum
  43. Wellington, J. & Osborne, J. (2001). Language and Literacy in Science Education. Buckingham: Open University Press